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예쁜이줄무늬꼬마새우Lysmata amboinensis (de Man, 1888)
이마뿔은 더듬이 자루를 넘지 않는다. 갑각에는 두드러진 더듬이 모가시가 있으며, 앞옆모가시가 앞옆 가장자리에 있다. 배쪽은 둥글며, 제 1 ~ 3 배마디의 측면은 둥글고, 제 4 ~ 6 배마디의 측면은 뒤쪽으로 날카롭게 뾰족하다. 제 6 배마디는 제 5 배마디의 1.4배 길이이다. 꼬리마디는 제 6 배마디 길이의 1.6배이며, 등쪽에 2쌍의 가시가 있다. 더듬이는 자루가 가늘며, 귀윗가시는 매우 짧고 뾰족하여 바닥마디의 중간에 도달하지 않는다. 두 번째 마디의 등쪽 가장자리에 9개의 아랫쪽 가시가 있으며, 등쪽 채찍에는 부가적인 가지가 없다. 더듬이 비늘은 더듬이 자루의 끝에 도달하지 않으며, 너비의 약 3.5배 길이이다. 끝쪽의 측면 이가 채찍의 끝을 넘는다. 제 3 턱다리에는 바깥다리 지느러미가 있으며, 끝부분의 바닥마디 중간까지 도달하지 않는다. 제 1 걷는다리는 집게가 가늘며, 발목마디 길이의 약 1.1배 길이이다. 손바닥은 손가락 길이의 약 2.2배 길이이며, 발목마디는 손바닥 길이의 약 1.3배 길이이다. 자리마디는 발목마디 길이의 약 1.3배 길이이다. 제 2 걷는다리는 가늘며, 발목마디는 19개의 분절로 구성되어 있다. 자리마디는 7개의 분절로 나누어져 있으며, 바닥마디는 2개의 분절로 나누어져 있다. 제 3 걷는다리는 발가락마디가 두 개의 발톱으로 나뉘며, 뒤쪽 가장자리에 2개의 가시가 있다. 자리마디에는 바깥쪽 표면에 5개의 가시가 있다. 제 4 걷는다리는 발가락마디가 두 개의 발톱으로 나뉘며, 뒤쪽 가장자리에 2개의 가시가 있다. 자리마디에는 바깥쪽 표면에 4개의 가시가 있다. 제 5 걷는다리는 발가락마디가 두 개의 발톱으로 나뉘며, 뒤쪽 가장자리에 2개의 가시가 있다. 자리마디에는 바깥쪽 표면에 1개의 가시가 있다. 숫돌기는 제 3 턱다리와 제 1 ~ 4 걷는다리에 있다.[1]
제주도[1]
홍해, 케냐(몸바사), 만나르만, 통킹만, 일본(오키나와), 필리핀, 인도네시아에서 하와이와 소시에티 제도까지, 인도(락샤드위프 제도)[3]
참고문헌
[1] Yang HJ & Kim W. 2006. A New Record of Lysmata amboinensis (De Man) (Decapoda: Hippolytidae) from Jeju-do Island, Korea.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9(3). 118-122.
[2] De Man JG. 1887-1888. Bericht über die von Herrn Dr. J. Brock im indischen Archipel gesammelten Decapoden und Stomatopoden.Archiv für Naturgeschichte.53 (2). 215-600.
[3] Jose S, Purushothaman P, Madhavan M, Akash S, Bharathi S, Dhinakaran A, Kumar TTA & Lal KK. 2020. Two new records of hippolytoid shrimps, Lysmata hochi Baeza & Anker, 2008 (Decapoda: Lysmatidae) and Lysmata amboinensis (de Man, 1888) from Lakshadweep Islands, India with taxonomic notes. Zootaxa. 4755(2): 353-364.
경제적가치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1 | 3 | 3 | 3 |
생태적가치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1 | 2 | 1 | 3 |
학술적가치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2 | 1 | 2 |
NCBI (Lysmata amboinensis)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