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망치고등어Scomber australasicus Cuvier, 1832
고등어와 매우 유사하며 두 종이 혼동되어 유통되지만, 본 종은 배쪽에 작은 회색 또는 흑색 반점이 산재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몸은 방추형으로 횡단면은 원형에 가깝다. 눈은 크고 주둥이 끝은 뾰족하다. 입은 크고 경사져있고 위턱의 뒤끝은 눈의 중앙을 지난다.
꼬지지느러미는 가랑이형으로 잘 발달되어 있다. 등, 뒷지느러미 뒤쪽으로 5개의 작은 토막지느러미가 있다.
체색은 등쪽은 짙은 청색, 배쪽은 은백색을 띄며 등에는 짙은 녹청색의 물결무늬가 측선까지 분포하고 체측 아래에는 작은 짙은 청색 또는 회색의 반점이 산재한다.
주로 남쪽해역에 분포하며, 수온과 염분이 높은 지역의 대륙붕에 서식한다.
산란장은 대만 북부와 일본 큐슈 남부로 알려져 있으며 산란기는 대만 북부에서는 1~3월, 일본에서는 2~4월로 알려져 있다.
식성은 10cm 전후의 크기에서는 작은 자치어나 부유성 갑각류, 성어기에는 오징어류, 갯지렁이류, 작은 어류 등을 섭식한다.
[1]
고도리, 점고등어
[1]
연안의 표층성 어류이며, 큰 무리를 지어 회유한다. 고등어보다 비교적 따뜻한 수온 지역에 서식한다.
[2]
몸은 미병고가 매우 낮은 전형적인 방추형이며, 횡단면은 타원형이다. 눈은 머리의 중앙보다 약간 위에 있고 주둥이는 뾰족하다. 꼬리지느러미 뒤 가장자리는 안쪽으로 깊게 패었다. 등은 푸른색 바탕에 암청색 얼룩무늬가 있고, 체측 중앙에 아령 모양의 무늬가 일렬로 세로줄을 이룬다. 배는 은백색 바탕에 작은 암청색 반점들이 흩어져 있다. 전장 약 50 cm.
[3]
인도 태평양, 중앙태평양, 미국 동부 연안, 인도양의 열대, 온대 해역(아프리카), 인도네시아 연안, 호주 및 뉴질랜드 연안
[1]
제주를 포함한 우리나라 전 연안
[1]
소금에 절여지거나, 훈제, 통조림 등으로 가공되어 유통되며 고등어와 섞여 유통되는 경우가 있다.
고등어에 비해 육질이나 지방함량이 적다.
[1]
출처
[1]. 해양어류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3].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4]. 해양어류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5].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6].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참고문헌
1. 한국어류대도감 (김 등, 2005)
2. 수산생명자원정보센터
3. www.fishbase.org
4. 한국해산어류도감 (김 등, 2001)
5. 한반도 생물자원포털 (국립생물자원관, 2012)
| 경제적가치 |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 3 | 3 | 1 | 2 | 3 |
| 생태적가치 |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 3 | 2 | 2 | 2 | 2 |
| 학술적가치 |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 2 | 3 | 2 | 3 | 3 |
NCBI (Scomber australasicus)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