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가시집게뾰족머리주걱벌레붙이

가시집게뾰족머리주걱벌레붙이Phoxokalliapseudes aculeatus Wi, Kang & Soh, 2017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Arthropoda절지동물문 > Malacostraca연갑강 > Tanaidacea주걱벌레붙이목 > Kalliapseudidae > Phoxokalliapseudes >
  • 종설명(Description)

    •   주걱벌레붙이류는 planktonic stage를 거치지 않고, 초기 발달시기는 암컷의 알주머니(marsupium)안에서 지낸다. 후기유생단계(post-larvae)는 mancas로 불리운다. 일부 종은 자웅동체(hermaphroditic)이다.[1]
        대부분의 주걱벌레붙이류는 포식자이며, 주요 먹이는 유기물 입자(규조류, 박테리아, 선형류 등)이며 입부분의 부속지를 이용하여 먹이를 잡고 잘게 부순 형태로 섭식한다[1].

    •   이마돌기는 둥글다. 제2-6 흉절은 각각 배쪽에 hyposphaenium을 가진다. 제1-5 복절은 각각 배쪽에 돌기를 가진다. 복절은 움푹 패인 끝부분에 2개의 길고 털이 많은 강모를 가지고 있다. 제1 더듬이의 채찍마디는 6개의 마디로 이루어져 있다. 제2 더듬이 첫 번째 마디는 중간의 넓은 부분에 7개의 털이 많은 강모를 가지고 있다. 집게다리 기저는 배쪽 면에 2개의 강한 가시모양의 강모가 나 있다. 제6 흉절 지절은 전단부에 1개의 매끈한 강모를 가진다. 암컷의 제6 흉지의 지절 길이는 전절 길이의 2.6배이다. 수컷의 제6 흉지의 지절 길이는 전절의 4.4배이다[2].

    •   조하대의 모래가 많거나, 모래와 펄이 혼합된 저서에 서식한다.

    •   완도 연안

    • 참고문헌

      [1] Barnes, Robert D. (1982). Invertebrate Zoology. Philadelphia, PA: Holt-Saunders International. pp. 768–769.
      [2] WI, J. H.; Kang, C.-K.; Soh, H. Y. (2017). Two new species in the genus Phoxokalliapseudes Drumm & Heard, 2011 (Crustacea: Tanaidacea: Kalliapseudidae) from the southwestern and southern coasts of Korea. Zootaxa. 4231(3): 341.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Two new species in the genus Phoxokalliapseudes Drumm & Heard, 2011 (Crustacea: Tanaidacea: Kalliapseudidae) from the southwestern and southern coasts of Korea

        Two new species of Phoxokalliapseudes from the southwestern and southern coasts of Korea are described. Phoxokalliapseudes aculeatus n. sp. is distinguished by the two robust spiniform setae on the ventral margin of the cheliped basis, pereonites 2-6 each with a hyposphaenium and small spinules, and the setiferous lobe on the mandibles with different numbers of serrated spiniform setae in the female and male (five and six, respectively). Phoxokalliapseudes cinctus n. sp. can be distinguished by the propodus of the male cheliped with the largest length to width ratio (2.5: 1) of the genus, and the fixed finger with small denticles on the cutting edge and near the insertion of the dactylus. The female has the largest dactylus to propodus length ratio of pereopod 6 in the genus. Only four species of Phoxokalliapseudes have been described or redescribed previously, of which some exhibit morphological differences with the type specimens, possibly indicating additional new species. To minimize identification difficulties caused by morphometric variations in developmental stage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new species are described in detail for a fixed size range and compared to different-sized individuals. Additionally, a comprehensive comparison of the new Phoxokalliapseudes species with the other known species is provided and discussed.

        WI, JIN HEE,KANG, CHANG-KEUN,SOH, HO YOUNG Magnolia Press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2건, 1/1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CR0018241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가시집게뾰족머리주걱벌레붙이
      Phoxokalliapseudes aculeatus
      대한민국 전라남도 완도군 2012-05-08
      MABIK CR0024772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가시집게뾰족머리주걱벌레붙이
      Phoxokalliapseudes aculeatus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추자면 2020-08-19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