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감염부장군여왕노벌레Parathalestris infesta Ho & Hong, 1988
기준표본소장지 : 미국 국립자연사박물관(USNM234315)
몸의 길이는 성체기준 약 1.5-2 mm 정도이며, 이마돌기(rostrum)는 몸통과 분리되어 있고, 잘 발달되어 있어 제1촉각(antennule)의 첫째 마디를 지난다. 체형은 유선형으로 두흉부에서 가장 넓고 뒤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진다. 전체부와 후체부 사이는 구분이 쉽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고정된 개체들은 허리가 구부러져서 있다. 암컷 제1촉각은 9마디이며, 앞쪽 4마디가 뒤쪽 5마디보다 길다. 제2촉각(antenna)의 외지(exopod)는 2마디이며, 첫째 마디에 1개의 강모 그리고 둘째 마디에 4개의 강모가 있다. 악각(maxilliped)은 반집게형(subchelate)으로 잘 발달되어 있다. 내지(endopod)는 2마디로 구성되는데, 1번째 마디는 기저부에서 크게 부풀어 있고, 2번째 마디는 발톱 모양이다. 제2흉지부터 제4흉지(P2-P4)까지의 강모식(setal formula)은 다음과 같다.
..........외지...........내지
P2......1.1.223......1.2.221(1.322 수컷)
P3......1.1.323......1.1.321
P4......1.1.323......1.1.221
암컷 제5흉지(P5)의 외지(exopod)는 분리되어 있고 말단 가장자리에 6개의 강모를 갖는다. 기내지(baseoendopod)의 내엽(endopodal lobe)에는 5개의 강모를 가지는데, 길이는 비슷하다. 최초 기재인 Ho & Hong (1988) 이후에 Chang & Song (1997), Back & Lee (2011)에 의해 재관찰되었는데, Chang & Song (1997)의 위하여 관찰된 개체들은 원기재에 비하여 외지가 기내지의 내엽보다 더 길게 신장되어 있는 차이를 보였다.
감염부장군여왕노벌레 우리나라 소안도에서 양식하는 미역(Undaria pinnatifida)에서 최초로 보고되었으며, 미역의 핀홀병(pinhole disease)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등화채집도구(Light trap)를 이용하여 해조류 주변에서 채집이 가능하다. 해조류숲 또는 주변 서식지에 서식한다.
소안도, 거제도, 강릉 연곡해수욕장
참고문헌
[1]. Huys R. 2016. Harpacticoid copepods-their symbiotic associations and biogenic substrata: a review. Zootaxa. 4174: 448-729.
[2]. Ho J-S, Hong J.S. 1988. Harpacticoid copepods (Thalestridae) infesting the cultivated Wakame (brown alga, Undaria pinnatifida) in Korea. Journal of Natural History. 22: 1623-1637.
[3]. Chang C.Y, Song S.J. 1997. Marine harpacticoids of genus Parathalestris (Copepoda, Harpacticoida, Thalestridae) from Korea. The Korean Journal of Systematic Zoology. 3: 221-231.
[4]. Back J, Lee W. 2011. Redescription of two species of Parathalestris (Copepoda, Harpacticoida, Thalestridae) in Korea. Bulletin of NIBR 2:85-97.
NCBI (Parathalestris infesta)
COI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