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두가시자주새우Neocrangon communis (Rathbun, 1899)
최대 갑각 길이는 19 mm 가량 이며, 이마뿔은 눈의 각막 앞가장자리에 거의 닿거나 약간 넘어서며 기부는 약간 위로 솟아오르고 이마뿔 끝부분이 배쪽으로 약간 구부러진다. 이마뿔은 표면이 매끈하고 등면이 약간 움푹하며 끝이 뭉뚝하다. 갑각 등면에는 얕은 등중앙마루가 갑각 전체 길이의 0.3 지점까지 뻗어있으며, 등중앙마루에 2개의 꾸렷하고 뾰족한 가시가 있다. 뒤쪽의 가시가 앞의 가시보다 더 크며, 등중앙마루의 2개의 가시 외에 간가시, 더듬이윗가시, 아가미앞가시가 갑각에 있다. 제4배마디 등면에는 불분명한 마루가 있으며, 제5배마디에는 낮고 넓은 등중앙마루가 선명하다. 제4배마디 옆갑의 가장자리에는 가시가 없지만, 제5배마디 옆갑의 뒷가장자리에 보통 1개의 가시가 있으나 드물게 가시가 없는 경우도 있다. 진흙새우과에 속하는 다른 새우류와 동일하게 제1가슴다리의 집게발은 부동지가 온전하지 못해 subchelate한 모양이다.
몸은 전체적으로 황갈색을 띠며, 갑각에 적갈색의 불분명한 가로 줄무늬가 있다. 동아시아 일대 연안의 모래 및 펄질 기질의 조하대에서 서식하며 최대 1500 m 깊이에서도 발견된다.
[1]
북태평양 북부 해역, 추코트 해
[1]
경상북도 및 경상남도 등 우리나라 남해 동부 및 동해 남부 연안 일대
[1]
국내 서식하는 자주새우속 중에서 비교적 큰 편임에도 우리나라에서는 잘 소비하지 않지만 일본 및 북태평양 연안에서는 자주새우속의 새우를 다량 어획하여 소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출처
[1]. 해양생명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1단계 3차년도)
[2]. 해양생명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1단계 3차년도)
참고문헌
1. Rathbun, M.J., 1899. List of Crustacea known to occur on and near the Pribilof Islands. In: Jordan, D.S., The Fur Seals and fur-seal Islands of the North Pacific Ocean, Part 3: 555-557. Washington.
NCBI (Neocrangon communis)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