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민들조개

민들조개Macridiscus aequilatera (G. B. Sowerby I, 1825)

  • 해양생물평가등급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Mollusca연체동물문 > Bivalvia이매패강 > Venerida백합목 > Veneridae백합과 > Macridiscus민들조개속 >
  • 종설명(Description)

    •   조간대 하부에서 수심 10m 범위의 모래바닥에 서식한다.
      [1]

    •   패각은 길이가 50mm 내외로 둥근 삼각형에 가까우며 두껍고 단단하다. 외면은 매끈하며 갈색의 방사상 띠가 있다. 각정은 중앙에 위치하며 뒤쪽으로 인가가 돌출한다. 앞뒤 가장자리는 직선에 가깝다. 내면은 백색이다. 주치는 3개, 측치는 없다. 외투근흔 만입은 둥글고 깊다.
      [2]

    •   태평양(일본, 중국)
      [3]

    •   충남(태안)
      [2]

    • 출처

      [1]. 민덕기, 이준상, 고동범, 제종길, 2004. 연체동물도감. 한글그라픽스, 부산. 566 pp.
      Huber M, 2010. Compendium of bivalves. A full-color guide to 3,300 of the world's marine bivalves. A status on Bivalvia after 250 years of research. ConchBooks, Hackenheim 901 pp.

      [2]. 민덕기, 이준상, 고동범, 제종길, 2004. 연체동물도감. 한글그라픽스, 부산. 566 pp.

      [3]. Huber M, 2010. Compendium of bivalves. A full-color guide to 3,300 of the world's marine bivalves. A status on Bivalvia after 250 years of research. ConchBooks, Hackenheim 901 pp.
      MolluscaBase eds., 2022. MolluscaBase. Fulvia undatopicta (Pilsbry, 1904).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at: https://www.marinespecies.org

    • [4]. 민덕기, 이준상, 고동범, 제종길, 2004. 연체동물도감. 한글그라픽스, 부산. 566 pp.
      Huber M, 2010. Compendium of bivalves. A full-color guide to 3,300 of the world's marine bivalves. A status on Bivalvia after 250 years of research. ConchBooks, Hackenheim 901 pp.

      [5]. 민덕기, 이준상, 고동범, 제종길, 2004. 연체동물도감. 한글그라픽스, 부산. 566 pp.

