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닭게Ranina ranina (Linnaeus, 1758)
전형적인 난류성 종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수심 40~50m 모래 바닥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뒤로 움직여 모래 속에 파고 들어간다.
[1]
갑각은 방패 모양이며 위아래로 길쭉한데, 아래로 갈수록 측면이 둥글게 좁아진다. 앞부분이 뒷부분보다 넓다. 등면은 중안 부위가 부풀어 있고 양옆으로 갈수록 낮아진다. 갑각의 등면은 작은 가시로 덮여 있는데, 가시는 길쭉한 비늘 모양이며 앞을 향해있다. 수컷의 집게다리 긴마디와 발목마디 등면에는 작은 가시들이 있다. 긴마디에는 등쪽에 1개의 이가 있고, 발목마디의 끝에는 2개의 이가 옆으로 나란히 있다. 손바닥은 매우 납작하고, 그 윗가장자리에는 2개의 큰 가시가 있다. 몸의 빛깔은 붉은색이며 연한 주황색과 약하게 얼룩진다.
[1]
일본(사가미 만에서 규슈, 아마미, 오오시마 섬 연안), 대만, 말레이제도, 인도양~남아프리카
[1]
제주도 서귀포, 대한해협
[1]
동남아시아 나라들에서는 식용으로 이용한다.
출처
[1]. 김훈수, 1973. 한국동식물도감. 제 14권 동물편(집게, 게류). 문교부, 삼화인쇄주식회사, 694 pp.
[2]. 김훈수, 1973. 한국동식물도감. 제 14권 동물편(집게, 게류). 문교부, 삼화인쇄주식회사, 694 pp.
| 경제적가치 |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 1 | 3 | 1 | 2 | |
| 생태적가치 |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 1 | 2 | 1 | 3 | |
| 학술적가치 |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 2 | 1 | 2 | ||
NCBI (Ranina ranina)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