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별빗돌산호Oulastrea crispata (Lamarck, 1816)
산호체는 군체형, 부착형, 피복형 또는 덩어리모양이다. 보통 촉수 외 아생하지만, 드물게 촉수 내 아생하여 군체를 형성한다. 군체는 너비 17~101 mm, 두께 1~20 mm이다. 산호협은 단면에 판금형(plocoid)으로 배열한다. 산호협의 악부는 다각형 또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직경 약 1.65~10.15(평균 5.07~6.25) mm이다. 산호협 중앙 사이 거리는 1.30~7.64 (평균 5.04) mm이다. 격벽은 13~56(평균 32.3)개, 6방사형 또는 5방사형 3~5차 환열(평균 불완전 4차 환열), 촉수 내 아생하는 확장 산호협에서 최대 61개 격벽이 발달한다. 내측 가장자리에서 격벽 융합이 있다. 3차 환열에서 한 쌍의 3차 격벽이 2차 격벽 앞에서 융합하고, 4차 환열에서 한 쌍의 4차 격벽이 3차 격벽 앞에서 융합한다. 격벽의 크기, 길이, 너비는 불규칙하게 다르다. 저차 격벽이 고차 격벽보다 더 크고 두꺼우며 융기한다. 격벽에는 구멍이 없으며, 침상형 또는 입자상 돌기가 분포한다. 큰 격벽 앞에 엽상체(palilform lobes)가 불규칙하게 발달한다. 축주는 유두돌기형이다.
체부는 암갈색, 구부는 녹색이며, 격벽 상부 가장자리의 육질 부위는 백색으로 두드러진다. 골격은 백색의 격벽 상부를 제외하고 대체적으로 암갈색이다. 조류와 공생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수심 5~16 m(국외 수심 조간대, 0.5~12 m)에서 서식한다.
제주도
일본, 대만, 태국, 중국 (홍콩), 호주, 필리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코르시카, 인도양
참고문헌
[1] Lamarck JBM de. 1816. Histoire naturelle des animaux sans vertèbres. Tome second. Paris: Verdière, 568 pp., available online at http://www.biodiversitylibrary.org/item/47698
[2] Choi E, JI Song. 2015. New Records of Two Zooxanthellate Scleractinian Corals (Anthozoa: Hexacorallia: Scleractinia) from Korea,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Diversity. 31 (2): 86-94.
NCBI (Oulastrea crispata)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