      [6]. Huber M, 2010. Compendium of bivalves. A full-color guide to 3,300 of the world's marine bivalves. A status on Bivalvia after 250 years of research. ConchBooks, Hackenheim 901 pp.
      MolluscaBase eds., 2022. MolluscaBase. Fulvia undatopicta (Pilsbry, 1904).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at: https://www.marinespecies.org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33133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3333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1333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COI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0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저수온 노출에 따른 돌돔(Oplegnathus fasciantus)과 민들조개(Gomphina melanaegis)의 생리활성 변화 연구 Physiological response of fish and bivalve was estimated to identify the physiological changes of test species by lowering water temperature due to the abrupt stop of cooling water discharge from power plan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two conditions; fall and winter by decreasing water temperature ($2^{circ}C$/2 days) from $26^{circ}C$ to $17^{circ}C$ for fall scenario and from $15^{circ}C$ to $9^{circ}C$ for winter scenario, respectively. Test organisms were parrot fish (Oplegnathus fasciantus) and bivalve (Gomphina melanaegis), and end points were mortality for both species, hematocrit and cortisol for fish, and hemolymph and superoxide dismutase(SOD) for bivalve. 48/96hr mortality test revealed no mortality for fish and 47% mortality for bivalve at 96hr/$26^{circ}C$ only. Significant increases of hematocrit and cortisol were found at fishes exposed to $26^{circ}C$ (high temperature) and lower temperature ($9{sim}13^{circ}C$), respectively. Hemolymph and SOD for bivalve tended to decrease by lowering water temperature from 15 to $9^{circ}C$ (winter scenario) and no changes from 26 to $17^{circ}C$ (fall scenario). Fall scenario (from 15 to $9^{circ}C$) showed more significant changes of physiological response than winter cases (26 to $17^{circ}C$). 윤성진,진병선,박경수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상세보기
        민들조개 Gomphina melanaegis 방류지역의 민들조개 개체군 분포 분석 The clam, Gomphina melanaegis, which is commonly called the sandy beach clam because of its habitat, is a valuable organism in the sandy coast of East Sea, Korea. It is frequently observed in large populations between 0.5 and 5 meters. We have released 50,000 seedling, ranging from the diameter of approximately 3 mm, 2007, and 1,000,000 seedling, ranging from the diameter of approximately 0.2 mm, plus 100,000 adult individuals, ranging from the shell length of approximately 20~40 mm, 2008 at Jinha beach. The spawning period of G. melanaegis, was from June to August, and the main spawning occurred in July. This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population distribution on the stocking area of sandy beach clam, G. melanaegis. The relationship between shell length and ring radius in each ring was investigated as a regression l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ell length and shell height of released young clam was SH=1.0105SL-4.7764 ($R^2=0.790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ell length and total weight of released young clam was $TW=0.0013SL^{2.3966}$($R^2=0.71$). It draws a deduction that the ring of this clam was produced once a year during the duration between June and August. 이주,이채성,김수경,김완기,조규태 한국환경과학회 상세보기
        민들조개 (Gomphina melanaegis) 생식주기에 관한 조직.생화학적 연구 The seasonal reproductive cycle of Gomphina melanaegis collected in the coastal area of Jumunjin, between April 2006 and March 2007, was analyzed. Maturation cycle parameters such as the gonad index (GI), ovarian egg diameter, frequency of developmental stages, protein content, and RNA/DNA variation in the gonads were analyzed monthly for the 40 samples. According to the indices from histological sections, the frequency of gonad developmental stages, and the oocyte diameter, this clam has a long-term partial spawning pattern from March to October. However, GI and nucleic acid values showed that the mature stage is from March to July and that the main spawning season is August. The peak RNA and DNA contents were good indicators of sexual maturation in females and males, respectively. The variation in protein content corresponded with the RNA/DNA ratios. 김수경,이주,김영대,조규태,이종하,박민우,김재원,공용근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삼척과 원산의 지리적 민들조개(Gomphina aequilatera, Sowerby) 집단의 유전적 변이 한반도의 동쪽에 위치해 있는 삼척(venus clam from Samcheok; VCS)과 원산(venus clam from Wonsan; VCW) 지역에서 채취된 민들조개(Gomphina aequilatera)에서 genomic DNAs(gDNAs)를 분리 추출하였다. 증폭산물은 primer agarose 전기영동법에 의해서 생성되었고, EtBr에 의해서 염색된 이후에 자외선에 의해서 확인되었다. 150 bp에서 2,400 bp에 해당되는 shared loci, polymorphic 및 specific loci를 얻기 위해서 BION-21, BION-23, BION-25, BION-27, BION-29, BION-31 및 BION-33와 같은 7개의 primer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7개의 primer는 VCS 민들조개 집단에서 147개의 polymorphic loci(147/954 loci, 15.41%)와 VCW 집단에서 274개의 polymorphic loci(274/996 loci, 27.51%)를 확인하였다. 이것은 VCS 민들조개 집단에서 보다 VCW 집단에서 더 높은 유전적 변이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BION-21 primer에 의해서 나타난 700 bp는 민들조개 2개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것은 집단이나 종을 확인할 수 있는 marker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특이한 primer는 개체, 종 및 집단에서 서로 다른 DNA 다형성을 나타내며, 개체나 집단을 확인하는 데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개 민들조개 집단의 개체들을 비교해 보았을 때 SAMCHEOK no. 03와 WONSAN no. 22에서 가장 긴 유전적 거리(0.696)를 나타내었다. 3개의 genetic groupings and dendrogram을 포함한 complete linkage cluster analysis을 통해서 볼 때 지리적 거리가 있었지만 삼척과 원산 2 민들조개 집단의 개체 정체성과 다소 가까운 친척관계를 확인시켜 주었다. 분자적인 표지인자로부터 얻어진 종내 분류와 clustering analyses은 패각 크기, 패각 형태 및 패각 색깔과 같은 형태적인 형질을 기초한 재래적인 종 분류를 지원하고 있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RAPD 분석은 VCS 민들조개 집단이 VCW 집단과 어느 정도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 Kim, Jong-Rae,Jung, Chang-Ho,Kim, Yong-Ho,Yoon, Jong-Man The Korean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상세보기
        민들조개 (Gomphina melanaegis)의 생식소 발달과 생식주기 1996년 4월부터 1997년 4월까지 강원도 주문진 연안에서 채집한 민들조개 (Gomphina melanaegis)의 생식소 발달과정과 생식주기를 조사하였다. 민들조개는 자웅이체로서, 생식소는 소화맹낭과 족부 근육 사이에 위치하였으며, 난소와 정소는 각각 수많은 난소소낭과 정소세관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육중량비는 1994년 8월에 $23.0%$로 가장 높았으나 9월에 $19.8%$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이후 이듬해 3월에 가장 낮은 값을 보인 후 다시 증가하였다. 성숙기의 난모세포 크기는 $50~60mu$m로 전자밀도가 높은 인을 가진 핵이 이중의 단위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세포질에는 다량의 난황과립과 지방과립 및 미토콘드리아가 분포하였다. 민들조개의 정자는 머리, 중편 및 꼬리로 구성되어 있었다. 치밀한 핵질로 충만한 원추형 머리는 그 선단에 첨체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중편부에는 4개의 미토콘드리아와 원단중심소체가 편모와 연결되어 있었다. 꼬리의 편모는 전형적인 9+2 구조를 나타냈다. 암수의 성비는 1 : 0.79였고, 생물학적 최소형은 각장 25.0 mm였다. 생식주기는 분열증식기 (12$~$3월), 성장기 (4$~$5월), 성숙기 (6월), 산란기 (7$~$8월) 및 휴지기 (9$~$11월)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되었다. 이정용,박영제,장영진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1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다기능성 한국산 민들조개 가수분해추출물 1020060033357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원문정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53건, 1/31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MO0003140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민들조개
      Macridiscus aequilatera
      대한민국 2012-09-30
      MABIK MO0003140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민들조개
      Macridiscus aequilatera
      대한민국 2012-09-30
      MABIK MO0003140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민들조개
      Macridiscus aequilatera
      대한민국 2012-09-30
      MABIK MO0003140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민들조개
      Macridiscus aequilatera
      대한민국 2012-09-30
      MABIK MO0003141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민들조개
      Macridiscus aequilatera
      대한민국 2012-09-30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