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방추곤봉히드라Rhizogeton fusiformis L. Agassiz, 1862
연안의 굴 껍데기에 부착한다.
[1]
군체는 길이 약 5mm 내외로 히드라뿌리, 줄기의 기부 및 히드라꽃 기부는 투명한 외피에 덮여 있다. 히드라꽃은 곤봉 모양으로 줄기 끝에 나며 16~26개의 사상촉수로 덮여 있다. 줄기와 히드라꽃 사이에는 경계가 없다. 생식체는 고착하는 자낭형으로 자루는 짧고 히드라뿌리에서 직접 올라오며 얇은 외피에 덮여 있다.
[1]
인도양(남아프리카, 인도, 호주), 태평양(일본), 대서양(캐나다, 미국, 아르헨티나), 북극해
[2]
경기(인천)
[1]
출처
[1]. 박정희, 2011. 한국의 무척추동물, 제4권 2호 민컵히드라충류(자포동물문: 히드라충강: 민컵히드라충목). 국립생물자원관, 63pp.
[2]. 박정희, 2011. 한국의 무척추동물, 제4권 2호 민컵히드라충류(자포동물문: 히드라충강: 민컵히드라충목). 국립생물자원관, 63pp.
Schuchert, P., 2023. World Hydrozoa Database. Rhizogeton fusiformis L. Agassiz, 1862.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at: https://www.marinespecies.org
[3]. 박정희, 2011. 한국의 무척추동물, 제4권 2호 민컵히드라충류(자포동물문: 히드라충강: 민컵히드라충목). 국립생물자원관, 63pp.
[4]. 박정희, 2011. 한국의 무척추동물, 제4권 2호 민컵히드라충류(자포동물문: 히드라충강: 민컵히드라충목). 국립생물자원관, 63pp.
Schuchert, P., 2023. World Hydrozoa Database. Rhizogeton fusiformis L. Agassiz, 1862.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at: https://www.marinespecies.org
| 경제적가치 |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 3 | 3 | 3 | 3 | 3 |
| 생태적가치 |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 3 | 2 | 2 | 3 | 2 |
| 학술적가치 |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 3 | 3 | 2 | 2 | 3 |
NCBI (Rhizogeton fusiformis)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