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오각관불가사리Pentaceraster regulus (Müller & Troschel, 1842)
완은 5개이며 삼각 모양을 이루는 완의 끝을 향해 점차 좁아져 있다. 배판은 완의 가장자리에 평행하게 열지어 있으며 많은 작은 과립들로 덮여 있고, 각 판마다 1~4개의 조개모양 차극이 있다. 반의 중앙에는 5개의 큰 혹이 오각 모양을 만들고 있다. 이 혹들은 완의 끝을 향해 작아지면서 뚜렷하게 능판 열을 만들고 있으며 조개 모양의 차극을 가지거나 각 판에 1~2개 혹들이 있다. 천공판은 비교적 크고 타원 모양이며 뚜렷하고, 반 중앙의 오각 모양에 가까이 있다.
이 종은 열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는 종이고, 우리나라에는 제주도 남부에 분포하고 있으며, 경성 저질(암반)에 서식하고 있다.
제주
남태평양, 호주 북부, 벵갈만, 동인도
참고문헌
[1]. Lee, J.H. and S. Shin, 2009, A New Record of Sea Star (Asteroidea: Valvatida) form Korea. Korean J. Syst. Zool., 25(2): 291-294.
[2]. Shin S, 2010. Invertebrate Fauna of Korea Vol.32, No. 1: Sea Stars (Echinodermata: Asterozoa: Asteroid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Incheon, pp. 1-150.
경제적가치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1 | 2 |
생태적가치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1 | 2 | 1 |
학술적가치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2 | 2 | 2 |
NCBI (Pentaceraster regulus)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