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Schottera koreana M.S.Calderon, T.H. Seo & S.M.Boo, 2016
조하대 수심 3-10 m의 그늘진 곳에 서식한다.
[1]
식물체는 짙은 붉은색이고 암반 위에 여러 개체가 모여 자라며 군락을 이룬다. 엽체는 하부의 포복지와 말단의 직립지로 이루어져 있어 전체적으로 기질 위에 경복한다. 포복지는 원주상으로 가늘고 길며, 불규칙하게 분지하면서 가근성 부착기를 내어 기질에 부착하고, 불규칙한 간격으로 직립지를 형성한다. 직립지는 다소 단단한 막질로 편평하고, 도란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단조하거나 드물게 아차상으로 1-2회 분지한다. 엽연은 전연이고 정단은 둥글거나 둔두이다. 엽체의 표면에 가시모양의 투명한 털을 형성한다. 직립지 높이 1.5 cm, 폭 0.2 cm 가량이다.
[1]
태평양(일본)
[2]
남해안(통영, 우도)
[3]
출처
[1]. 김명숙, 강정찬, 김병석, 양미연, 이형우. (2022). 제주 우도의 해조류 다양성.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332 pp.
[2]. G.M. Guiry in Guiry, M.D. & Guiry, G.M. (2020). AlgaeBase.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https://www.algaebase.org; searched on 19 September 2022.
[3]. 김명숙, 강정찬, 김병석, 양미연, 이형우. (2022). 제주 우도의 해조류 다양성.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332 pp.
Calderon, M. S., Miller, K. A., Seo, T. H., & Boo, S. M. (2016). Transfer of selected Ahnfeltiopsis (Phyllophoraceae, Rhodophyta) species to the genus Besa and description of Schottera koreana sp. nov. European Journal of Phycology, 51(4), 431-443.
[4]. 김명숙, 강정찬, 김병석, 양미연, 이형우. (2022). 제주 우도의 해조류 다양성.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332 pp.
[5]. G.M. Guiry in Guiry, M.D. & Guiry, G.M. (2020). AlgaeBase.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https://www.algaebase.org; searched on 19 September 2022.
[6]. 김명숙, 강정찬, 김병석, 양미연, 이형우. (2022). 제주 우도의 해조류 다양성.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332 pp.
Calderon, M. S., Miller, K. A., Seo, T. H., & Boo, S. M. (2016). Transfer of selected Ahnfeltiopsis (Phyllophoraceae, Rhodophyta) species to the genus Besa and description of Schottera koreana sp. nov. European Journal of Phycology, 51(4), 431-443.
NCBI (Schottera koreana)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