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Microbulbifer gwangyangensis Jeong et al., 2013
의미: 갯벌에서 분리한 Microbulbifer속 세균 / 분리원: 퇴적토 / 분포: 우리나라의 남해안 / 분리방법: 해수의 희석방법에 의한 직접 배양 / 특성: 고분자 지질 생산 등 / 보존기관 정보: KCCM, JCM
[1]
D-glucose, L-rhamnose, cellobiose, maltose
[1]
퀴논: Q-8 / 주요 지방산: iso-C15 : 0, C16 : 0, C18 : 1v7c, iso-C17 : 1v9c, iso-C11 : 0 3-OH, iso-C17 : 0 and iso-C11 : 0. / DNA G+C 비율(%): 55.1
[1]
온도(최적온도): 10-40 (35) / 염도(최적염도): 0-9 (1-2) / Ph(최적pH): 5.5-9 (7-7.5) / 산소요구도: 절대호기성 / 주요기질: Tween 20, Tween 80, casein and starch
[1]
배양배지: Marine broth 2216, Marine Agar 2216 / 그람염색: 음성 / 콜로니특징: 흰색 Marine agar에서 약 1 mm 크기 / 세포형태: 간균 / 세포크기: 0.3-0.4 x 2-4.5 um
[1]
출처
[1]. 해양극한미생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해양극한미생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참고문헌
IJSEM 63, 1335-1341 (2013)
NCBI (Microbulbifer gwangyangensis)
16SrRNA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