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두갈래분홍치

두갈래분홍치Rhodymenia intricata (Okamura) Okamura, 1930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분류체계 : Plantae식물계 > Rhodophyta홍조식물문 > Florideophyceae진정홍조강 > Rhodymeniales분홍치목 > Rhodymeniaceae분홍치과 > Rhodymenia분홍치속 >
  • 종설명(Description)

    •   몸은 하부 또는 대개 하부의 가장자리나 표면에서 나오는 사상의 기는 가지에 있는 반상근으로 암면에 붙는다. 체형의 변화가 많아서 보통 차상으로 분기하나 단조인 것도 있고 편평하며 서로 접하는 곳에서 유착하는 수도 있다. 때로는 가지 끝에도 반상 부착기를 만들어 바위 등에 붙는 수도 있다. 사분포자낭은 가지의 꼭대기 아래에 난원 또는 장타원형의 군을 이룬다. 낭과는 작고 구상∼반구상이며 가지의 상부의 가장자리에 가까운 양면에 형성되고 과공이 있다. 색은 자홍색이고 질은 연골질이며 건조하면 대지에 붙지 않는다.

    •   전 계절에 생육

    •   엽체는 붉은색, 자홍색, 가죽질, 연골질이고, 부채꼴 모양, 길이 5-15cm, 폭 2-6mm, 편평한 엽상의 막상구조이고, 반상근이고, 기는줄기가 있으며, 선상의 가지를 동일 평면상에서 3-5회 차상으로 다수 분지하며, 가지 끝은 둥글게 넓게 끝난다. 엽체의 가장자리나 배면에서 발달한 가근으로 개체끼리 서로 유착하거나, 사분포자낭은 가지 끝에 생기고, 낭과는 소지에서 여러 개씩 모여나며 돌출한다.

    •   조간대 하부, 조하대의 암반

    •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필리핀

    •   남해안, 제주도

    •   특별한 용도가 알려진 바 없음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1122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232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11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부산시 오륙도 주변 해역의 해조 군집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were seasonally investigated at Oryukdo, o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from March 2011 to February 2014. A Total of 66 seaweed species including 6 green, 7 brown and 53 red algae were identified and 23 species were found throughout the survey period. Seaweed biomass was maximal during summer in 2012 (2276.2 g wet weight $m^{-2}$) and minimal in winter in 2012 (9.1 g wet weight $m^{-2}$). The dominant species in term of biomass were Undaria pinnatifida, Dictyopteris prolifera, Dictyota dichotoma, Sargassum horneri, Rhodymenia intricata, Acrosorium polyneurum, and Polyneura japonica during the suvery period. The flora could be classified into six functional groups: coarsely branched form (30.3%), filamentous form (24.2%), thick leather form (19.7%), sheet form (15.2%), jointed calcareous form (7.6%), and crustose form (3.0%). The numbers of marine algal species in the Oryukdo area were markedly reduced when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at Dongbaekseom in 1971. These results suggest possible future changes in the algal vegetation, considering the physical and chemical pollution loadings in the coastal marine environment of this area. 최정화,최창근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435건, 1/87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AL0000273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두갈래분홍치
      Rhodymenia intricata
      대한민국 2011-06-02
      MABIK AL0000274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두갈래분홍치
      Rhodymenia intricata
      대한민국 2011-06-02
      MABIK AL0000274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두갈래분홍치
      Rhodymenia intricata
      대한민국 2011-06-02
      MABIK AL0000274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두갈래분홍치
      Rhodymenia intricata
      대한민국 2011-06-02
      MABIK AL0000274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두갈래분홍치
      Rhodymenia intricata
      대한민국 2011-06-02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