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돌돔

돌돔Oplegnathus fasciatus (Temminck & Schlegel, 1844)

  • 해양생물평가등급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hordata척삭동물문 > Teleostei > Perciformes농어목 > Oplegnathidae돌돔과 > Oplegnathus돌돔속 >
  • 종설명(Description)

    •   몸과 머리는 측편되어있으며, 체고가 높다. 주둥이는 앞쪽을 향해 돌출되어있으며, 짧고 새부리와 같이 튀어나와있다. 위턱의 선단부는 눈의 앞 가장자리에 이르지 못한다. 주둥이에서 등지느러미 시작점까지 경사가 급격하게 높아진다. 등지느러미 시작점은 가슴지느러미 기부와 거의 수직상으로 거의 일치한다. 등지느러미는 극조부와 연조부가 이어져있고, 앞쪽 연조부의 길이가 길다. 꼬리지느러미는 약간 만입되어있다. 체색은 몸의 측면을 따라 검은 세로 줄무늬가 6-7개가 나타나며, 꼬리지느러미 가장자리가 검다. 수컷은 성장에 따라 두부의 줄무늬가 옅어지며 몸 전체적으로 회색빛을 띈다.

    •   수심 0-10m의 얕은 수심에서 주로 서식하며, 유어기에는 해초류와 같이 발견된다. 성게와 같은 극피동물을 주로 섭이한다. 최대크기는 80cm로 알려져있다.

    •   우리나라 전 연안

    •   북서태평양, 일본, 대만, 하와이, 지중해, 이탈리아

    • 참고문헌

      [1]. Fricke, R., Eschmeyer, W. N. & Van Der Laan, R. (eds.). Eschmeyer’s Catalog of Fishes: Genera, species, references.

      [2] Kim, J. K., et al. "Distribution map of sea fishes in Korean peninsula." Sejong, Korea: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9).

