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둥근성게

둥근성게Mesocentrotus nudus (A. Agassiz, 1863)

  • 해양생물평가등급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Echinodermata극피동물문 > Echinoidea성게강 > Camarodonta공치성게목 > Strongylocentrotidae둥근성게과 > Mesocentrotus중간둥근성게속 >
  • 종설명(Description)

    •   각은 중형 또는 대형으로, 강하고 반구 모양이다. 구부 쪽이 약간 편평하고 위구부를 향해서 오목하다. 보대의 폭은 간보대 폭의 약 3/4에 해당하며, 유공부가 폭이 넓어 무공부의 거의 2배에 해당한다. 커다란 중간 혹이 보대의 정중선 위에서 지그재그 식으로 배열해 있으나 유공부에서는 큰 가시와 평형하여 뚜렷하게 1열로 세로로 배열해 있다. 구부 쪽에 있는 혹은 크기가 약간 적은 편이다. 큰 가시는 길고 단단하며, 표면에는 가느다랗게 길이로 선이 나 있으며, 끝부분은 아주 뾰족하지 않다. 때로는 짧으며 끝이 무딘 것도 있다. [2]

    •   이 종은 우리나라 제주도를 제외한 전 해역에 널리 분포하는 종이다. 천해에서 심해에 이르기까지 넓은 서식 범위를 가지고 있다. 성체의 크기가 큰 편이고 생식선의 크기가 큰 편이라 생식선 추출하여 식재료로 활용되는 종이다.

