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연어

연어Oncorhynchus keta (Walbaum, 1792)

  • 회유성해양동물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2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hordata척삭동물문 > Actinopteri조기강 > Salmoniformes연어목 > Salmonidae연어과 > Oncorhynchus연어속 >
  • 종설명(Description)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33333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3333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3323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6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기능성 지질 추출 소재로서 Fish Frames의 지질성분 특성 수산가공 부산물인 fish frame을 기능성 지질 추출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6종의 fish frame(붉은메기, 연어. 삼치, 고등어, 붕장어, 가다랑어 등)에 대한 지질성분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Fish frame에 대한 어류 뼈의 수율은 가다랑어가 64.2%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연어(57.9%), 붕장어(54.6%), 붉은 메기(42.0%), 삼치(41.7%)등의 순이었으며, 고등어가 32.6%로 가장 낮았다. 어류 뼈 유래 총 지질 중 중성 지질의 함량은 삼치가 23.3g/100g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붕장어 (21.5 g/100 g), 연어 (16.0 g/100 g), 고등어 (15.5 g/100 g)의 순이었으며, 가다랑어와 붉은 메기의 경우 다른 4종의 어류에 비하여 확연히 낮았다. 붉은 메기를 제외한 5종 어류의 중성지질 모두가 근육 및 뼈 지방에 관계없이 TG가 주성분(근육지방, 71.9-83.2%; 뼈지방, 74.2-86.9%)이었고, 다음으로 근육지방의 경우, FFA(8.1-19.2%), 뼈지방의 경우 FS(5.5-l5.5%)이었다. 붉은 메기의 경우, 중성지질의 주성분인 TG의 조성비(근육지방, 48.6%; 뼈지방, 45.3%)가 다른 어류에 비하여 확연히 낮았고, FFA의 조성비 또한 근육지방(41.6%) 및 뼈지방 (43.4%)에 관계없이 모두 5종의 어류에 비하여 확연히 높았다. 어류 뼈의 중성 지질의 EPA+DHA 조성은 연어 가 29.3%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가다랑어(27.1%), 붉은 메기(27.0%), 고등어(25.7%), 삼치(21.6%)의 순이었고, 붕장어의 경우 14.9%에 불과하였다. 이상의 수율, 중성지질 함량, 유리지방산 조성 및 EPA+DHA 조성 비율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기능성 지질 추출원으로는 연어가 가장 우수하였고, 다음으로 삼치, 붕장어, 고등어, 가다랑어 등의 순이었으며, 붉은 메기의 경우 부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김정균,한병욱,김혜숙,박찬호,정인권,최영준,김진수,허민수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상세보기
        한국산 연어과(Salmonidae) 어류 1미기록종, Oncorhynchus tshawytscha(Walbaum, 1792) A single specimen (91.5 cm standard length) of the salmonid species, Oncorhynchus tshawytscha (Walbaum, 1792) was collected on April 19, 2022 in Sokcho-si, Gangwon-do, Korea. O. tshawytscha has the follow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ase of lower jaw teeth is black, black spots are scattered on the dorsal section of body, and the edge of caudal fin is black. Although the species is morphologically similar to Oncorhynchus kisutch, O. tshawytscha differs from it in having black spots on the caudal fin. Molecular analysis results based on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sequences showed that our specimen perfectly matched with the COI sequences of O. tshawytscha registered at the NCBI. Therefore, we suggest the new Korean name 'Wang-yeon-eo' for O. tshawytscha. 이유진,김진구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태화강 내 연어(Oncorhynchus keta) 치어의 방류에 따른 성장 모니터링 태화강에서 방류한 연어(Oncorhynchus keta) 치어의 성장, 생존 및 어류상 등의 모니터링를 통한 생태학적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방류 후 연어 치어의 지점별 포획개체수, 성장 및 어류상 특성을 조사하였다. 태화강 상류로부터 총 4개 지점[선바위교(St.1), 구영교(St.2), 삼호교(St.3), 명촌대교(St.4)]에서 2년간 조사를 실시하였다. 