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78건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울릉도 해역의 정치성 구획어업 도입을 위한 시험 연구 본 연구는 울릉도 수산자원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서 정치성 구획어업의 도입을 위한 시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용 어구인 삼각망은 울릉도 해역의 환경, 운영 및 관리 비용, 소형 어선 및 인력이 운영할 수 있는 조건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2017년 4월부터 5월까지 삼각망을 이용하여 11회 어획 조사한 결과, 총 개체수는 2,735개체, 중량은 983.4 kg으로 계측되었으며, 우점종은 참돔, 방어, 넙치, 한치, 전갱이, 쥐치류 등으로 조사되었다. 조사기간 중 유용 수산자원은 어류의 경우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i), 볼락(S. inermis), 개볼락(S. pachycephalus), 쑤기미(Inimicus japonicus), 노래미(Hexagrammos agrammus), 농어목 어류 붉바리(Epinephelus akaara), 참돔(Pagrus major) 그리고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로 분류되었으며, 두족류인 한치(Uroteuthis chinensis)의 어획량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울릉도의 주요 수산자원 중 하나인 살오징어의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할 경우, 삼각망과 같은 소형 정치성 구획어업의 도입은 어민 수입 창출의 대체 수단으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윤성진 한국해양생명과학회 상세보기 수산생물방역사업에 대한 경제적 편익의 직접적 효과분석 수산양식어업은 수산생물질병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관리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이 논문은 경제적 잉여분석을 이용하여 수산생물질병방역사업에 대한 경제적 편익의 직접적 효과를 추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제적 편익은 수산생물사망 감소율과 수산생물질병감소로 인해 발생하는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의 변화 정도를 포함한다. 연구결과 양식되는 넙치, 볼락 및 기타 어류의 생산자잉여에 대한 연간 변화액은 총 23.3억원(각각의 경우 8.7억원, 10.1억원, 4.5억원)이고, 소비자잉여의 연간 변화액은 총 101.5억원(각각의 경우 63.6억원, 18.5억원, 19.4억원)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수산생물질병방역사업에 따른 연간 총 경제적 편익은 125억원 수준으로 평가된다. 조미영,지보영,박명애,표희동 한국해양생명과학회 상세보기 포항 석병연안에서 삼중자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저수온기인 1월에는 출현 종수, 개체수및 생체량에서 조사 기간 중 최저치를 나타내었으며, 수온이 상승하는 4월부터 복섬, 일곱동갈망둑, 숭어, 졸복,점망둑 및 조피볼락 등이 연안으로 이동해 오면서 자원량이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출현 종수는5월에, 개체수와 생체량은 7월에 각각 최대치를 나타내었으나, 11월 이후에는 봄철 연안으로 이동해 온 어종들이 수온의하강으로 인해 깊은 곳으로 이동하였거나, 다른 해역으로 회유하여 자원량이 급감한 것으로 분석된다. 적 요경상북도 포항시 석병 연안에서 삼중자망 5폭을 사용,1998 년 1월부터 12월까지 총 12회에 걸쳐 어류를 포획하여,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을 조사하였다. 포획된 어류는 총 1綱 7 27科 58 , 607개체,93,427 g으로 쏨뱅이 (Scorpaeniformes)과 농 어 (Pe-rciformes) 어류가 총 41으로 전체 출현종 수의 70.7%를 차지하여 우점하는 분류군이었으며, 科별로는 양볼락科 (Scorpaenidae) 어류가 8 출현하여 , 가장 많은 이출현하였다.개체수에서 우점종은 망상어, 노래미, 쥐노래미, 용치놀래기, 쥐치, 볼락, 개볼락, 멸치 및 임연수어로 이들 9이 전개체수의 62.9% 를 차지하였다.생체량에서 우점종은 망상어, 쥐노래미, 임연수어, 노래미, 볼락 및 용치놀래기로 이들 6이 전생체량의 58.4% 를 차지하였다. 출현 개체수와 생체량은 수온이 상승하는 4월과, 고수온기인 7월 및 10월에 높게 나타났으며, 저수온기인 1월에는 낮게 나타나, 수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월별 출현종수는 수온이 낮은 1월에 10이 출현하여가장 적었고, 수온의 상승폭이 큰 5월에 24으로 가장많았다.종 다양도지수는 1.640~ 2.594의 범위로 경월변화가적고, 인근 해역에 비해서 높은 지수를 나타내고 있어,다양한 어종과 안정된 군집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본 조사해역에서 연 중 출현한 어종은 망상어, 노래미,쥐노래미, 볼락 등이며, 체형이 크고 성장도가 양호할 뿐만 아니라 주거종으로서 경제성있는 어종으로 평가된다. 