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연잎성게

연잎성게Scaphechinus mirabilis A. Agassiz, 1863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1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Echinodermata극피동물문 > Echinoidea성게강 > Clypeasteroida연잎성게목 > Scutellidae쟁반연잎성게과 > Scaphechinus연잎성게속 >
  • 종설명(Description)

    •   각은 중형으로 원반 모양이며, 약간 둥그런 오각 모양이고, 각의 길이와 폭이 거의 비슷하거나 폭이 길이보다 약간 더 넓다. 각은 강하며 단단하고, 구부 쪽은 편평하며, 반구부 쪽의 중앙 부분이 약간 올라와 있고 가장자리가 얇다. 살아 있을 때의 색깔은 옅은 자색을 띠고 있으며, 가시를 제거한 각은 흰색이다.
      [1]

    •   조간대에서부터 조하대 수심 150m 전후의 암반, 모래 및 자갈에서 서식함.
      [2]

    •   각은 중형이고 원반 모양이며 약간 둥그스런 오각 모양이다. 각의 길이와 폭이 거의 비슷하거나 폭이 길이보다 약간 더 넓다. 각은 강하며 단단하고 중앙부분은 약간 올라와 있으며 가장자리는 얇다.
      [2]

    •   일본 (홋카이도 남부~규슈 남부), 중국 북부, 캄차카, 알류샨열도
      [1]

    •   강원, 경북, 경남
      [1]

    • 출처

      [1]. 해양극피동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 [3]. 해양극피동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4].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 참고문헌

      - 한국의 무척추동물 제32권2호 성게류. 신숙, 2010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12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212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222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4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연잎성게의 군집 형태에 따른 포식 효율의 수치적 연구 연잎성게가 몸체의 방향을 유입류에 평행하게 맞추어 포식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크게 유체역학적인 설명과 생태학적인 설명이 양립하고 있다. O'Neill과 Nakamura와 같은 연구자들에 의해 연잎성게의 이러한 행태를 유체역학의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지만, 정작 셋 이상의 연잎성게 군집의 포식 효율에 대해서는 개체 수에 기반을 둔 생태학적 관점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잎성게 군집 내에서의 개체들의 배열을 모델링하고, 다양한 군집 배열에서 개체들의 포식 효율을 EDISON_전산열유체 시스템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특히 포식 효율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얇은 익형 이론을 이용함으로써 포식효율을 결정하는 유체역학적 특성이 양력계수임을 확인하였다. 오광석,김종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상세보기
        구멍연잎성게, Astriclypeus manni(VERRIL 1867)의 먹이섭취, 서식밀도 및 이동속도에 관하여 부정형성게류인 구멍연잎성게는 제주도 연안에 널리 분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생태학적 연구들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구멍연잎성게의 행동학적 연구로서 먹이섭취, 서식밀도 및 이동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시료는 제주도의 북동쪽에 위치한 함덕에서 SCUBA를 통하여 채집 및 현장에서 직접 관찰하였다. 장내용물 관찰 결과, 장내 퇴적물 입자의 평균 입도조성은 $77.6pm{22.2}mu{m}$였다. 장 내용물은 유공충, 저서성 요각류, 선충류, 규조류, 알, 해조류이 파편, 골편 등의 동식물 플랑크톤으로 구성되었다. 구멍연잎성게의 서식밀도는 $1m^2$ 당 0.4 개체이며, 분포패턴은 임의분포(random distribution)에 기초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chi^2=85.16,;p>0.05)$. 구멍연잎성게의 이동거리는 여름철인 1998년 8월에 6.2-64.8cm $hr^{-1}(mean=25.0pm{13.9)}$이었고, 5월에는 $2.0-43.0cm;hr^{-1}(mean=17.7pm{10.7)}$로 8월에 다소 높게 나타났다. 여름기간 중 관찰된 비교적 빠른 이동속도는 먹이 섭이 활동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강도형,최광식 한국환경생물학회 상세보기
        제주남부해역 사질대 유용생물 분포특성 제주도 남부연안 사질대 해역에서 2011년 7월부터 11월까지 16개 정점에 대해 해양환경특성 및 저서 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균 수온과 염분은 각각 $20.2-22.7^{circ}C$, 33.7-34.9 psu로써 비교적 안정된 수괴를 형성하고 있었다. 식물플랑크톤의 Chlorophyll a 분포는 0.71-1.71 mg/L (평균 1.11 mg/L)의 범위로써 9월과 11월에 비해 7월에 높게 나타났다. 조사기간 중 총 37종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으며, 연체동물이 29종 (78.4%) 이였으며, 이 중 이매패류가 17종 (45.9%)로 가장 우점 하였고, 극피동물 5종 (13.5%), 절지동물 3종(8.1%) 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해역의 개체밀도와 생물량은 각각 550 개체/$m^2$, 20,951.8 gwwt/$m^2$로 연체동물 중 이매패류 (481 ind./$m^2$, 16,647.6 gwwt/$m^2$) 가 개체수와 생체량에서 우점 하였다. 주요 우점종은 소쿠리조개, 흰바탕무늬조개, 흰점분홍무늬조개, 갈색점줄떡조개, 밭고랑행달조개, 해가리비, 속갈색조개, 구멍연잎성게로 주로 이매패류에서 높은 우점율을 나타냈다. 정점별 종다양도 (H'), 균등도 (E') 및 풍부도 (R) 지수의 범위는 각각 1.56-2.50, 0.49-0.80, 4.12-4.67 로 9월에 가장 낮고, 11월에 높게 나타났다. 고준철,고혁준,김보연,차형기,장대수 한국패류학회 상세보기
        제주도 함덕 연안에 서식하는 구멍연잎성게, Astriclypeus manni (VERRIL 1867)의 생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 연구는 제주도 함덕연안에 분포하는 구멍연잎성게의 생태 및 번식생활사에 관한 연구보고서이다. 시료는 북제주군 함덕에서 SCUBA를 통하여 채집하였으며, 실험실로 옮긴 뒤, 크기 및 생식소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멍연잎성게의 크기는 각장 80$\~$200mm 이었으며, 각장 140$\~$170mm 의 개체가 주를 이루었다 (N=129). 구멍연잎성게는 세립질 또는 미립질 ($125\~250\mu$m ($2\~3\phi$))의 사질에 주로 분포하였으며, 퇴적물내의 유기물을 섭취하는 퇴적물식자로 확인되었다. 성숙한 암컷의 생식소는 보라색을 띠며, 수컷은 짙은 노란색을 띤다. 암, 수 모두 11$\~$3월 사이 휴지기를 거쳐 6월경에 성숙하며, 주 방란 방정은 7$\~$10월 사이에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암컷의 경우 성숙한 난은 그 직경이 평균 381$\mu$m이었다. 강도형,최광식,정상철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1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연잎성게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질환 또는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02020005154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원문정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76건, 1/16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IV0014552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연잎성게
      Scaphechinus mirabilis
      대한민국 2012-07-20
      MABIK IV0014552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연잎성게
      Scaphechinus mirabilis
      대한민국 2012-07-20
      MABIK IV0014552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연잎성게
      Scaphechinus mirabilis
      대한민국 2012-07-20
      MABIK IV0014552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연잎성게
      Scaphechinus mirabilis
      대한민국 2012-07-20
      MABIK IV0014552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연잎성게
      Scaphechinus mirabilis
      대한민국 2012-10-17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