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띠볼락

띠볼락Sebastes zonatus Chen & Barsukov, 1976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 해양생물평가등급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hordata척삭동물문 > Teleostei > Scorpaeniformes쏨뱅이목 > Sebastidae볼락과 > Sebastes볼락속 >
  • 종설명(Description)

    •   최대성장크기 37cm. 체형은 누루시볼락과 매우 유사하나, 체고가 더 높다.
        체색은 백색 또는 붉은색을 띈 회색으로 흑갈색 반점이 밀집하고 체측에 3개의 가로띠를 갖는 것이 특징적이다.
        첫 번째 띠는 등지느러미 가시부, 2번째 띠는 등지느러미 기저부, 3번째 띠는 꼬리자루 위에 존재한다.
        50~175m의 깊은 수심의 암초 지역에 서식한다.
      [1]

    •   우럭, 참우럭
      [1]

    •   수심 50∼170m의 암초 지역에 서식하는데, 누루시볼낙과 함께 어획된다.
      [2]

    •   몸과 머리는 측편되었고 긴 타원형이다. 형태적으로는 누루시볼낙과 비슷하다. 몸은 분홍빛을 띤 흰색 바탕에 자흑색 점들이 흩어져 있고, 너비가 넓은 자흑색 가로무늬가 3개 있다. 첫 번째 무늬는 등지느러미 극조부 아래에, 두 번째 연조부 아래에, 마지막 세 번째 무늬는 미병부에 있다. 새파 수는 26∼27개, 측선공비늘 수는 31∼34개이다. 가슴지느러미는 연한 색을 띠며 끝부분은 약간 어둡다. 꼬리지느러미는 연한 색을 띠며 끝부분은 약간 어둡다. 꼬리지느러미 뒤 가장자리에 흰색 테두리가 있다. 전장 약 30 cm.
      [3]

    •   일본 (시마네현~홋카이도)
      [1]

    •   우리나라 동해남부, 서해남부, 남해
      [1]

    •   흔히 이용되는 조피볼락과 매우 유사하지만 조피볼락보다 지방이 많아 고급횟감으로 취급되어진다.
      [1]

    • 출처

      [1]. 해양어류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3].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 [4]. 해양어류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5].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6].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 참고문헌

      1. 한국어류대도감 (김 등, 2005)
      2. 수산생명자원정보센터
      3. www.fishbase.org
      4. 한국해산어류도감 (김 등, 2001)
      5. 한반도 생물자원포털 (국립생물자원관, 2012)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33233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3232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33332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울릉도와 독도에 출현하는 띠볼락(Sebastes zonatus Chen and Barsukov, 1976)과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Günther, 1877))의 생물역학적 관계와 계절적 비만도지수의 첫 보고 본 연구는 울릉도와 독도 해역에 서식하는 띠볼락(Sebastes zonatus Chen and Barsukov, 1976)과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 (Günther, 1877))의 체장-체중 관계 (LWR)와 계절적 비만도지수 (K) 정보를 국내 최초로 보고하였다. 두 종의 체장-체중 관계는 모든 계절에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r2>0.959), LWR 회귀 기울기는 두 종 모두 저수온기와 고수온기 사이에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두 종의 비만도지수는 저수온기에 고수온기보다 현저히 높아 산란기와 관련된 비만도 증가를 반영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띠볼락과 말쥐치의 생물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향후 두 어종에 대한 보존 및 관리 계획 개발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Joo Myun Park,Hyun Su Rho,Hee Gap Lee,Se Hun Myoung,Laith A. Jawad,Jae Ho Lee,Chang Geun Choi The Ichthyological Society of Korea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22건, 1/5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PI0000053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띠볼락
      Sebastes zonatus
      대한민국 2011-05-24
      MABIK PI0002310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띠볼락
      Sebastes zonatus
      대한민국 2011-07-15
      MABIK PI0002311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띠볼락
      Sebastes zonatus
      대한민국 2012-01-04
      MABIK PI0004219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띠볼락
      Sebastes zonatus
      대한민국 2014-07-01
      MABIK PI0004227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띠볼락
      Sebastes zonatus
      대한민국 2014-07-01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