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말뚝망둥어

말뚝망둥어Periophthalmus modestus Cantor, 1842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hordata척삭동물문 > Teleostei > Perciformes농어목 > Gobiidae망둑어과 > Periophthalmus말뚝망둥어속 >
  • 종설명(Description)

    •   몸 크기는 7~10cm로 뒤로 갈수록 좌우로 납작하다. 머리는 원통형이며, 가슴지느러미 부근의 체형은 좌우로 약간 측편되어 있다. 체고가 가장 높은 지역은 머리이며, 미병부로 갈수록 점점 체고가 낮아진다. 눈은 두정부에 위치하며,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양안 간격은 매우 좁다. 상악은 하악보다 길고, 상악의 앞쪽 상단에는 육질막이 상악을 감싸고 있으며, 1쌍의 육질돌기가 마치 수염과 같이 있어 하악 쪽으로 내려져 있다. 악골에는 이빨이 다수 있으며, 혀의 전단부는 둥글다. 배지느러미는 가슴지느러미 기점보다 앞쪽에서 시작하고 후연부는 V자 모양을 하고 있다. 등지느러미는 2개이며, 제2등지느러미의 기부는 뒷지느러미 기부와 동일한 위치에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둥글다. 항문과 생식공은 뒷지느러미의 바로 앞에 있으며, 수컷은 뾰족하고 암컷은 끝이 잘린 모양이다. 주둥이, 뺨 및 양안 간격을 제외하고 몸 전체가 즐린으로 덮여 있으며 미병부의 비늘이 약간 크다. 생활형이 계절에 따라 현저하게 변화하는데, 추운 겨울(11월 중순~3월초순)까지는 갯벌의 굴에서 지낸다. 굴은 갯벌에 수직으로 파고 구멍 입구는 2개이며 직경이 약 2cm 로 서로 15cm 정도 떨어져 있다. 입구 주변에는 진흙 펠릿으로 된 터릿(turret)이 있어 구분된다. 굴은 각각 서로 다르게 시작하여 약 10cm 깊이에서 서로 만난 다음 다시 30cm 정도 수직으로 내려가서 Y자 모양을 한다. 따뜻한 계절(3월 중순~11월 하순)에는 굴을 버리고 저조시 조간대의 갯벌에서 먹이를 먹으면서 생활한다. 만조시에는 강 둑의 가장자리까지 접근하지만 먹이는 먹지 않고 쉬는 곳이다. 산란기는 5월 하순부터 8월 초순으로 갯벌에 만들어진 굴 속에 알을 낳는데, Y자 모양의 굴의 끝에 다시 수직으로 올라간 L자 모양으로 된, 폭이 약간 넓은 산란실을 만든다. 알은 산란실의 벽에 1층으로 조밀하게 낳지만 친어가 난괴의 근처에 머무르면서 보호하지는 않는다. 산란수는 5,216~8,411개 정도이다. 겨울에 버려진 굴을 산란기가 되면 성숙한 친어 한 쌍이 차지하여 산란을 위해 변형시켜 사용한 다음 산란이 끝나면 바로 손상시킨다. 간조 때에는 가슴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를 이용하여 육상을 활발하게 뛰어다니며 작은 갑각류나 곤충을 잡아 먹는다. 말뚝망둥어는 내만이나 하구 또는 기수역의 갯벌 바닥에 산다.

    •   연안이나 강 하구 기수역의 개펄 바닥에 서식한다. 간조 시에는 가슴지느러미를 이용하여 개펄 바닥을 뛰어다니며 작은 갑각류나 곤충을 잡아먹는다.
      [1]

    •   머리가 크고 몸 뒤로 갈수록 측편되었다. 눈은 머리의 등쪽에 볼록하게 솟아 있으며, 두 눈 사이의 간격은 매우 좁다. 위턱은 아래턱보다 길고, 1쌍의 육질돌기가 있다. 가슴지느러미 기부에는 육질이 발달되어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아래쪽이 약간 짧아서 상하가 비대칭이다. 몸은 흑갈색이고, 지느러미는 몸보다 약간 연한 색을 띤다. 제1등지느러미의 가장자리와 제2등지느러미의 중간에 검은색 줄무늬가 있다. 전장 약 10 cm.
      [2]

    •   일본, 중국, 오스트레일리아, 인도, 홍해

    •   서해와 남해 연안

    • 출처

      [1].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 [3].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4].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 참고문헌

