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붉감펭Sebastiscus albofasciatus (Lacepède, 1802)
남해, 일본 남해, 동중국해에 서식하는 양볼락과 어류로서 수심 30~100m 근해의 암초지대에 서식한다. 체형은 타원형으로 측편형이고 머리에 단단한 가시가 발달되어있다. 아가미 뚜껑 앞쪽에 5개 뒤쪽에 2개의 가시가 있다. 위턱이 아래턱보다 긴 편이며 대부분 빗비늘로 덮여있다. 난태생 어종으로서 새끼를 낳으며 3~4월경에 산출한다. 체색은 황적색으로 노란색의 그물 모양 및 줄무늬가 존재한다. 배 부분은 은백색이다. 등지느러미 기저에 붉은색으로 둘러쌓인 연한 반점과 5개의 검은색 부분이 존재한다. 평균 체장은 25cm이다.
[1]
우럭
[1]
난태생. 수심이 30∼100m인 연안의 암초 지역에 서식하며 낚시로도 잡힌다.
[2]
몸과 머리는 측편되었고 타원형이다. 눈 지름은 주둥이 길이와 비슷하거나 약간 짧다. 두 번째 안하골 위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양턱의 길이는 비슷하고 위턱의 뒤 끝은 눈의 중간 부분 아래에 이른다. 측선공비늘 수는 49∼53개이다. 몸은 등황색 바탕에 윤곽이 뚜렷하지 않은 진한 황적색 구름무늬가 있고, 배는 은백색을 띤다.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 가슴지느러미는 등황색 바탕에 황적색 점무늬가 있다. 전장 약 25 cm.
[3]
서태평양:동중국해, 남중국해, 홍콩, 대만
[1]
동해, 남해, 제주
[1]
출처
[1]. 해양어류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3].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4]. 해양어류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5].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6].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참고문헌
1. 한국어류대도감 (김 등, 2005)
2. 수산생명자원정보센터 (국립수산과학원)
3. www.fishbase.org
NCBI (Sebastiscus albofasciatus)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