    •   서해, 남해, 동해, 울릉도

    •   일본, 중국(서해), 동중국해

    • 참고문헌

      [1]. Rho, B.J. and S. Shin, 1981. A Systematic Study on the Echinoderms in Korea. J. Korean Res. Inst. Liv., Ewha Womans Univ., 28: 21-53.
      [2]. Shin S, 2011. Invertebrate Fauna of Korea Vol.32, No. 2: Sea Urchins (Echinodermata: Echinozoa: Echinoid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pp. 1-122.
      [3]. Shin S, 2011. Invertebrate Fauna of Korea Vol.32, No. 2: Sea Urchins (Echinodermata: Echinozoa: Echinoid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pp. 1-122.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32123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3333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22232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COI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4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Zinc Undecylenate가 말똥성게(Hemicentrotus pulcherrimus)와 둥근성게(Mesocentrotus nudus)의 배아발생에 미치는 독성 영향 The aim of this study is toxicity assessment using two types of sea urchins (H. pulcherrimus, M. nudus) that can representative primary consumers in potential coastal environments pollutants, Zinc undecylenate (ZU), which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pharmaceutical agents and anti-bacterial and anti-fungi. The Fertilization rate and normal mbryogenesis rate of H. pulcherrimus and M. nudus were concentration-dependent decreased. Besides, EC50 of fertilization rate with H. pulcherrimus and M. nudus were 11.27 mgl-1 and 1.48 mgl-1, and EC50 of normal embryogenesis were 0.94 mgl-1 and 3.78 mgl-1. NOEC of normal embryogenesis were 0.20 and 0.78 mgl-1, respectively. In addition, to find the safety criteria of the ZU on the marine environment. PNEC value was 0.0094 mgl-1, calculated using the toxicity values of two species of sea urchin derived from this study and the acute toxicity results of the coastal area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above results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environmental protection strategies for marine environmental pollutants. 최훈,박윤호,이주욱,이승민,최윤석,황운기 (사)한국해양생명과학회 상세보기
        둥근성게(Mesocentrotus nudus)를 이용한 과불화화합물의 생태독성평가 In this study, the toxic effects of PFOA and PFOS potassium salt on Mesocentrotus nudus using 10 min-fertilization rate and 48 h-normal embryogenesis were confirmed through the calculation of toxicity values such as Non-observed effective concentration, Low-observed effective concentration, and 50% of effective concentration. The case of 10 min-fertilization rate and 48 h-normal embryogenesis showed the concentration-dependent reduction pattern when exposed to PFOA and PFOS potassium salt, in tested concentration, respectively. The EC50 values of 10 min-fertilization rates for PFOA and PFOS potassium salt were 1346.43 mg/l and 536.18 mg/l, respectively, and the EC50 values of 48 h-normal embryogenesis were 42.67 mg/l and 17.81 mg/l, respectively. Both toxicity test methods showed high toxicity sensitivity to PFOS potassium salt.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the concentration of PFOA and PFOS in the marine environment has continuously decreased, and it is not enough to show acute toxicity to sea urchin. However, PFOA and PFOS have a very long half-life and can accumulate throughout the life of marine life, so it is still observed at a high concentration in shellfish. Therefore, a study on chronic toxicity through the whole-life cycle of marine organisms in coastal environments should be needed 최훈,이주욱,이승민,전형주,허승,황운기 (사)한국해양생명과학회 상세보기
        둥근성게(Mesocentrotus nudus)와 말똥성게(Hemicentrotus pulcherrimus)의 수정 및 정상 배아발생률을 이용한 Phenanthrene의 독성영향 본 연구에서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중, phenanthrene이 둥근성게(Mesocentrotus nudus)와 말똥성게(Hemicentrotus pulcherrimus)의 수정률과 정상유생 발생률에 미치는 독성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H. pulcherrimus와 M. nudus의 모체에서 각각 획득한 정자와, 인공수정을 통하여 획득된 수정란을 phenanthrene에 노출시킨 후, 수정률과 정상배아 발생률을 측정하였다. 시험결과, H. pulcherrimus와 M. nudus의 수정률과 정상배아 발생률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H. pulcherrimus와 M. nudus의 수정률에 대한 EC50값은 17.48 mg L-1과 16.21 mg L-1이었고, 정상배아 발생률의 EC50값은 각각 2.99mgL-1과 0.36mgL-1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H. pulcherrimus는 M. nudus보다 phenanthrene 노출에 대하여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상배아 발생률은 수정률에 비하여 더 민감한 종말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phenanthrene은 두 종의 성게 정자의 수정과 초기발달 단계를 포함한, 연안에 서식하는 다양한 생물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중, 두 종의 성게는 다른 연안 서식 생물 종들에 비하여, Phenanthrene의 bio-monitoring을 위한 민감한 생물종일 수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와 독성값(NOEC, LOEC 및 EC50)은 Phenanthrene을 포함한 PAHs의 환경 기준농도 설정을 위한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최훈,이주욱,박윤호,이승민,최윤석,허승,황운기 한국환경생물학회 상세보기
        둥근성게(Mesocentrotus nudus)의 수정 및 배아 발생률에 미치는 신방오도료(Diuron, Irgarol)의 독성영향 둥근성게(Mesocentrotus nudus)의 수정 및 배아 발생률을 이용하여 신방오도료 2종(Diuron, Irgarol)의 독성영향을 조사하였다. Diuron과 Irgarol이 시험생물에게 미치는 독성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시험농도 1.25, 2.50, 5.00, 10.00, 20.00 및 40.00 mg L-1를 조성하였다. M. nudus으로부터 정자와 난자를 얻기 위하여 체강에 0.5M KCl 1mL를 주입하여, 수컷에서는 흰색이나 크림색 정자를, 암컷에서는 노란색이나 주황색 난자를 획득하였다. 획득 후, 30분 이내에 충분히 세척한 뒤 시험에 사용하여, 수정률의 경우는 10분, 정상배아 발생률은 48시간 동안 노출하였다. Diuron과 Irgarol은 수정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정상배아 발생률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EC50=21.62 mg L-1, 95% CI=18.95~24.29 mg L-1) and irgarol (EC50=22.45 mg L-1, 95% CI =22.15~22.75 mg L-1). 또한, Diuron과 Irgarol에 노출된 정상배아 발생률의 NOEC는 <1.25 mg L-1였으며, LOEC는 각각 1.25, 2.5 mg L-1를 나타냈다. Diuron과 Irgarol은 해양생태계 내에서 1.25, 2.5 mg L-1 이상의 농도가 나타날 시, M. nudus를 포함한 무척추동물에 독성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와 독성값(NOEC, LOEC 및 EC50)은 해양생태계 내에서 Diuron과 Irgarol 같은 신방오도료의 해양환경 기준농도를 설정하는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황운기,이주욱,박윤호,허승,최훈 한국환경생물학회 상세보기
        동해 연안에 서식하는 성게의 형태변이와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분석 성게의 형태학적 분류는 그것의 형질적 변이에 의하여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말똥성게, 둥근성게, 보라성게, 분홍성게와 동해안에서 포획된 미확인 성게 4종의 형태형질 비교와 계통유연관계를 조사하였다. 성게의 생식소로부터 genomic DNA를 분리한 후, PCR 방법을 통하여 mitochondrial 12S rD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둥근성게과의 말똥성게, 둥근성게, 만두성게과의 보라성게, 주발성게과의 분홍성게의 mitochondrial 12S rDNA의 염기서열은 미확인 성게종들의 그것과 85.9-93.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미확인 성게종들은 새치성게의 mitochondrial 12S rDNA의 일부 염기서열과 99.8%의 높은 상동성을 보였으며, 각 개체의 mitochondrial 12S rDNA를 통한 분자계통수 분석에 의해서 미확인 성게들은 새치성게의 형태적 변이로 판단된다. 신지혜,김성규,김영대,손영창 한국양식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2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트리클로산 노출에 대응하는 둥근성게 유전자 및 이를 이용한 해양 생태계 진단 방법 102014013306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원문정보
        신규한 둥근성게 유래의 Sn-SRC 유전자 및 이를 이용한 핵수용체 단백질의 전사활성 조절에 유용한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1020090088825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원문정보
      • 전통지식

        검색결과 1

        전통지식 목록 - 학명, 국명, 지역, 주용도, 구전 전통지식
        학명국명지역주용도구전 전통지식
        Mesocentrotus nudus 둥근성게 강원도 식용,약용 바다에서 채취하는 둥근성게는 말똥성게와 비교해 색이 까맣고 알을 생으로 먹거나, 찜 또는 국을 끓여 먹는다.
        돌성게(둥근성게)를 잡아 생으로 밥에 비벼 먹는다.
        겨울에 잡은 성게(둥근성게)를 미역국에 넣어 끓여 먹으면 산후조리에 좋다.
    • 자원정보

      검색바

      총 268건, 1/54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IV0001261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둥근성게
      Mesocentrotus nudus
      대한민국 2012-01-17
      MABIK IV0001262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둥근성게
      Mesocentrotus nudus
      대한민국 2012-02-04
      MABIK IV0001264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둥근성게
      Mesocentrotus nudus
      대한민국 2012-03-28
      MABIK IV0001265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둥근성게
      Mesocentrotus nudus
      대한민국 2012-05-09
      MABIK IV0001266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둥근성게
      Mesocentrotus nudus
      대한민국 2012-07-18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