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병어헛도둑노벌레Nothobomolochus triceros (Bassett-Smith, 1898)
암컷: 체장 2.0 mm 내외로 동일 속의 국내 종 중 몸이 크다. 두흉절의 폭은 길이의 약 2배다. 생식이중절의 폭은 길이의 약 1.5배다. 항문절 배면에는 2개의 미세가시 집단이 있다. 꼬리가지는 항문절보다 짧고 길이는 폭의 약 1.7배이다. 제1촉각은 6마디이며, 첫째 마디에는 2개의 강모와 3개의 가시가 있으며, 가시 3개는 마디 폭보다 훨씬 길다. 제2촉각은 3마디로, 셋째 마디 안쪽 변을 따라 미세가시들이 있고, 말단부가 뭉툭한 돌기 모양으로 돌출하며, 4개의 발톱, 3개의 밋밋한 강모, 1개의 빗모양 돌기가 있다. 대악 말단부는 막 모양 테두리를 가지는 2개의 가시가 있다. 제1소악에 4개의 강모가 있는데, 2개는 작고 2개는 크다. 제1소악 둘째 마디는 2개의 가시와 2개의 작은 강모가 있다. 악각은 3마디로 둘째 마디는 팽대되어 있고 큰 강모 1개와 작은 강모 1개가 있다. 셋째 마디는 1개의 깃털강모와 말단이 커다랗고 휘어진 갈고리를 이룬다. 제1흉지의 외지는 2마디이고, 이의 내지와 다른 흉지의 내 외지는 모두 3마디이다. 제5흉지는 2마디이며, 둘째 마디(외지)의 길이가 폭의 약 2.5배이다. 제1~제4흉지의 강모식은 다음과 같다. 제1흉지: 저절 0-1; 기절 1-0; 외지 IV,6; 내지 0-1; 0-1; 5 제2흉지: 저절 0-1; 기절 1-0; 외지 I-0; I-1; III,I,5; 내지 0-1; 0-2; II,3 제3흉지: 저절 0-1; 기절 1-0; 외지 I-0; I-1; II,I,5; 내지 0-1; 0-2; II,2 제4흉지: 저절 0-0; 기절 1-0; 외지 I-0; I-1; III,I,4; 내지 0-1; 0-1; I,1,I
수컷: 체장 1.4 mm 내외이고 좁다. 후체부는 4마디로서, 복절이 2개이다. 제1촉각의 첫째 마디에는 5개의 평범한 강모가 있다. 제2촉각은 암컷에서와 동일하다. 악각은 4마디이며 끝마디는 갈고리를 이룬다. 제1, 제4흉지는 암컷의 것들과 다르다. 강모식은 제1흉지에서 외지 1-0; 9 내지 0-1; 0-1; 5이고, 제4흉지에서 외지 I-0; 0-1; II,I,4, 내지(2마디) 0-1; I,1,I이다. 제5흉지의 둘째 마디는 가늘고 길이가 폭의 약 4.4배이며, 1개의 가시모양 강모와 1개의 깃털강모를 가진다.
병어(Pampus argenteus)에만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가미방에서 활동한다.
인도, 아라비아해, 대만, 일본
남해안(여수, 삼천포)
| 경제적가치 |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 3 | 3 | 3 | 3 | 3 |
| 생태적가치 |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 3 | 2 | 3 | 2 | 3 |
| 학술적가치 |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 3 | 3 | 3 | 3 | 3 |
NCBI (Nothobomolochus triceros)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