한경호,손종철,황동식,최수하 한국어류학회 상세보기 한국 동해 중부해역에 서식하는 볼락속(Sebastes) 어류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비교분석 좀볼락 (Sebastes minor), 세줄볼락 (Sebastes trivittatus), 황볼락 (Sebastes owstoni) 및 노랑볼락 (Sebastes steindachneri)은 한국 동해 중부 이북해역에 서식하는 동해안 특산 어종이다. 이들 동해안 특산 볼락류의 분자진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좀볼락과 세줄볼락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미토게놈)를 해독하였고, 한반도 주변 해역에 출현하는 16종 볼락의 미토게놈과 비교하였다. 좀볼락 및 세줄볼락의 미토게놈 전체 크기는 각각 16,408 bp 및 16,409 bp이었으며, 37개의 유전자 (13개의 단백질 코딩 유전자, 2개의 리보솜 RNA 유전자 및 22개의 tRNA 유전자)와 1개의 비암호화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동해안 특산 볼락에 속하는 좀볼락, 세줄볼락, 황볼락 및 노랑볼락의 미토게놈을 분석한 결과, 유전체 구조, 뉴클레오티드 구성, 유전자 배열 등에서 매우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비암호화 영역인 조절영역에 잘 보존된 'ATGTA' 모티프(motif) 2개가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특정 염기서열의 반복(tandem repeats)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들 동해안 특산 볼락류 4종의 미토게놈 염기서열 간에 차이는 단백질 코딩 유전자 영역보다 조절영역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주변 해역에 출현하는 볼락속 어류의 미토게놈 정보를 이용하여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16종의 볼락을 4개의 클러스터(cluster)로 그룹화할 수 있었고, 이 중에서 동해안 특산 볼락류 4종은 3개의 클러스터에 속해 있었다. 황볼락(S. owstoni)은 흰꼬리볼락(S. longispinis), 우럭볼락(S. hubbsi), 개볼락(S. pachycephalus), 황점볼락(S. oblongus), 황해볼락 (S. koreanus), 조피볼락 (S. schlegelii) 및 탁자볼락(S. taczanowskii)과 동일한 클러스터에 속하고, 세줄볼락 (S. trivittatus)은 누루시볼락 (S. vulpes)과 동일한 유전적 분기군으로 나타났다. 동해안 특산 볼락류 4종 중에서 좀볼락(S. minor)과 노랑볼락(S. steindachneri)은 동일한 클러스터로 분류되어 유연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동해 중부해역에 서식하는 볼락류의 진화양상을 이해하거나, Sebastidae 어류의 유전적 진화연구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장요순,황선완,이은경,김성 한국어류학회 상세보기 잠수관찰을 통한 통영 영운리 연안의 어류 종조성 및 계절변동 이번 연구는 경남 통영시 영운리의 어류 종조성 및 계절변동에 대한 연구를 2016년 10월부터 2017년 9월까지 잠수관찰기법으로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5목 35과 45종 5,358개체가 관찰이 되었다. 그 중 농어목(Perciformes)이 29종으로 64%, 쏨뱅이목 (Scorpaeniformes)이 8종 18%, 복어목(Tetraodontiformes) 3종 7%, 차지하였다. 우점종으로는 볼락 (Sebastes inermis)이 차지하였고 아우점종으로는 그물코쥐치 (Rudarius ercodes)였다. 관찰된 종수는 10월에 33종으로 가장 많았고 2월에 4종으로 가장 적었으며 수온이 상승하는 3월 이후에 종수가 증가하였다. 개체수는 2016년 10월에 950개체로 가장 많았으며 이 시기는 주요 출현어종 인상어(Neoditrema ransonnetii), 그물코쥐치(Rudarius ercodes), 흰줄망둑(Pterogobius zonoleucus), 볼락(Sebastes inermis)이 대부분 차지하였다. 특히 아열대어류인 청줄돔 (Chaetodontoplus septentrionalis), 청줄청소놀래기(Labroides dimidiatus), 노랑거북복(Ostracion cubicus) 세 종이 출현하였고 노랑거북복과 청줄청소놀래기는 통영에서 처음 출현하였다. 이강민,이용득,박종율,곽우석 한국어류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16건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복합 미생물제제를 이용한 하천 또는 호소에서의 녹조 및 악취제거방법 2010-0011838 (주) 건농 원문정보 식용곤충 및 폐어패류를 활용한 기능성 과립형 반려견 사료 및 그 제조방법 1020180066191 조종철 원문정보 다기능성 고층어초 1020050021146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원문정보 어피 유래 콜라겐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1020110133129 황재호|유은경 원문정보 조피볼락 건어포 제조용 조미액 및 이를 이용한 조피볼락 건어포 제조방법 1020150052660 거문도해풍쑥 영농조합법인 원문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