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삼치

삼치Scomberomorus niphonius (Cuvier, 1832)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1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hordata척삭동물문 > Actinopteri조기강 > Perciformes농어목 > Scombridae고등어과 > Scomberomorus삼치속 >
  • 종설명(Description)

    •   D. XIX~XXI-15~19-7~9; A. 16~20-6~9; P1. 21~23; P2. I, 5; Vert. 48-50; GR. 2~3+9~12.
        몸과 머리는 약간 측편된 방추형이며, 체고가 낮다. 주둥이는 앞을 향해 있으며, 크다. 위턱의 선단부는, 눈 뒤쪽 끝을 넘는다. 등지느러미 시작지점은 가슴지느러미 기부보다 뒤에서 시작하며, 연조부 뒤에 토막지느러미가 7~9개 존재한다. 꼬리지느러미는 포크(Folk)형이다. 배지느러미는 가슴지느러미보다 작으며, 뒷지느러미 뒤에 토막지느러미가 6-9개 존재한다. 몸의 전반적으로 작은 비늘로 덮여있으며, 측선은 머리의 위쪽에서 시작해서 완만하게 내려오다가 등지느러미끝 부분에서 급격하게 내려간다. 몸의 등쪽은 청록색을 띄며, 복부는 흰색을 띈다. 체측 전반적으로 흑갈색 반점이 나타나기도 한다.

    •   200미터 이내 서식하며, 최대 113cm 까지 자란다. 산란회유를 하는 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요 상업종이다.

    •   전 연안

    •   중국, 일본, 러시아, 대만

    • 참고문헌

      [1]. Fricke, R., Eschmeyer, W. N. & Van Der Laan, R. (eds.). Eschmeyer’s Catalog of Fishes: Genera, species, references.
      [2]. Collete, B. B. (1983). FAO species catalogue, Vol 2. Scombrid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tunas, mackerels, bonitos and related species known to date. FAO Fish. Synop., 125, 1-137.
      [3]. Kim, B. J., & Nakaya, K. (2013). Fishes of Jeju Island,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4] Kim, J. K., et al. "Distribution map of sea fishes in Korean peninsula." Sejong, Korea: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9).
      [5]. Froese, R. and D. Pauly. Editors. 2023. FishBase. World Wide Web electronic publication. www.fishbase.org, version (02/2023).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33123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2323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3223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전통지식 이미지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7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를 이용한 가열 조리된 어패류에서의 heterocyclic amines 함량 분석 국내에서 주로 섭취되는 어패류(고등어, 삼치, 조기, 대합, 바지락, 꼬막, 백합)를 가열조리 하였을 때 형성되는 HCAs를 분리, 동정하여 그 함량을 모니터링 하였다. 추출 및 정제는 고체상 추출 방법을 사용하였고 정성, 정량을 위한 분석장비는 LC/MS를 사용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생선류에서는 고등어(2.2-1,1117.7 ng/g), 삼치(9.1-443.6 ng/g), 조기(17.5-179.5 ng/g)순으로 HCAs가 많이 검출되었으며 특히 고등어 muscle에서 많은 양(1,1117.7 ng/g, Harman)이 검출되었다. 조개류 중에서는 대합(12.2-196.4 ng/g), 꼬막(2.2-76.2 ng/g), 바지락(1.7-25.8 ng/g), 백합(1.5-2.7 ng/g)순으로 많이 검출되었으며 대합의 Norharman(196.4 ng/g)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15종의 HCAs 중 ${beta}$-carbolines에 속하는 Norharman과 Harman이주로 검출되었으며 그 밖에 PhIP, Trp-P-1. Trp-P-2 등의 발암가능성이 있는 물질들이 검출되었다. 조리방법 측면에서 보면 간장을 이용한 조림방법보다는 직접적인 가열을 통한 구이방법이 많은 양의 HCAs를 형성시켰으며 구이 중에서도 muscle만 있는 부위에서의 검출함량보다는 muscle과 skin이 함께 있는 부위에서 검출함량이 더 많았다. 가열 조리한 어패류 분석방법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해 본 결과 정량한계는 0.8-23.9 ng/mL, 검출한계는 0.2-7.2 ng/mL이었으며 회수율은 15.7-74.7%이었다. 이재환,백유미,이광근,신한승 한국식품과학회 상세보기
        기능성 지질 추출 소재로서 Fish Frames의 지질성분 특성 수산가공 부산물인 fish frame을 기능성 지질 추출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6종의 fish frame(붉은메기, 연어. 삼치, 고등어, 붕장어, 가다랑어 등)에 대한 지질성분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Fish frame에 대한 어류 뼈의 수율은 가다랑어가 64.2%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연어(57.9%), 붕장어(54.6%), 붉은 메기(42.0%), 삼치(41.7%)등의 순이었으며, 고등어가 32.6%로 가장 낮았다. 어류 뼈 유래 총 지질 중 중성 지질의 함량은 삼치가 23.3g/100g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붕장어 (21.5 g/100 g), 연어 (16.0 g/100 g), 고등어 (15.5 g/100 g)의 순이었으며, 가다랑어와 붉은 메기의 경우 다른 4종의 어류에 비하여 확연히 낮았다. 붉은 메기를 제외한 5종 어류의 중성지질 모두가 근육 및 뼈 지방에 관계없이 TG가 주성분(근육지방, 71.9-83.2%; 뼈지방, 74.2-86.9%)이었고, 다음으로 근육지방의 경우, FFA(8.1-19.2%), 뼈지방의 경우 FS(5.5-l5.5%)이었다. 붉은 메기의 경우, 중성지질의 주성분인 TG의 조성비(근육지방, 48.6%; 뼈지방, 45.3%)가 다른 어류에 비하여 확연히 낮았고, FFA의 조성비 또한 근육지방(41.6%) 및 뼈지방 (43.4%)에 관계없이 모두 5종의 어류에 비하여 확연히 높았다. 어류 뼈의 중성 지질의 EPA+DHA 조성은 연어 가 29.3%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가다랑어(27.1%), 붉은 메기(27.0%), 고등어(25.7%), 삼치(21.6%)의 순이었고, 붕장어의 경우 14.9%에 불과하였다. 이상의 수율, 중성지질 함량, 유리지방산 조성 및 EPA+DHA 조성 비율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기능성 지질 추출원으로는 연어가 가장 우수하였고, 다음으로 삼치, 붕장어, 고등어, 가다랑어 등의 순이었으며, 붉은 메기의 경우 부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김정균,한병욱,김혜숙,박찬호,정인권,최영준,김진수,허민수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상세보기
        Spawning overlap of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us and Japanese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in the coastal Yellow Sea: A prey?predator interaction

