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작은부레관해파리

작은부레관해파리Physalia physalis (Linnaeus, 1758)

  • 유해해양생물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nidaria자포동물문 > Hydrozoa히드라충강 > Siphonophorae관해파리목 > Physaliidae부레관해파리과 > Physalia부레관해파리속 >
  • 종설명(Description)

    •   부유성이며 부유체가 수면에 수평으로 떠다니고 나머지 기관은 부유체 아래에 붙어있다. 위급할 경우 공기를 빼고 수중으로 가라앉을 수 있다. 간혹 떼 지어 해안의 모래사장으로 떠밀려 오는 경우가 있다.
      [1]

    •   삼각형에 가까운 풍선같은 작은 부유체가 있고 다른 기관들은 그 아래에 붙어있다. 부유체 크기는 길이 약 5cm 내외이다. 중앙측선에 세로줄 또는 흔적만 있는 볏이 있다. 몸통의 아래에 코르미디움이 있고, 여기에 수많은 영양개충이 있으며 생식개충과 촉수는 없다. 수많은 2차 코르미디움이 아래면에서 올라오고 복면의 성숙한 코르미디움은 1개의 영양개충, 1개의 지상개충, 1개의 생식개충 및 1개의 촉수로 되어 있다. 영양개충은 관 모양이고 끝에 입이 있으며 3~4마디로 나뉘고 위자루, 위 및 주둥이가 있다. 지상개충은 실린더 또는 방추형이고 뾰족한 끝부분은 막혀 있으며 영양개충 및 생식개충과 섞여 있다. 생식개충은 가지를 많이 내고 구형의 유병생식체가 발달해 있다. 체색은 청색빛을 띤다.
      [3]

    •   일본 등 태평양의 온대해역
      [3]

    •   제주도
      [3]

    • 출처

      [1]. 박정희, 2012. 대한민국 생물지-한국의 무척추동물 제 4권 3호, 히드라해파리류(자포동물, 히드라충강). 국립생물자원관. 79 pp.
      https://namu.wiki/w/고깔해파리

      [2]. https://namu.wiki/w/고깔해파리

      [3]. 박정희, 2012. 대한민국 생물지-한국의 무척추동물 제 4권 3호, 히드라해파리류(자포동물, 히드라충강). 국립생물자원관. 79 pp.

    • [4]. 박정희, 2012. 대한민국 생물지-한국의 무척추동물 제 4권 3호, 히드라해파리류(자포동물, 히드라충강). 국립생물자원관. 79 pp.
      https://namu.wiki/w/고깔해파리

      [5]. https://namu.wiki/w/고깔해파리

      [6]. 박정희, 2012. 대한민국 생물지-한국의 무척추동물 제 4권 3호, 히드라해파리류(자포동물, 히드라충강). 국립생물자원관. 79 pp.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건, 1/1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CN0007717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작은부레관해파리
      Physalia physalis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귀포항 1985-05-11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