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바위털갯지렁이

바위털갯지렁이Marphysa sanguinea (Montagu, 1813)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Annelida환형동물문 > Polychaeta다모강 > Eunicida털갯지렁이목 > Eunicidae털갯지렁이과 > Marphysa바위털갯지렁이속 >
  • 종설명(Description)

    •   노란솜털갯지렁이는 Eunicidae과의 환형동물로 해양에서 발견된다. 몸은 길이 약 250~320mm, 너비 8~10mm, 290여개 마디이며 붉은 갈색을 띤다. 몸 앞쪽의 마디는 원통 모양이고 뒤로 가면서 편평하고 25번째마디 부근이 가장 넓다. 입앞마디는 몸의 앞쪽 부분과 함께 무지갯빛으로 보이고도 하며, 앞부분은 중앙이 깊이 파여 두 자락이 된다. 눈이 발달해 있다. 등쪽에 3개의 안테나가 있고 좌우 측면에 한쌍의 촉수가 있다. 안테나 중에서 가운데 안테나가 가장 길어 첫번째 가시마디 까지 닿는다. 첫번째 다리는 매우 작지만 구조상 뒤에 오는 다리의 모양과 같다. 앞쪽의 다리들은 측면과 복면의 중간에 위치하고 몸의 후반부에서는 측면에 위치한다. 옆다리들은 작은 앞자락과 삼각형의 뒷자락을 갖으며 침이 있는 자락은 거의 발달되지 않는다. 아가미는 24번째 마디부근에서 시작한다. 항문절은 2개의 항문 수염을 갖는다. 연성저질 또는 혼합기질에 서식한다. 낚시 미끼로 이용되는 갯지렁이로 유명하다.

    •   연성 저질의 바위 돌 사이, 자갈 사이에서 많이 서식한다.
      [1]

    •   몸의 앞부분은 원통형이지만, 뒷부분은 배쪽으로 납작한 형태를 가진다. 입앞마디는 두엽상(bilobed)이며, 5개의 안테나를 가진다, 입마디의 촉수는 없다. 아가미는 보통 13~27번째마디부터 나타나며, 1~6개의 아가미실을 지닌다. 가시는 실 모양의 가시, 빗 모양의 가 시, 두 마디로 된 바늘 모양의 가시, 두 개의 이빨을 가진 고리 모양의 가시를 가진다. (Paik, 1989)
      [1]

    •   하와이 EEZ, 카리브해, 사모아 EEZ, 싱가포르, 홍해

    •   포항, 대보, 구룡포, 방어진, 거제만, 돌산도, 거문도, 군산, 가로림만,울릉도, 통영, 남해, 제주도

    •   모발개선용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화장품 조성물에 이용된 바 있음

    • 출처

      [1].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Ⅰ(2019년)

    •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Ⅰ(2019년)

    • 참고문헌

      1. Grube, Adolph-Eduard. (1870). Beschreibungen neuer oder weniger bekannter von Hrn. Ehrenberg gesammelter Anneliden des rothen Meeres. Monatsbericht der Koniglich Preussischer Akademie der Wissenschaften zu Berlin, 1869. 484-521. Kinberg, J.G.H. (1865). Annulata nova. Öfversigt af Königlich Vetenskapsakademiens förhandlingar, Stockholm. 21(10): 559-574.

      2. Ehlers, Ernst. (1908). Die bodensässigen Anneliden aus den Sammlungen der deutschen Tiefsee-Expedition. 1-168. IN: Chun, Carl (Ed.). Wissenschaftliche Ergebnisse der Deutschen Tiefsee-Expedition auf dem Dampfer ''Valdivia'' 1898-1899.

      3. 16(1): 1-168, Treadwell, A. L. (1922). Leodicidae from Fiji and Samoa. Carnegie Institute of Washington Publication. 312: 127-170

      4. Stimpson, William. (1856). Description of some new marine invertebrates. Proceedings of the Academy of Natural Sciences of Philadelphia. 7(10): 385-394. Treadwell, Aaron L. ((1901) 1902). The Polychaetous annelids of Porto Rico. Bulletin of the United States Fish Commission. 20(2): 181-210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2133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2222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222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바위털갯지렁이(Marphysa sanguinea) 유생의 착저와 초기 성장에 미치는 기질 크기 및 유기물 함량 Marphysa sanguinea is the most well-known polychaete species with a high economic value. However, this species has a high mortality in the early rearing stage of aquacultu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optimal substrate size and organic contents for the growth and survival rate of M. sanguinea larvae and juveniles. It was observed that the smaller grain size (<Ø 0.063 mm) and high organic contents (5-10%) induced settlement and reduced settlement time of larvae. Moreover, the growth and survival rate of larvae reached high levels at Ø 0.004-0.016 mm of grain sizes and 5-7.5% of organic contents as advantageous substrates for settlement. The survival rate of juveniles reached over 90% in less than Ø 0.016 mm substrate on 15-day experiment for different grain sizes of substrate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ubstrate compositions of less than Ø 0.016 mm of sand size and 5-7.5% of organic contents in mud will enhance the productivity of M. sanguinea at the early stage. 와와푸,김성균,김창훈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1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바위털갯지렁이로부터 분리된 세린 프로테아제를 포함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1020170047982 (주)한국연안환경생태연구소 원문정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84건, 1/37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NA0006967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바위털갯지렁이
      Marphysa sanguinea
      대한민국 2011-08-10
      MABIK NA0006967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바위털갯지렁이
      Marphysa sanguinea
      대한민국 2011-08-10
      MABIK NA0006967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바위털갯지렁이
      Marphysa sanguinea
      대한민국 2011-07-21
      MABIK NA0006967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바위털갯지렁이
      Marphysa sanguinea
      대한민국 2011-07-26
      MABIK NA0006967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바위털갯지렁이
      Marphysa sanguinea
      대한민국 2011-07-27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