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이미지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4건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별불가사리 렉틴의 복수암에 대한 항암효과 The lectin from starfish, Asterina pectinifera, was purified and tested for its potential antitumor activity. It was shown to possess considerable toxicity toward various tumor cell lines. Concentration of Asterina pectinifera lectin (APL) at 4mg/ $5{\times}10^5$ cells resulted in 28% death of Ehrlich ascites tumor cell, 40% of L929, 60% of A549, and 52% of HeLa cells after 48 hours incubation. Toxicity of APL to L929, Ehrlich ascites, A549, and HeLa cells revealed a reduction in cell viability of approximately 70% at APL concentration of 8mg/$5{\times}10^5$ cells after 48 hours incubation. Administration of APL ($100{\mu}g/day$ or$300{\mu}g/day$ ) inhibited the growth of Ehrlich ascites cells in vivo. Mice given only Ehrlich cells survived an average of$15{\pm}1$ (S.E.) days. Mice given Ehrlich cells and$100{\mu}g\;or\;300{\mu}g$ APL had 58% and 67% survival, respectively, after 20 day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PL has antitumor activity.손윤희,전경희,최수정,정시련 대한약학회 상세보기 해양생물 유래의 항종양성 물질의 탐색과 개발 항종양성 물질의 탐색과 개발을 지향한 해양생물유래의 생물활성물질의 화학적 연구의 일환으로서 해조류(12종류), 해면동물(3종류), 강장동물(2종류). 극피동물(4종류), 연체동물(10종류) 및 원색동물(2종류)의 각 용매분획을 대상으로 brine shrimp bioassay에 의한 세포독성을 검색한 결과, 극피동물의 별불가사리 초산에틸액스(LC $_{50}$ : 283$\mu\textrm{g}$ /ml) 및 해삼 클로르포름엑스(LC$_{50}$ : 274$\mu\textrm{g}$ /ml) , 연채동물의 보말고동 부타놀액스(LC$_{50}$ : 263$\mu\textrm{g}$ /ml) 및 따게비의 물엑스(LC$_{50}$ : 360$\mu\textrm{g}$ /ml)에서 가장 강력한 세포독성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생물별로 살펴본 세포독성빈도는 극피동물이 가장 유망한 것으로 생각되었다.로 생각되었다.손병화,최홍대,정우진,조용진 한국응용약물학회 상세보기 별불가사리로부터 분리된 Asterosaponin P1의 항노화 효능 별불가사리(Asterina pectinifera Muller and Troschel)는 우리나라 전국 연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토속종으로, 패류 양식장에 피해를 주는 불가사리류 중의 하나이다. 별불가사리 퇴치를 위해 대부분 건조하여 비료로 활용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실제 활용은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별불가사리로부터 피부 유용성분을 밝혀 새로운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성분연구를 통해 별불가사리로 부터 2종의 polyhydroxysteroid와 1종의 saponin을 분리하였으며, 이의 구조를 각각 $5{alpha}$ -cholestane-$3{eta},6{alpha},7{alpha},8,15{alpha},16{eta},26$ -heptol,$5{alpha}$ -cholestane-$3{eta},4{eta},6{alpha},7{alpha},8,15{eta},16{eta},2$ 6-octol 및 asterosaponin$P_1$ 으로 동정하였다. 이 물질들의 피부 효능을 확인한 결과 asterosaponin$P_1$ 이 표피 줄기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고, 각질형성세포에서 히알루론산을 합성하는 효소인 hyaluronan synthase-2와 hyaluronan synthase-3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asterosaponin$P_1$ 은 섬유아세포에서 진피의 주요 콜라겐인 type 1 콜라겐의 생합성을 촉진하는 효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별불가사리로부터 분리한 asterosaponin$P_1$ 은 노화에 동반되는 피부 증상을 개선하는 항노화 화장품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진무현,이소영,여혜린,김효진,장윤희 대한화장품학회 상세보기 수산 미이용자원 중에 존재하는 항균성 물질의 검색 천연 생리활성물질의 개발과 수산미이용자원의 효율적 이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별불가사리, 오징어먹즙, 성게껍질, 우렁쉥이 껍질, 구멍쇠미역, 산말, 모자반, 참빗풀 등을 대상으로 물, 에테르, 아세톤, 메탄올로 순차 용매추출하여 각 용매 추출구간별, 시료별 항균성을 검색하였다. 