        Abstract

        Japanese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and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us are typical predator and prey species, respectively, with high commercial values in the China seas. However, the interspecific interaction, particular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pecies during early life stages, is unclear. Here, based on ichthyoplankton surveys in the coastal Yellow Sea during 2013?2018,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pecies based on egg occurrence and abundance in the context of species interaction. Spawning optimal temperature were examined for anchovy (13.0?18.0°C) and mackerel (15.0?20.0°C) based on egg occurrences and abundances in relation to sea surface temperature. We confirmed the peak spawning periods (May and June) and primary spawning areas (Haizhou Bay) for both mackerel and anchovy based on spatiotemporal distributions of two species eggs. Mackerel showed a high spawning overlap with anchovy, and anchovy egg abundance were also higher in overlap areas. Anchovy egg abundance may be more important for mackerel spawning than environmental variables, suggesting the significance of prey for predators during early recruitment. The temperature also has important effects on mackerel spawning and could be a threshold affecting mackerel spawning activity. Mackerel might have evolved a spawning strategy of short­term spawning timed to coincide with the peak spawning of anchovy in the coastal Yellow Sea. These results highlight the effects of interspecific relationships on spawning strategy of anchovy and mackerel in the coastal Yellow Sea and may provide some insights for early recruitment studies of piscivorous fishes in the context of the match?mismatch hypothesis.

