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두가시육질꼬리옆새우

두가시육질꼬리옆새우Monocorophium acherusicum (Costa, 1853)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Arthropoda절지동물문 > Malacostraca연갑강 > Amphipoda단각목 > Corophiidae육질꼬리옆새우과 > Monocorophium단뱀옆새우속 >
  • 종설명(Description)

    •   몸길이는 3-5 mm로 소형종이다. 몸은 원통형으로 등쪽으로 매끄럽다. 이마뿔은 수컷의 경우짧고 약간 돌출하며 암컷의 경우는 뾰족한 삼각형으로 잘 구별된다. 눈은 중간 크기로 타원형이며 돌출한 측두엽에 위치한다. 제1촉각은 짧고 강모가 적다. 주채찍은 병부의 절반정도의 길이이다. 제2촉각은 성적이형이 나타난다. 수컷의 경우 제2악지는 육중하다. 제4병부마디 후복측에는 크기가 서로 다른 2갈래의 이를 가진다. 제5병부마디 근위부에 돌출된 돌기를 가진다. 암컷의 경우 수컷보다 강모가 더 많고 제4병부마디 복측에 2-2-2-1의 가시식으로 7개의 가시를 가진다. 제1악지는 많은 강모를 갖고 가늘다. 완절은 등쪽으로 완만하게 휘어있고 복측으로 2줄의 깃모양 강모를 가진다. 전절은 직사각형으로 완절의 길이와 비슷하다. 손바닥은 비스듬하고 1개의 가시로 한정된다. 지절은 낫 모양으로 손바닥을 넘는다. 제2악지는 제1악지보다 크다. 장절은 완절의 아래에 위치하고 2열의 깃털강모를 줄지어 갖는다. 전절은 완절의 약 1.5배 길이로 직사각형에 가깝다. 손바닥은 불명확하다. 지절은 안쪽으로 2개의 이를 가진다. 제3-4흉지와 제5-6흉지는 길이가 짧고 각각 형태적으로 유사하다. 제7흉지는 제5-6흉지에 비해 많이 길다. 기절은 폭이 길이의 약 절반 정도인 긴 난형이다. 양쪽 변에는 많은 깃털강모를 가진다. 제 1-3미절은 융합한다. 제1-2미지는 작고 통통하며 병부와 분지는 가시들을 가진다. 제3미지 병부는 분지에 비해 약간 짧다. 분지는 단일분지하고 원형에 가깝다. 꼬리는 폭이 길이의 약 1.6배인 삼각형으로 작고 통통하다. 수심이 얕은 조간대 갯벌에 서식한다.
      [1]

    •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인도양, 지중해, 일본, 중국, 태평양, 대서양, 남아프리카
      [1]

    •   전 해역
      [1]

    • 출처

      [1]. 해양단각류 기탁등록보존기관

    • [2]. 해양단각류 기탁등록보존기관

    • 참고문헌

      1. Kim YH, 2011. Invertebrate fauna of Korea, Side Swimmers I.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1(8): 1-130.

      2. Kim W., Kim C.B. 1991. The marine amphipod crustaceans of Ulreung Island, Korea: Part I. Korean J. Zool. 34(2): 232-252.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장봉도 갯벌의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와 조피볼락(Sebastes schiegeli)의 섭식생태 The comparative feeding ecology of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and Schlegel's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reli populations was investigated in the Jangbong tidal flat near Incheon, Korea. Monthly samples were taken using a modified otter trawl from November 1999 to January 2001. The stomach contents of 124 greenling and 115 Schlegel's black rockfish were analyzed. The diet of H. otakii was dominated by the amphipods Gammaropsis iaponicus, Caprella scaura, Isaeopsis sp. and Monocorophium acherusicum, the shrimps Latreutes mucronatus and Alpheus japonicus, the mysid Neomysis orientalis and the bivalve Mytilus edulis. In contrast, S. schlegeli mainly fed on the mysids N. orientalis, N japonica, and N. awatschensis, the shrimps Exopalaemon carinicauda, A. japonicus and L. mucronatus, and the fish Pholis fangi and unidentified gobiids. A comparison of the frequency and abundance of food items showed that crustaceans (e.g. amphipods, mysids and shrimps) were important foods for both species. Their main dietary components, however differed which is probably due to differences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two species and their prey items. In conclusion, greenling and Schlegel's black rockfish, despite being sympatric on a tidal flat have distinct food habits and low dietary overlap (Schooner's index: 0.1). These results indicate, to some extent, resource partitioning for the maximum utilization of available foods in the tidal flat. 서인수,홍재상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351건, 1/71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CR0000065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두가시육질꼬리옆새우
      Monocorophium acherusicum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 대부북동 2010-07-29
      MABIK CR0000065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두가시육질꼬리옆새우
      Monocorophium acherusicum
      대한민국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2010-10-06
      MABIK CR0000065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두가시육질꼬리옆새우
      Monocorophium acherusicum
      대한민국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2010-07-27
      MABIK CR0000065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두가시육질꼬리옆새우
      Monocorophium acherusicum
      대한민국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2010-10-19
      MABIK CR0000065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두가시육질꼬리옆새우
      Monocorophium acherusicum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 대부북동 2010-05-27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