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04건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배양 신경세포의 저산소증모델에서 대황 물추출액의 항산화 및 사립체막전위 소실 억제 효능 대황(Rhei Rhizoma; RR, 대황(大黃))은 Rheum officinale Baill.와 Rheum palmatum L. (Polygonaceae)의 땅속부분 (rhizome 및 root)으로 남아시아의 민속의학에서 간 및 신장의 손상을 치료하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배양한 흰쥐 해마신경세포의 저산소증모델을 이용하여 대황의 물추출물이 신경세포사를 억제하는 효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배양 10일(DIV10)에 RR을 배양액에 첨가하고 DIV13일에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10 ${\mu}g$ /ml 농도까지는 세포독성이 없었으며, 정상산소 환경에서 2.5${\mu}g$ /ml의 농도에서 세포생존율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지에 대황을 첨가한 경우 DIV13일에 저산소증을 유도한 후 5일째에 세포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매우 유의하게 생존율을 증가시켰다.$H_2DCF$ 염색 결과 대황은 활성산소(ROS)의 생성을 유의하게 감소시킴과, JC-1 염색 결과 사립체 막전위의 소실을 유의하게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대황 물추출물이 활성산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세포의 에너지 생성을 보전함으로서 세포사를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향후 뇌신경세포의 건강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Lee, Hyun-Sook,Moon, Il-Soo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상세보기 패류 가공에 관한 연구 2. 건조 방법 및 EDTA, BHA처리가 개량조개 Mactra Sulcataria REEVE의 색소 잔존율 및 흡수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토사질을 제거한 개량조개를 EDTA 및 항산화제 처리를 하여 열풍 건조 및 천일 건조했을 때 건조 방법이나 EDTA 및 항산화제 처리가 변색 및 흡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천일 건조한 것이 열풍 건조한 것보다 월등하게 색소 소실이 심하였다. 2) BHA 처리하여 열풍 건조한 것은 생시료와 비교할 때 거의 색소 소실이 없었다. 색소 소실이 많은 것부터 열거하면, 대조구 및 EDTA 자숙 처리구>EDTA 침지 처리구>BHA 처리구의 순이었다. 3) 흡수성은 열풍 건조한 것이 천일 건조 한 것보다 빨랐다. 그리고 BHA 처리구 및 EDTA 처리구 사이에 흡수율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4) 개량조개는 BHA 처리를 하여 열풍 건조하면 색소 소실도 적고 복원성도 좋아진다. 이응호,허종화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식이 다시마 보충과 운동 훈련이 최대하 운동 부하 시 흰 쥐의 항산화체계에 미치는 영향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gular treadmill exercise and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supplementation on the antioxidant system following exercise stress. Treadmill exercise program were given to the 6-week-old rat by 10 miks/min for 30 minutes/day, and speed was elevated by 5 miks/min per week for 4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3: a control group (C), Sea Tangle supplement group (ST, Sea Tangle supplementation: 5 g/kg diet), and a group of treadmill +Sea Tangle extract supplemented group (STT). After the treadmill exercise, these groups were further divided into those that had received the exercise stress for 1 hour (25 m/min) and those that had not experienced exercise stress. The activities of the superoxide dismutase (SO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catalase and malondialdehyde (MDA)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There was a lower body weight decrease in the STT groups than in the C and ST group (p<0.05). The calatase activity was increased in STT group compared C and ST group after exercise stress. The SOD activity level without exercise stress showed a trend of increasing order as C<ST<STT,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And, the SOD activity after exercise stres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T and STT group than in the C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T and STT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rum MDA concentration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in those that had not experienced exercise stress. However, the STT group with exercise stress showed a serum MDA concentration level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 and ST group (p<0.05). As a result, regular treadmill exercise and Sea Tangle supplementation c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controlling the oxidative stress after exercise stress. (Cancer Prev Res 16, 51-57, 2011) 김향숙,곽이섭,김병우,최영현,박철,황혜진 대한암예방학회 상세보기 암세포주에 대한 미더덕 추출물의 세포독성 효과 신선한 미더덕을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만들어 water, MeOH, EtOH 및 acetone의 용매로 추출하여 항암활성을 조사하였다. 대장암 세포주 HT-29에 대한 미더덕 추출물의 암세포증식 억제효과는 ethanol 추출물이 $500\;{\mu}g/mL$ 농도에서 45.0%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대조구와 다른 추출물에 비교하여 크게 세포의 응축과 세포수의 감소를 형태학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용매별 추출물 중 가장 강력한 항암활성을 가지는 ethanol 추출물을 이용하여 정제수율을 높여 암세포 성장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n-hexane, diethyl ether, ethyl acetate 및 water 순으로 극성을 높여 분획한 결과 diethyl ether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항암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diethyl ether 분획물을 인간대장암 유래의 세포주 SW620, 자궁경부암 세포 HeLa 및 유방암 세포 MCF-7에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항암활성이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농도$500\;{\mu}g/mL$ 처리 시 모두 10%이하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지금까지는 한약재를 비롯한 농산물 유래의 추출물이 항암효과를 보이는 연구가 보고된바 있으나 해양생물 유래의 추출물에서 항암효과를 보이는 결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보고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결과는 생리활성 물질을 탐색함에 있어서 해양생물이 중요한 천연자원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정은실,김주영,박은주,박해룡,이승철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상세보기 약용 식물 발효액(들빛)의 항산화,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 및 Nitric Oxide 생성 조절 효과 본 연구에서는 결명자, 오미자, 구기자, 박하, 국화, 산마, 생강, 둥글레, 감초, 오가피, 녹차, 다시마를 발효시킨 들빛 발효액으로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들빛 발효액의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들빛 발효액의 총 플라보이드 함량은 $3.4{\pm}0.5\;mg/g$ 으로, DPPH법을 통해 측정한 들빛 발효액의 radical 소거능은 96%로 나타났다. 들빛 발효액의 SOD 유사활성은 29%로 나타내었고, XOase에 의해 생성된 superoxide radical 소거능은 88%로 높게 나타났다. 들빛 발효액의 항고혈압 측정실험에서는 66%의 저해률을 나타내어 ACE 저해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혈전분해능에 대한 들빛 발효액의 분석 결과는 혈전용해제로 알려져 있는 plasmin과 유사한 활성을 보이고 있다. 들빛 발효액과 면역활성과의 연관성은 NO 생성 증가율과 LPS에 의해 유도되는 NO 생성 억제율 분석으로 조사되었다. 그 결과, 들빛 발효액은 무려 15배의 높은 NO 생성 증가율을 보였다. 또한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 억제율은 들빛 발효액 100%에서 42%로 나타나 높은 면역조절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들빛 발효액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증명하고 있고, 항산화력, 항고혈압 효과, 혈전분해능 및 면역 조절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 음료의 소재로서 그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조은경,갈상완,최영주 한국응용생명화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164건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해면동물, 할리콘드리아로부터 추출된 할리실린드라마이드에이 및 씨 의 분리방법과 이 물질을 이용한 항진균제,항박테리아제 2004-0036975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원문정보 제주산 홍조류의 효소적 추출물을 이용한 항혈액응고성설페이티드 갈락탄조성물 2007-0065500 나현주 원문정보 간 섬유화 억제용 미세조류 나비큘라 인세르타 단백 가수분해물 유래의 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2011-002406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원문정보 천연추출물 함유 기능성 주름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2009-0020737 나빈생활과학 주식회사 원문정보 항산화 활성효능을 가진 원적외선 건조에 의한 감태의 에탄올 추출물 2008-0080083 아쿠아그린텍(주) | 태림상사 (주) 원문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