        Zhang, Wenchao,Ye, Zhenjiang,Tian, Yongjun,Yu, Haiqing,Ma, Shuyang,Ju, Peilong,Watanabe, Yoshiro 상세보기
        트롤 어선에서 어획후 투기된 어류의 생존율 끌그물로부터 탈출한 소형어류의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원관리형 어구어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조사로서, 트롤망에서 양망 후 투기되는 어류의 생존율을 조사하기 위한 시험조업이 한국 남해안 및 제주도 근해에서 이루어졌다. 트롤망의 끝자루를 탈출한 소형어류를 선내에 비치된 사육수조에 수용하여 시간대별로 생존지속 시간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트롤 어구로부터 어획된 어류를 선상에 비치된 사육수조에 넣어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살오징어, 한치, 갈치, 달고기, 삼치, 참조기 및 눈볼대등 대부분의 어종은 양망후 즉시 사망하였다. 2 두툽상어, 붕장, 가오리, 말쥐치, 부채새우 등은 수조내에서 장시간 생존하였으므로 이들 어종은 투기된 후에 생존할 확률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3. 탈출장치를 빠져나온 등가시치는 수조에 수용된지 6 시간 이내에 전부 사망하였으나,97% 의 두툽상어와 72% 의 붕장어는 72시간 이상 생존하였다. 4. 끝자루를 빠져나온 가오리는 수조에 수용된지 60시간 이내에 모두 사망하였으나, 25% 의 말쥐치와 문어는 72시간 이상 생존하였다. 5. 홍감팽의 경우 탈출장치와 끝자루를 빠져나온 개체간의 생존율을 비교해보면, 끝자루를 빠져나온 홍감팽은 72 시간 이내에 전부 사망하였으나, 탈출장치를 빠져나온 것의 8.3%는 72시간 이상 생존하는 것을 보여줌으로서, 탈출장치를 빠져나온 개체의 생존율이 다소 높은 것을 보여주었다. 6. 그러나 부채새우의 경우를 비교해 보면, 끝자루를 탈출한 새우의 생존율이 75%로서 탈출장치를 빠져나온 부채새우의 생존율 33% 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탈출후의 어종별 생존 특성에 대해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안희춘,양용수,박창두,조삼광,박해훈,정의철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상세보기
        여수 소리도 주변해역에서 채집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군집구조 소리도 주변해역에서 어류의 종조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9년 8월과 10월, 2000년 2월과 5월에 총 4회에 걸쳐 조사하였으며, 소형 Trawl 어망을 5톤급 어선으로 30분간 예인하였고 소리도 주변해역에 서식하고 있는 어류의 종조성은 총 9목 34과 36속 39종 1920.6개체/$1,000m^3$가 출현하였고 그 중 준치가 460.2개체/$1,000m^3$로 23.96%를 차지하여 가장 많은 개체수가 출현하였으며, 다음으로 고등어가 312.4개체/$1,000m^3$로 16.27%, 멸치가 210.9개체/$1,000m^3$로 10.98% 순으로 출현하였다. 주요 어종의 출현빈도 조사 결과, 연중 출현한 어종은 붕장어, 준치, 양태, 주둥치, 베도라치 실망둑 등으로 소리도 연안의 정착성 어종이였고, 특정 계절에만 출현한 어종은 군평선이와 얼룩통 구멍은 봄철에만 출현하였으며, 풀넙치는 여름에만 출현하였고, 돌돔, 고등어 그리고 삼치는 가을에만 출현하였다. 군집분석을 분석한 결과 종 다양도지수는 1.970~2.528, 풍부도지수는 2.747~4.729, 균등도지수는 0.669~0.759, 우점도지수는 0.455~0.576로 나타났다. 계절별 군집의 유사도는 봄철과 겨울철이 0.0043로 가장 작아 군집상이 매우 유사하였으며, 여름철과 겨울철에는 우점종과 출현종이 유사하지 않아 상대거리차가 0.10135로 군집상에 차이가 가장 컸다. 한경호,이성훈,김선재,윤병일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10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등푸른 생선과 명란을 함유하는 수산가공식품의 제조방법 1020100025636 대경에프앤비 주식회사 원문정보
        니들 펀치 주입식 홍삼 추출물 함유 어육류 가공 방법 1020160153733 주식회사 삼부메디칼 원문정보
        유자 추출액을 이용한 자반생선의 제조방법 1020030004038 주식회사 에이치제이푸드 원문정보
        다기능성 고층어초 1020050021146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원문정보
        저염도 탄산수와 대추추출물을 이용한 고등어와 삼치의 비린내 제거 및 지방산화 방지 방법 1020160040045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원문정보
      • 전통지식

        검색결과 1

        전통지식 목록 - 학명, 국명, 지역, 주용도, 구전 전통지식
        학명국명지역주용도구전 전통지식
        Scomberomorus niphonius 삼치 제주특별자치도 식용 구이나 조림으로 식용한다.
        기력회복에 좋으며, 지방분해 효능이 있다.
    • 자원정보

      검색바

      총 210건, 1/42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PI0001311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삼치
      Scomberomorus niphonius
      대한민국 2011-10-11
      MABIK PI0001313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삼치
      Scomberomorus niphonius
      대한민국 2011-11-22
      MABIK PI0001530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삼치
      Scomberomorus niphonius
      대한민국 2011-10-24
      MABIK PI0001539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삼치
      Scomberomorus niphonius
      대한민국 2012-09-19
      MABIK PI0001545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삼치
      Scomberomorus niphonius
      대한민국 2012-10-31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