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갯대추

갯대추Paliurus ramosissimus (Lour.) Poir., 1816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1
분류체계 : Plantae식물계 > Angiospermae피자식물문 > Dicotyledoneae쌍자엽식물강 > Rhamnales갈매나무목 > Rhamnaceae갈매나무과 > Paliurus갯대추나무속 >
  • 종설명(Description)

    •   바닷가 숲 가장자리에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이다. 꽃은 7-9월에 피며,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1]

    •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높이 2-3m이다. 어린 나무에는 턱잎이 변해서 된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긴 타원형, 길이 3.5-6.0cm, 너비 2.5-4.5cm, 가죽질, 윤기나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3-8cm이다. 꽃은 암수한그루로 피며, 어린 가지 위쪽의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로 달리고, 노란빛이 도는 녹색이다. 수꽃과 암꽃은 모양이 비슷하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지며, 겉에 털이 난다. 꽃잎은 5장이며, 밑으로 젖혀진다. 암술은 1개, 암술머리는 3갈래이다. 열매는 핵과이며, 끝에 3갈래로 된 넓은 날개가 있다.
      [1]

    •   대만, 일본, 중국
      [1]

    •   제주
      [1]

    •   관상용으로 이용한다.
      [1]

    • 출처

      [1]. 현진오. 2003. 여름에 피는 우리꽃 386.
      Chang, C.-S. 2007. Rhamnaceae Juss... In Flora of China 12 (Hippocastanaceae-Theaceae). Wu ZY, Raven PH, Hong DY (eds.).

    • [2]. 현진오. 2003. 여름에 피는 우리꽃 386.
      Chang, C.-S. 2007. Rhamnaceae Juss... In Flora of China 12 (Hippocastanaceae-Theaceae). Wu ZY, Raven PH, Hong DY (eds.).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13323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11113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3211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3건, 1/1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NP6024003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추출물 갯대추
      Paliurus ramosissimus
      대한민국 2023-08-15 40 Tube
      MABIK PN2424003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gDNA 갯대추
      Paliurus ramosissimus
      대한민국 2023-08-15 3 Vial
      MABIK PT2424003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조직 갯대추
      Paliurus ramosissimus
      대한민국 2023-08-15 6 Vial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