      [3] Safran, P., 1990. Drifting seaweed and associated ichthyofauna: floating nursery in Tohoku waters. La mer 28(4):225-239.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23132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2222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22222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이미지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8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아연(Zn) 첨가사료의 투여에 따른 돌돔, Oplegnathus fasciatus의 항산화효소활성의 변화 우리나라의 주요 해산양식어종인 돌돔, Oplegnathus fasciatus을 대상으로 30, 60, 120 및 240 mg/kg의 아연을 40일 동안 경구 투여에 따른 아가미와 간의 항산화효소 활성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돌돔 간의 superoxide dismutase(SOD) 활성은 30~240 mg/kg 아연농도, glutathione peroxidase (GPx) 활성은 30~120 mg/kg의 아연농도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돌돔 아가미의 SOD 및 Glutathione(GSH) 활성은 120 및 240 mg/kg 아연농도, GPx활성은 60~240 mg/kg의 아연농도에서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김용석,강주찬 한국어병학회 상세보기
        구리에 노출된 돌돔(Oplegnathus fasciatus)의 항산화 효소 및 acetylcholinesterase 활성의 변화 A laboratory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chronic effects of waterborne copper exposure on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using a panel of enzymes. The activities of the following biochemical biomarkers were determined at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uSO_4$ for 10 and 20 days: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lactate dehydrogenase (LDH) in plasma; antioxidant enzymes including glutathione (GSH),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glutathione peroxidase (GPx) in liver and gills; and acethylcholinesterase (AChE) in brain and muscle. After exposure to two $CuSO_4$ concentrations (200 and $400{\mu}g/L$), the activities of plasma ALT in the fish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with AST and LDH, depending on $CuSO_4$ concentration. Additionally, GSH levels and SOD activities significantly increased, depending on $CuSO_4$ concentrations in liver and gills. This involved the inactivation of reactive molecules formed during oxidative stress, which could provide protection against oxidative damage induced by $CuSO_4$. However, GPx and AChE activitie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CuSO_4$ in liver and gills. In conclusion, these enzymes may represent convenient biomarkers for monitoring heavy metal pollution in coastal areas. Such chronic exposure studies are necessary for improving our understanding of complementary or deleterious effects of pollutants, and for developing metal toxicity biomarkers. 민은영,강주찬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저수온 노출에 따른 돌돔(Oplegnathus fasciantus)과 민들조개(Gomphina melanaegis)의 생리활성 변화 연구 Physiological response of fish and bivalve was estimated to identify the physiological changes of test species by lowering water temperature due to the abrupt stop of cooling water discharge from power plan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two conditions; fall and winter by decreasing water temperature ($2^{circ}C$/2 days) from $26^{circ}C$ to $17^{circ}C$ for fall scenario and from $15^{circ}C$ to $9^{circ}C$ for winter scenario, respectively. Test organisms were parrot fish (Oplegnathus fasciantus) and bivalve (Gomphina melanaegis), and end points were mortality for both species, hematocrit and cortisol for fish, and hemolymph and superoxide dismutase(SOD) for bivalve. 48/96hr mortality test revealed no mortality for fish and 47% mortality for bivalve at 96hr/$26^{circ}C$ only. Significant increases of hematocrit and cortisol were found at fishes exposed to $26^{circ}C$ (high temperature) and lower temperature ($9{sim}13^{circ}C$), respectively. Hemolymph and SOD for bivalve tended to decrease by lowering water temperature from 15 to $9^{circ}C$ (winter scenario) and no changes from 26 to $17^{circ}C$ (fall scenario). Fall scenario (from 15 to $9^{circ}C$) showed more significant changes of physiological response than winter cases (26 to $17^{circ}C$). 윤성진,진병선,박경수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상세보기
        여수 소리도 주변해역에서 채집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군집구조 소리도 주변해역에서 어류의 종조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9년 8월과 10월, 2000년 2월과 5월에 총 4회에 걸쳐 조사하였으며, 소형 Trawl 어망을 5톤급 어선으로 30분간 예인하였고 소리도 주변해역에 서식하고 있는 어류의 종조성은 총 9목 34과 36속 39종 1920.6개체/$1,000m^3$가 출현하였고 그 중 준치가 460.2개체/$1,000m^3$로 23.96%를 차지하여 가장 많은 개체수가 출현하였으며, 다음으로 고등어가 312.4개체/$1,000m^3$로 16.27%, 멸치가 210.9개체/$1,000m^3$로 10.98% 순으로 출현하였다. 주요 어종의 출현빈도 조사 결과, 연중 출현한 어종은 붕장어, 준치, 양태, 주둥치, 베도라치 실망둑 등으로 소리도 연안의 정착성 어종이였고, 특정 계절에만 출현한 어종은 군평선이와 얼룩통 구멍은 봄철에만 출현하였으며, 풀넙치는 여름에만 출현하였고, 돌돔, 고등어 그리고 삼치는 가을에만 출현하였다. 군집분석을 분석한 결과 종 다양도지수는 1.970~2.528, 풍부도지수는 2.747~4.729, 균등도지수는 0.669~0.759, 우점도지수는 0.455~0.576로 나타났다. 계절별 군집의 유사도는 봄철과 겨울철이 0.0043로 가장 작아 군집상이 매우 유사하였으며, 여름철과 겨울철에는 우점종과 출현종이 유사하지 않아 상대거리차가 0.10135로 군집상에 차이가 가장 컸다. 한경호,이성훈,김선재,윤병일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상세보기
        4종 돔 추출물의 세포독성 효과 비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주로 소비되고 있는 감성돔(A. schlegeli), 참돔(P. major), 돌돔(O. fasciatus) 및 벵에돔(G. punctata)에 대한 기능성 식품으로서 영양학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인체 위암세포(AGS)와 인체 결장암세포(HT-29)에 대한 세포 독성 효과를 비교 연구하였다. 4종의 돔 A+M 및 MeOH 추출물들을 AGS 암세포에 처리했을 때 A+M추출물의 경우 첨가농도 5 mg/ml에서 참돔(P. major)과 감성돔(A. schlegeli) 추출물은 80% 이상의 높은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으로 벵에돔(G. punctata)이 70%, 돌돔(O. fasciatus)이 53%의 세포독성 효과를 보였다. MeOH 추출물의 경우 참돔(P. major)과 돌돔(O. fasciatus) 추출물이 약 80% 이상의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났으며, 이어서 감성돔(A. schlegeli)과 벵에돔(G. punctata) 추출물이 약 70% 정도의 세포독성 효과를 보였다. 4종의 돔의 HT-29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는 AGS 암세포의 결과와 비교했을 때 세포독성 효과는 다소 낮았다. 참돔(P. major), 감성돔(A. schlegeli), 돌돔(O. fasciitis) 및 벵에돔(G. punctata)의 A+M 추출물의 $IC_{50}$ 값은 각각 3.35, 6.16, 6.17 및 4.47 mg/ml이었고 MeOH 추출물의 경우 $IC_{50}$ 값은 각각 3.61, 5.52, 2.07, 및 6.06 mg/ml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4종 돔 중에서 참돔(P. major) 추출물에 의한 세포독성 효과가 상대적으로 높아 참돔(P. major) 추출물을 용매 극성에 따라 분획하여 얻어진 n-hexane, 85% aq. MeOH, n-BuOH 및 water 분획물들에 의한 인체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를 알아 본 결과 85% aq. MeOH 분획물에 의한 AGS 및 HT-29암세포에 대한 $IC_{50}$ 값은 각각 0.33 및 1.58 mg/ml로 나타났다. 따라서 참돔(P. major)의 85% aq. MeOH 분획물은 AGS 및 HT-29 세포 모두에서 가장 높은 세포독성 효과를 보여 85% aq. MeOH 분획물에 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본 연구 결과를 기초자료로 하여 향후 참돔의 다양한 생리활성 규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황성연,임선영 한국생명과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13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식용곤충 및 폐어패류를 활용한 기능성 과립형 반려견 사료 및 그 제조방법 1020180066191 조종철 원문정보
        다기능성 고층어초 1020050021146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원문정보
        차세대 염기서열분석법을 이용한 돌돔(Oplegnathus fasciatus) 개체 식별용 마이크로세틀라이트 마커 1020200110883 전라남도 원문정보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 1020030067578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원문정보
        한국형 돌돔 이리도바이러스의 유전자 및 이를 이용한 백신 1020040103965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원문정보
      •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검색결과 1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목록 - 학명, 국명, 생리활성, 원료등록, 특징/이용
        학명국명생리활성원료등록특징/이용
        Oplegnathus fasciatus 돌돔 식품원료 등록 식품원료 등록
    • 자원정보

      검색바

      총 375건, 1/75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PI0000124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돌돔
      Oplegnathus fasciatus
      대한민국 2011-04-29
      MABIK PI0000130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돌돔
      Oplegnathus fasciatus
      대한민국 2011-05-02
      MABIK PI0000151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돌돔
      Oplegnathus fasciatus
      대한민국 2011-05-04
      MABIK PI0000160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돌돔
      Oplegnathus fasciatus
      대한민국 2011-05-04
      MABIK PI0000187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돌돔
      Oplegnathus fasciatus
      대한민국 2011-03-28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