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진주담치속살이Modiolicola bifida Tanaka, 1961
암컷: 체장 1.13~1.96 mm로 개체간의 크기 차이가 크다. 항문절의 복부 쪽 뒷변에는 미세한 침상돌기들이 있다. 꼬리가지는 길이가 폭의 3.7배이고 꼬리강모 중 말단의 맨 안쪽의 것과 맨 바깥쪽의 것만 기부가 희미하게 깃털모양이고 다른 강모는 밋밋하다. 제1촉각의 강모식은 4, 13, 6, 3, 4+1촉모, 2+1촉모, 7+1촉모이다. 제2촉각의 강모식은 1, 1, 3, 4+III이다. 넷째 마디의 길이는 폭의 2.1배. 대악은 가늘고 길다. 제1소악은 말단에 4개의 강모를 가진다. 제2소악의 둘째 마디는 1개의 강모를 가지며, 말단은 긴 채찍으로 이루어진다. 악각은 3마디이고, 셋째 마디는 뾰족하다. 제4흉지의 내지 셋째마디 바깥쪽 변 말단부에는 1개의 치상돌기가 있다. 흉지의 강모식은 다음과 같다.
제1흉지: 저절 0-1; 기절 1-0; 외지 I-0; I-1; III,I,4; 내지 0-1; 0-1; I,5
제2흉지: 저절 0-1; 기절 1-0; 외지 I-0; I-1; III,I,5; 내지 0-1; 0-2; III,3
제3흉지: 저절 0-1; 기절 1-0; 외지 I-0; I-1; III,I,5; 내지 0-1; 0-2; IV,2
제4흉지: 저절 0-1; 기절 1-0; 외지 I-0; I-1; II,I,5; 내지 0-1; 0-1, II
제5흉지의 길이는 폭의 1.27배이고 안쪽 기부에 희미하고 뭉툭한 2개의 팽대부가 있다. 말단에는 커다란 가시 1개와 강모 1개가 있다
수컷: 체장 1.02 mm. 후체부는 6마디. 악각은 4마디로서 둘째마디의 안쪽 변에는 2개의 강모와 약 3열의 많은 치상돌기들이 있다. 발톱은 길고 기부에 1개의 강모와 1개의 미세강모가 있다. 일본과 한국에 분포하며, 한국에서는 전 연안에 분포한다.
숙주는 바지락, 굴, 피조개, 새꼬막, 동죽 등 10종 이상의 이매패류이다 .
[1]
일본
[1]
전 해안(대진, 부산, 통영, 남해도, 순천, 도양, 목포, 부안, 인천)
[1]
출처
[1]. 해양간극동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해양간극동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참고문헌
1. Tanaka O, 1961. On copepods associated with marine petecypods in Kyushu. Journal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Kyushu University 11(3):249-273, pls. 22-37.
2. 김일회, 2015. 대한민국 생물지. 한국의 무척추동물, 제21권 40호. 자포동물, 다모류, 갑각류 공생 검물벼룩류. 국립생물자원관, 199 pp.
경제적가치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3 | 3 | 3 | 3 | 3 |
생태적가치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3 | 3 | 3 | 3 | 3 |
학술적가치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3 | 3 | 3 | 3 | 3 |
NCBI (Modiolicola bifida)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