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3건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한국산 남방도화새우, Pandalus gracilis유생의 두 온도 구간에서의 생존율과 성장 이 연구에서는 경남 통영에서 채집된 남방도화새우, Pandalus gracilis 유생의 적정 사육 온도와 수온이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10와 2 $0^{circ}C$ (32.5∼34.5 $ extperthousand$ ; 12L: 12D)두 온도 구간을 설정하여 이루어졌다. 유생의 생존율은 2 $0^{circ}C$ 가 1 $0^{circ}C$ 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유생의 탈피주기는 1 $0^{circ}C$ 에서 보다 긴것으로 나타났다. 최정화,마채우 한국양식학회 상세보기 도화새우, Pandalus hypsinotus의 유생발생 실험실에서 부화시킨 도화새우의 zoea 유생발달에 따른 섭식, 성장, 탈피 및 대사에 관한 에너지수지를 분석하였다. 도화새우의 zoea 전 유생기간중 섭식에 의한 총에너지는 140.88 J이었다. 이중 체성장에 사용된 에너지는 17.07 J이었고 호흡, 탈피 및 배설에 사용된 에너지는 각각 16.22 J, 1.19 J 및 106.40 J이었다. 섭식한 먹이에 대한 동화효율(assimilation efficiency, A/I)은 $24.47%$ 였다. 성장으로 전환된 에너지의 총섭식에너지에 대한 백분률인 총성장효율(gross growth efficiency, $K_1$ )과 성장으로 전환된 동화에너지에 대한 백분률인 순성장효을 (net growth efficiency, $K_2$ )은 각각 $12.96%$ 와 $52.96%$ 였다. 동화에너지가 체성장과 대사에너지에 사용된 것은 각각 $49.51%$ 와 $47.04%$ 였다. 김대현,이정재,박기영 한국양식학회 상세보기 한국 거문도 주변 새우조망 어획된 새우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전라남도 여수시의 거문도, 초도, 손죽도 주변해역에서 1998년 11월부터 1999년 10월까지 12회 걸쳐 새우조망에 어획된 새우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을 조사하였다. 조사해역의 수심은 20∼80m이고, 이 해역의 저층 수온의 연중범위는 8.3∼21.3 $^{circ}C$ 이며, 저질은 니질대 또는 사니질이었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새우류는 총 11과 26속 37종 702,681개체가 출현하고 우점종은 그라비새우 48.52%, 긴줄꼬마도화새우 21.83%, 민새우 11.25%, 대롱수염새우 7.24%로 나타났다. 꽃새우, 민새우, 그라비새우는 15개 전 정점에서 골고루 출현하였으며, 대롱수염새우, 산모양깔깔새우, 긴줄꼬마도화새우는 거문도 주변해역(C구역)에서 출현하였으며, 중하, 긴발딱총새우는 초도, 손죽도 주변해역(A, B구역)에서만 출현하였다. 군집구조를 나타내는 종다양도 지수, 균등도 지수, 우점도지수는 정점 13에서 0.73과 0.61로 다양성 지수와 균등도 지수 가장 높게 나타내었고, 정점 4에서 0.14, 0.11로 가장 낮은 다양성 지수와 균등도 지수를 나타내었다. 정점별 군집의 유사도에 의하면 같은 수역인 정점 1, 7에서 0.673으로 가장 유사하고, 유사도 0.25 수준에서 거문도수역 집단(정점 10, 11)과 초도, 손죽도수역집단(정점 1∼9)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오택윤,김주일,고정락,차형기,이주희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1건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미토콘드리아 삽입 마커에서 유래한 가시배새우 종 판별용 유전자 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시배새우 판별방법 1020190117659 재단법인 게놈연구재단 원문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