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빗참집게Pagurus pectinatus (Stimpson, 1858)
오른집게가 왼집게보다 큰 갑각길이 7~12mm 정도의 온대성 중대형 참집게류로 한반도 전 해역의 수심 4~200m에서 흔히 발견된다. 제 3턱다리의 양쪽 기부는 떨어져있고 긴마디의 석회질이 부분에는 추가 이가 존재한다. 눈자루는 길고 가는 편이며 눈은 매우 약간 부풀어 있다. 집게다리는 비교적 긴 털과 긴 가시로 덮여 있고 이 모양이 빗과 같아 빗참집게라는 국명이 붙었다. 오른집게의 상단에는 캡슐 모양의 이가 없으며 하단안쪽면에는 혹과 같은 구조물이 없다. 오른쪽 집게다리의 긴마디 하단 중앙에는 특별한 특징이 없다. 걷는다리의 발가락마디 길이는 앞마디와 비슷하다. 수컷은 생식관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생식공 주변에 두드러진 털다발이 없다. 복부는 막상이며 굽어있다. 꼬리다리는 양쪽이 비대칭이다. 꼬리마디의 말단 중앙엔 홈이 있으나 주변에 두드러진 큰 가시는 없다. 고둥 주변에 붙은 해면으로 만들어진 집에서 서식하는 것이 자주 관찰된다. 복부에서 기생성 만각류인 Peltogasterella gracilis가 발견되었다.
[1]
중국, 러시아, 일본
[1]
서해, 남해, 동해
[1]
출처
[1]. 해양생명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1단계 3차년도)
[2]. 해양생명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1단계 3차년도)
참고문헌
1. 정지범, 박진호, 김원, 2018. 한국산 집게상과(갑각아강: 십각목)의 분류학적 연구: 종목록 및 지리적 분포. Ocean and Polar Research, 40(3):145~160.
2. Kim JN, Kim MH, 2014. Invertebrate Fauna of Korea, Volume 21, Number 39, Hermit crabs I: Arthropoda: Malacostraca: Decapoda: Diogenidae, Paguridae, Pylochelida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Ministry of Environment, 200p.
3. Kim MH, Son MH, 2006. Hermit crabs in Korean waters. Korea Inter–University Institute of Ocean Science, PKNU, Busan, 89p.
| 경제적가치 |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 2 | 2 | 3 | 3 | 3 |
| 생태적가치 |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 3 | 3 | 3 | 3 | 3 |
| 학술적가치 |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 3 | 3 | 3 | 2 | 3 |
NCBI (Pagurus pectinatus)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