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물렁가시붉은새우

물렁가시붉은새우Pandalus japonica (Balss, 1914)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Arthropoda절지동물문 > Malacostraca연갑강 > Decapoda십각목 > Pleocyemata범배아목 > Caridea생이하목 > Pandalidae도화새우과 > Pandalus도화새우속 > Pandalus japonica물렁가시붉은새우 >
  • 종설명(Description)

    •   갑각의 길이는 22.9~36.8mm이다. 몸은 붉은색 바탕에 3-4 개의 흰 줄무늬가 갑각과 배에 있다. 껍질에는 거의 털이 없으나 갑각의 등뒷가장자리를 따라 가로로 강모가 합쳐져 있다. 이마뿔은 두드러지게 위를 향하고 있으며, 갑각의 1.2~1.8배의 길이이다. 윗가장자리에는 22~23개의 가시 또는 이가 존재하며 그 중에서 8~9개의 가시는 갑각 위에 있고 끝 쪽으로 2~3개의 이가 있으며 맨 뒤에 있는 가시는 갑각의 가운데에 나 있다. 아랫가장자리에는 12~14개의 이가 나 있으며, 맨 뒤의 이는 바로 앞의 이보다 강하다. 갑각에는 후방 4/5 지점까지 이마뿔 뒷융기가 있다.

    •   일본

    •   강원, 경북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3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물렁가시붉은새우(Pandalopsis japonica) 부화유생 사육을 위한 영양강화 알테미아, 바지락살 및 배합사료의 공급 효과 Larvae of pandalid shrimp Pandalopsis japonica are benthic, and may prefer bottom to planktonic food items. Three diets, enriched Artemia meta-nauplii (AR), clam meat (CM), and crumbled shrimp (CD), were evaluated as food for early larvae in terms of biometric growth R:D ratios. Larvae fed AR and CM had significantly greater total length and dry weight than did larvae fed CD (P 권오남,임매순,박기영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물렁가시붉은새우(Pandalopsis japonica)의 유생 단계에 따른 에너지수지 The energy budget of the larvae of pandalid shrimp, Pandalopsis japonica, reared in the laboratory from zoea to post-larva was investigated. Energy used during the growth of the shrimp larvae was calculated daily for feeding, growth, molting, and metabolism. The total energy used was 16.2 J for the entire larval stage. Molting energy loss was estimated at a total 1.03 J. Energy used for respiration was estimated at a total of 1.85 J. The intake energy by feeding reached a total of 77.69 J. The total sum of energies used by excretion and egestion was 58.61 J. Larvae assimilated 24.57% of ingested food and used 84.91% for somatic growth. The gross growth efficiency ( $K_1$ ) was 22.19% for the entire larval stage, and the net growth efficiency ( $K_2$ ) was 90.31%. Maintenance costs were estimated at 9.69% of assimilated energy for the entire larval stage. 김진각,권오남,박기영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통발에 대한 물렁가시붉은새우 (Pandalopsis japonica)의 망목 선택성 Morotoge shrimp Pandalopsis japonica is caught by pot and others in the ea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Comparative fishing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using the dome-shaped pots with different five mesh sizes (17.1, 24.8, 35.3, 39.8, and 48.3 mm) in order to estimate the mesh selectivity of the pot for the morotoge shrimp, Pandalopsis japonica. The SELECT (Share Each Length's Catch Total)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o the catch data. The master selection curve of the pot for the shrimp was estimated to be s(R) = exp(15.770R-10.573)/[1+exp(15.770R-10.753)], where R is the ratio of carapace length to mesh size. From the selection curves, the carapace lengths of 50% retention were 11.6, 17.0, 23.9, and 34.1 mm for 17, 25, 35, and 50 mm mesh-size pot, respectively. It means that the pots of larger mesh size allow more shrimp of small size to escape. 박창두,조삼광,배재현,김현영,차봉진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1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미토콘드리아 삽입 마커에서 유래한 가시배새우 종 판별용 유전자 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시배새우 판별방법 1020190117659 재단법인 게놈연구재단 원문정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351건, 1/71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CR0001018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물렁가시붉은새우
      Pandalus japonica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죽변리 2011-05-22
      MABIK CR0001018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물렁가시붉은새우
      Pandalus japonica
      대한민국 강원도 동해시 2011-05-25
      MABIK CR0001019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물렁가시붉은새우
      Pandalus japonica
      대한민국 강원도 동해시 2011-05-21
      MABIK CR0001021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물렁가시붉은새우
      Pandalus japonica
      대한민국 동해 2011-05-21
      MABIK CR0001023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물렁가시붉은새우
      Pandalus japonica
      대한민국 동해 2011-05-21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