2017년 연어 치어 방류 후 전장은 평균 10 mm, 체중은 평균 0.8 g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2018년 연어 치어 방류 후 평균 전장 10 mm, 체중 0.5 g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연어 치어를 포식할 수 있는 어식성 어류는 St.1에서 6종(동사리, 숭어, 배스, 꺽지, 황어 및 끄리), St.2에서 5종(동사리, 황어, 배스, 꺽지 및 끄리), St.3에서 6종(큰가시고기, 가물치, 날망둑, 배스, 황어, 끄리) 및 St.4는 8종(큰가시고기, 베도라치, 문절망둑, 날망둑, 풀망둑, 강준치, 점농어 및 황어)이 출현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어 치어는 체중의 증가보다 전장 및 체장의 성장에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정 방류지역은 포식생물의 서식이 적고 수심, 유속, 염분 등의 변화가 적은 St.1과 St.2 지점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며 방류 시기는 끄리 및 배스 등의 포식어류의 먹이활동이 활발하지 않은 1월 초순 혹은 포식 활동이 적은 야간이나 새벽시간에 방류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허준욱,윤지우,임한규 한국해양생명과학회 상세보기
        북태평양 서식 연어의 계군 분석 우리나라로 회귀하는 연어는 북태평양에서 서식하는 연어 중 가장 넓은 영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어류로서 이들의 자원관리를 위한 유전학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베링해와 북태평양 지역은 연어의 주 성장지로서 인접국가에서 산란된 연어들이 혼재되어 있어 국가별 연어의 계군을 구분할 수 있는 유전적 마커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고. 본 연구에서는 각 국가별 연어 집단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 차이점, 구조 및 인구통계학적 연구를 통한 유전학적 특징을 밝히고, 베링해와 북태평양 지역에서 성장하고 있는 연어의 국가별 계군의 분포와 이동 양상을 제시하려 한다. 윤문근,정희제 해양환경안전학회 상세보기
        염분 및 사육수 조건에 따른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의 생존율 해산어류의 담수순화에 관한 연구는 일부 광염성 어종에 대해 수행되어 왔으나, 극히 미비한 실정이다 담수순화에 관한 연구는 아가미 구조적 연구, 내분비학적 연구 등이 연어과 어류의 회유시에 밝혀진 바 있다(Chen and Lin., 1994). 다른 해산어류의 삼투압조절 등 생리학적 연구는 숭어의 담수사육에 관한 기초연구 결과가 보고(장과 허, 1999)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삼투압조절 능력 등이 실제 산업에 이용되려면 각각의 양식유용종에 대한 상세한 연구와 각 어종의 염분 내성, 삼투압조절 능력, 염분변화에 따른 생존 및 성장 그리고 삼투압조절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물리적, 화학적, 생리학적 연구 등이 필요하다. (중략) 민병화,허준욱,장영진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12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연어추출물을 이용한 스킨케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2013-0088995 김이리 원문정보
        알긴산나트륨과 젖산칼슘을 이용한 구형 해초이슬 및 그의 제조방법 2010-0003106 (주)해미푸드 원문정보
        인삼.버섯.우육.돈육.계육과등푸른생선.참치.삼치.고등어.꽁치.멸치.연어와새우.게.가재로 만드는 햄버거.샌드위치.피자 제조방법 1020030072818 조남학 원문정보
        어육분말, 어육 가공품 및 그의 제조방법 1020110133839 조영택 원문정보
        인삼.버섯.우육.돈육.계육과 등푸른생선참치.삼치.고등어.꽁치.멸치와 바다 녹색해초다시마.미역.파래.해태.톳으로 만드는햄버거.샌드위치.피자 제조방법 1020030085866 조남학 원문정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45건, 1/9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PI0002318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연어
      Oncorhynchus keta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2011-10-27
      MABIK PI0002339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연어
      Oncorhynchus keta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2012-03-08
      MABIK PI0002349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연어
      Oncorhynchus keta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2012-11-21
      MABIK PI0003220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연어
      Oncorhynchus keta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강서구 2013-11-17
      MABIK PI0004407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연어
      Oncorhynchus keta
      대한민국 강원도 고성군 2013-09-01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