      1. Kim, I.-S., 1997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Vol. 37.

      2. Freshwater fishes. Murdy, E.O., 1989. A taxonomic revision and cladistic analysis of the oxudercine gobies (Gobiidae: Oxudercinae). Rec. Aust. Mus., Suppl. 11:1-93.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1223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2132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222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2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한국산 짱뚱어(Boleophthalmus pectinirostris)와 남방짱뚱어(Scartelaos gigas) (Gobiidae)의 분자유전학적 계통연관과 DNA 다형화 우리나라 망둑어과 어류 중 말뚝망둥어아과에 속하며 형태학적으로 흡사한 짱뚱어 (B. pectinirostris)와 남방짱뚱어(S. gigas)를 대상으로 12S rRNA, 16S rRNA 및 mitochondria cytochrome b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종내 및 종간의 분자유전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짱뚱어 종내 개체간 유전적 차이를 밝히기 위해 mitochondria내에 3가지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순천지역과 군산지역간의 염기서열은 12S rRNA는 총 434 bp (base pair)의 염기서열을 얻었으며 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순천지역과 군산지역의 집단 간에는 100% 동일한 염기서열을 보였고, 16S rRNA 유전자는 총 484 bp의 염기서열 중 99.6%의 차이로 단지 2 bp가 치환된 것으로 나타났고, mitochondria cytochrome b 유전자의 경우, 444 bp의 염기서열을 얻었으며 두 지역 간 염기서열은 100%의 일치도를 보였다. 한국산 짱뚱어를 대상으로 한 동일한 종내에서 서식지 (서해, 남해)에 따른 유전적 차이나 지리적 거리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이상의 3가지 유전자를 비교해 본 결과를 종합해 보면, 종내 개체 변이와 지역별 변이는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짱뚱어와 남방짱뚱어 2종간 비교 (inter-species)에서는 순천지역 짱뚱어와 해남지역 남방짱뚱어를 12S rRNA 유전자와 16S rRNA 유전자 및 mitochondria cytochrome b 유전자 염기서열을 비교 분석한 결과, 각각 96.1% (17 bp), 94.0 (29 bp), 그리고 82.9% (76 bp)로 나타나 두 종의 유전학적 차이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나타난 짱뚱어와 남방짱뚱어 두 종간에 3.9~17.1%를 보여 서로 다른 종으로 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최기호,정의영,박갑만 한국어류학회 상세보기
        어류의 공기호흡 기관 한국의 담수어류 중 짱뚱어, 큰볏말뚝말둥어, 말뚝망둥어, 미꾸리, 미꾸라지, 자가사리 등 모두 6종에서 공기로 호흡하기 위해 변형된 부속기관이 알려져 있다. 짱뚱어, 큰볏말뚝말망둥어, 말뚝망둥어, 자가사리 4종은 부족한 산소를 공기로부터 흡입하기 위해 호흡상피 (respiratory epithelium)를 갖는다. 이러한 호흡상피는 풍부한 모세혈관과 2종류의 선세포(점액세포와 곤봉세포-자가사리, 점액세포와 거대세포-짱뚱어) 또는 1종류의 선세포로 구성된 팽대세포 (말뚝망둥어와 큰볏말뚝망둥어)를 갖는다. 특히 거대세포 (swollen cell)는 상피세포의 팽대로 인해 형성된 거미줄 구조 (web-like structure)를 갖고 있다. 또한 짱뚱어의 진피성돌기 (dermal bulge)는 진피성 모세혈관이 매우 풍부하며, 지느러미 등의 부속지를 제외한 피부에 존재한다. 또한 미꾸리와 미꾸라지는 장 상피 (intestinal epithelium)에 모세혈관이 아주 풍부하게 존재한다. Kim, Chi-Hong,Park, Jong-Young The Ichthyological Society of Korea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25건, 1/25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PI0003347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말뚝망둥어
      Periophthalmus modestus
      대한민국 2014-09-02
      MABIK PI0003347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말뚝망둥어
      Periophthalmus modestus
      대한민국 2014-09-02
      MABIK PI0003347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말뚝망둥어
      Periophthalmus modestus
      대한민국 2014-09-02
      MABIK PI0003347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말뚝망둥어
      Periophthalmus modestus
      대한민국 2014-09-03
      MABIK PI0003347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말뚝망둥어
      Periophthalmus modestus
      대한민국 2014-09-04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