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연안날래장수노벌레

연안날래장수노벌레Microarthridion littorale (Poppe, 1881)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Arthropoda절지동물문 > Copepoda > Harpacticoida갈고리노벌레목 > Tachidiidae날래장수노벌레과 > Microarthridion조막마디날래장수노벌레속 >
  • 종설명(Description)

    •   체형은 반원통형이며, 몸 길이는 660-716 μm 정도이다. 전체부와 후체부는 명확히 구분되어 진다. 항절을 제외한 각 체절은 뒷가장자리를 따라서 긴 잔가시열을 가지고 있으며, 각 체절의 외피는 미소한 잔가시들로 장식되어 있다. 전체부의 체절들은 nuchal organ을 가지는데, 두흉부에 3개 그리고 흉절들은 2개가 존재한다. 이마뿔은 삼각형 모형이며, 두흉부와 융합되어 있고 아말단에 1쌍의 감각모를 가진다. 배쪽에는 확장된 돌기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그 끝에는 1쌍의 감각모를 가지고 있다. 항문판은 약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뒷가장자리를 따라 잔가시를 갖는다. 미차의 길이는 폭의 너비 정도이며, 등쪽부터 안쪽 가장자리까지 사선의 잔가시열을 갖는다. 제1촉각은 6마디로 이루어져 있으며, 네 번째와 마지막 마디에 감각모를 갖는다. 수컷 제1촉각은 말단팔굽모양으로 변형되어 있으며, 7마디이다. 제2촉각 외지는 2마디로 이루어져 있으며, 첫 번째 마디에 1개의 강모 그리고 두 번째 마디에 3개의 강모를 갖는다. 대악의 내지는 2개의 측면 강모와 5개의 말단 강모를 가지고 있으며, 외지는 1개의 측면 강모와 4개의 말단 강모를 갖는다. 제1소악 내지는 1마디이며, 기절과 융합되어 있다. 제2소악 전저절합부(syncoxa)는 3개의 내돌기를 가지며, 내지는 1마디이고 5개의 강모를 갖는다. 악각은 여러개의 잔가시열로 장식되어 있다. 내지는 짧고 1개의 발톱과 2개의 매끈한 강모를 가진다. 제1~4흉지의 외지와 내지는 모두 3마디로 이루어져 있다. 제1흉지 기절의 바깥 강모는 전방 표면에 위치하고 있다. 제1흉지 내지의 세 번째 마디는 5개의 강모를 갖는다. 제2~4흉지 내지의 첫 번째 마디는 매우 축소되어 있으며, 내측 강모를 가지지 않는다. 제2~4흉지의 강모식은 다음과 같다(외지/내지). 제2흉지 0.1.222/0.2.221, 제3흉지 0.1.222/0.2.321, 제4흉지 0.1.122/0.1.221. 수컷 제2흉지 내지의 세 번째 마디는 변형된 외측 가시를 가진다. 암컷 제5흉지의 외지와 내지는 서로 융합되어 하나의 판을 이루고 있으며, 4개의 긴 강모를 가지고 있다. 외측 강모를 가지고 있는 돌기와 흉지의 융합된 판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수컷 제5흉지 역시 넓은 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4개의 강모를 가진다.

    •   유럽, 북아메리카, 동아시아

    •   서해안(진도)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A New Record of Microarthridion littorale (Copepoda, Harpacticoida, Tachidiidae) from Korea with Taxonomic Note on the Species A harpacticoid copepod, Microarthridion littorale (Poppe, 1881), is newly recorded in Korea. Microarthridion species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a combination of the number of the antennular segment, the number of the seta on the antennary exopod, and the armature of the thoracopod legs. Korean materials examined coincide well with M. littorale on these well-known characteristics. However, there are some minor differences in the ornamentations of the maxilliped and swimming legs. The specimens show additional sexual dimorphisms in the setae on enp-3 of P1 and exp-3 of P2-P4. Morphological diversity of so-called M. littorale is also discussed here with detailed features. 김종국,최현기,윤성명 한국동물분류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3건, 1/1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CR0025074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연안날래장수노벌레
      Microarthridion littorale
      대한민국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2013-03-26
      MABIK CR0025061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연안날래장수노벌레
      Microarthridion littorale
      대한민국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2013-03-26
      MInRB-Hr46-S001 해양간극동물자원 표본 연안날래장수노벌레
      Microarthridion littorale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2019-03-23 1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