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linea (Treadwell, 1936)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Annelida환형동물문 > Polychaeta다모강 > Phyllodocida부채발갯지렁이목 > Nereididae참갯지렁이과 > Perinereis눈썹참갯지렁이속 >
  • 종설명(Description)

    •   입앞마디는 너비가 길이보다 약간 크며 두 개의 짧은 더듬이와 비교적 큰 꼭지더듬이를 가진다. 입마디는 입앞마디보다 옆으로 많이 팽대되어있고, 네 쌍의 수염이 있으며 가장 긴 것은 여섯째마디에 이른다. 입주머니의 이빨은 제 Ⅰ구역에는 4개가 마름모꼴로 배열되고, 제 Ⅱ구역에는 15-17개 정도의 이빨이 2줄로 바깥쪽으로 휘어져 초승달 모양을 하고 있다. 제 Ⅲ구역에는 약 50개가 직사각형 모양으로 모여 있으며, 제Ⅳ구역에는 16-21개가 3줄의 안쪽으로 휘어진 초승달 모양으로 배열한다. 제 Ⅴ구역에서는 3개가 삼각형으로 배열하고, 제 Ⅵ구역에서는 옆으로 긴 2-3개의 이빨이 가로로 놓여있다. 제 Ⅶ구역과 제 Ⅷ구역에는 턱쪽으로 한줄, 입쪽으로 두 줄로 불규칙하게 배열한다. 등수염의 시작부는 몸 뒤쪽으로 가면서 등다리자락의 끝부분으로 치우치게 되어 등수염 시작부와 몸의 사이 폭이 넓어지게 된다. 배다리 침의 아랫자락은 몸 뒤쪽으로 가면서 비교적 짧고 작게 변한다.
        펄 갯벌, 굴 밭에 서식한다.

    •   한국, 일본, 중국, 대만

    •   서해: 고창, 강화, 서천, 소래, 태안, 서산, 승봉도, 시화호, 영흥도, 영종도, 남해: 사천, 고흥, 광양, 신안, 영광, 해남

    •   우리나라 서해안 펄갯벌의 중상부 지역에 가장 우점하는 다모류이다. 시중에 판매하는 물고기 낚시로 가장 많이 쓰이는 종류이다.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2133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332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122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Perinereis aibuhitensis) 피부계의 미세구조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피부계는 바깥쪽으로 부터 큐티클층, 상피층, 진피층으로 구성된다. 큐티클층은 외분비공을 가지며, 표면은 epicuticular projections로 덮여있다. 큐티클층과 상피층의 지지세포 사이에서는 반접착반이 관찰된다. 상피층에서는 지지세포와 선세포들이 관찰된다. 지지세포는 불규칙한 형태이며, 이들 세포의 핵은 뚜렷하고 크며, $1{~}2$개의 인을 가진다. 세포질에서는 잘 발달된 당김세사와 다수의 미토콘드리아, 조면소포체, 유리리보좀 그리고 전자밀도가 아주 높은 소수의 색소과립들이 관찰된다. 선세포는 AB-PAS에 청색으로 반응하였으며, 투과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alpha}, {￿eta}, {gamma}$의 세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종류인 ${alpha} type$은 난형으로 뚜렷한 핵을 가지며, 세포질에서는 잘 발달된 당김세사와 막으로 싸인 직경 $0.8{~}~l.5 {mu}m$크기의 분비과립들이 세포질 한쪽에 밀집되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두 번째 종류인 ${￿eta} type$은 세포의 형태가 불규칙하며, 커다란 공포를 가지며, 직경 $0.5{~}~0.8 {mu}m$크기의 분비과립들이 세포질 전체에 분포한다. 세 번째 종류인 ${gamma} type$은 세포의 형태가 불규칙하며, 잘 발달된 소포체와 골지체 그리고 직경 $0.2{~}~0.3 {mu}m$ 크기의 분비과립을 가지며, 이들의 전자밀도는 선세포들의 분비과립 가운데 가장 높다. 이정식,임현식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1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갯지렁이 유래의 신규한 더로마신 펩티드 및 이의 용도 1020180080757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원문정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35건, 1/27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NA0014333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Perinereis linea
      대한민국 2015-05-01
      MABIK NA0014340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Perinereis linea
      대한민국 2015-08-15
      MABIK NA0014348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Perinereis linea
      대한민국 2015-07-29
      MABIK NA0014348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Perinereis linea
      대한민국 2015-07-29
      MABIK NA0014348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Perinereis linea
      대한민국 2015-07-29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