시료추출구간별 평균수율은 물 추출구, 에테르 추출구, 아세톤 추출구 및 메탄올 추출구에서 각각 20, 1.4, 2.8 및 1.1%로 나타나 물추출구의 수율이 가장 높았다. B. subtilis에 대한 항균력 검색 결과, 모자반 에테르 추출구와 메탄올 추출구에서 각각 MIC가 80 및 70 ${mu}g/disk$ 로 나타나 비교적 강한 항균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S. aureus에 대한 항균효과는, 모자반의 에테르 추출구, 아세톤 추출구 및 메탄올 추출구의 MIC가 각각 160, 180 및 70${mu}g/disk$ 로 나타나 비교적 높은 항균성을 보였으며, 참빗풀의 에테르 추출구와 아세톤 추출구에서도 각각 MIC가 50 및 170${mu}g/disk$ 로서 낮은 농도에서도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추출구간별 항균효과를 보면, 비극성용매인 에테르 추출구에서 모든 시료의 MIC가 700${mu}g/disk$ 이하로 나타나 에테르 추출구에 S. aureus에 대해 매우 강한 항균효과를 가지는 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조순영,유병진,장미화,이수정,성낙주,이응호 한국식품과학회 상세보기 동해안 삼척 호산에 서식하는 둥근성게 Strongylocentrotus nudus의 분포와 피식 패턴 강원도 삼척 호산해역에서 해조장의 회복에 결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짐작되는 둥근성게(Strongylocentrotusnudus) 개체군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2년 6월의 예비연구를 통해 조하대에 3개 실험구(인공해조장. 갯녹음지역, 자연해조장)를 설정하고, 8월, 10월, 12월에 둥근성게의 분포와 섭식률, 포식압, 포식자 조합을 추정하였다. 둥근성게의 서식 밀도는 자연해조장에서 가장 낮았으나, 각경(test diameter)의 중위수는 가장 큰것(Kruskal-Wallis test, 8월, p<0.001; 10월, p=0.036)으로 나타났다. 둥근 성게의 먹이 섭식률을 추정하기 위한 실험(enclosure cage experiment)은 자연해조장에서 수행되었으며, 8월과 10월에 각각 160, 13.8 mg seaweed/g sea urchin/day로 추정되었다. 둥근성게에 대한 상대적인 포식압의 실험구 간 비교를 위해 수행된 포박실험 (tethering experiment)으로부터 자연해조장의 포식압이 다른 두 실험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도중 현장에서 관찰된 포식자는 대부분 무척추동물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류 포식의 증거는 찾을 수 없었다. 죽은 성게나 산 성게를 담은 통발을 이용하여 포식자 조합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둥근성게의 포식자는 복족류 Neptuned arthritica와 별불가사리 Asterina pectinifera, 집게류 Pagurus cf. samuelis, 그리고 게류에 속하는 Atergatis integerrimus 등이며, 집게류인 Paguristes barbatus와 게류인 Actaea subglobosa도 가능성이 있는 포식자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실험구 간 대비되는 관찰 결과로부터 (1)성게의 낮은 서식 밀도와 관련된 요인은 포식압이며, (2) 이는 조사 해역의 백화 현상의 발생, 유지와 낮은 포식압 간 가능한 상관관계를 제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유재원,손용수,이창근,김정수,한창훈,김창수,문영봉,김동삼,홍재상 한국해양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10건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평활근 이완활성을 지닌 칼시토닌 관련 펩타이드 2009-006685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원문정보 평활근 이완활성을 지닌 나트륨 이뇨 펩타이드 2009-0066855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원문정보 별불가사리를 이용한 항산화, 주름개선, 항여드름ㆍ항염증및 미백의 효능을 가지는 기능성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 1020070090274 조월순|남병혁|최찬기|강환열|전혜영|(주)예제나 원문정보 별불가사리의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방법 1020050009388 김옥자 원문정보 별불가사리 유래의 직장암 및 암전이 억제용 천연 COX-2 효소저해제 102009011167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원문정보 -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검색결과 1건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목록 - 학명, 국명, 생리활성, 원료등록, 특징/이용 학명 국명 생리활성 원료등록 특징/이용 Patiria pectinifera 별불가사리 항산화, 항염, 항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