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대주둥치Macroramphosus scolopax (Linnaeus, 1758)
대주둥치는 큰가시고기목, 대주둥치과, 대주둥치속에 속하는 경골어류의 일종으로 형태적 특징에서 체장이 18cm에 이른고 체측은 좌우로 심하게 측편되어 있으며, 체형은 긴 계란형이다. 주둥이, 두부와 체측의 등 쪽 면, 체측 상단부는 적색이며, 두부의 복면과 아가미부는 은백색이다. 체측 중앙부, 체측 하단부 및 복부는 은백색이다. 등지느러미의 극조부, 꼬리지느러미는 적색이다. 가슴지느러미의 기저는 진회색이거나 흑색이다. 가슴지느러미, 배지느러미 및 뒷지느러미는 투명하다. 등지느러미 극조부는 체측 중앙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제2가시는 다른 가시에 비하여 현저히 길고 후방은 거치형의 톱니가 있다. 등지느러미 극조부의 기저 길이는 안경보다 약간 적다. 등지느러미 연조부는 미병부와 인접하여 있으며, 극조부와 연조부는 인접되어 있지 않고 분리되어 있다. 연조부 기저 길이는 극조부 기저 길이와 비슷하다. 가슴지느러미는 체측 하단에 위치하며, 그 후단은 배지느러미 기저에 이른다. 배지느러미는 복부에 위치하며 크기는 작다. 항문은 뒷지느러미 전방에 위치하며, 등지느러미 극조부의 기저 후단에 위치한다. 뒷지느러미 기저 시점은 등지느러미 극조부 기저 후단과 일치한다. 꼬리지느러미의 외연은 오목하며, 정형이다. 주둥이는 긴 관상형이며, 입은 주둥이 끝에 있다. 상하악에 이빨이 없다. 측선은 없다. 비늘은 없으며, 아가미 후단의 체측에 크기가 작고 다각형의 비늘이 다수 있다. 체측 등 쪽 면에서 복부 방향으로 약간 내려온 체측과 복부면에 5-6개의 골질판이 있다. 생태적으로 수심 50m 이내의 모래바닥 연안에 서식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스, 멕시코만, 지중해, 모잠비크, 뉴질랜드, 북대서양, 남아프리카, 스웨덴
제주도, 전남 여수, 경남 통영, 거제
NCBI (Macroramphosus scolopax)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