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3건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맞춤형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제주 식물 탐색 본 연구에서 최근 한국 제주 지역에서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맞춤형화장품 소재 개발 일환으로서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육상식물 50종과 해상식물 10종에 대해 주름개선 검증을 위한 콜라겐 생성 효과와 히알루론산 생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은 피부 노화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실험 결과, 육상식물 50종 추출물 중에서 점나도나물추출물( $100{mu}g/mL$ )은 190% 이상 콜라겐을 생성하였으며, 살갈퀴추출물($100{mu}g/mL$ )은 160% 이상, 팔손이추출물($10{mu}g/mL$ ), 금사철추출물($100{mu}g/mL$ ), 기수초추출물($100{mu}g/mL$ ), 보리수나무추출물($100{mu}g/mL$ ), 땅채송화추출물($100{mu}g/mL$ ), 나비나물추출물($100{mu}g/mL$ ), 갓추출물 ($100{mu}g/mL$ )은 140% 이상 콜라겐 생성 효과를 보였다. 해상식물 10종 추출물 중에서는 큰열매모자반추출물($50{mu}g/mL$ )이 190% 이상 콜라겐을 생성하였으며, 붉은뼈까막살추출물($100{mu}g/mL$ ), 누운청각추출물($100{mu}g/mL$ ), 우단청각추출물($100{mu}g/mL$ )의 경우는 140% 이상 콜라겐 생성 효과를 보였다. 제주 육상식물 50종 추출물 중에서 기수초추출물($100{mu}g/mL$ )이 140% 이상 히알루론산 생성 효과를 보였으며, 팔손이추출물($20{mu}g/mL$ ), 등나무추출물($100{mu}g/mL$ )은 130% 이상의 히알루론산 생성 효과를 나타냈다. 해상식물 10종 추출물 중에서는 자루바다표고추출물($100{mu}g/mL$ )이 가장 효과가 좋았으며, 이 외에도 붉은뼈까막살추출물($100{mu}g/mL$ ), 누운청각추출물($100{mu}g/mL$ ), 우단청각추출물($100{mu}g/mL$ )에서 120% 이상 히알루론산 생성 효과를 보였다. 이들 콜라겐과 히알루론산 생성 효과가 양호한 제주 자원들은 향후 맞춤형화장품의 피부 고민을 해결하는 데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윤경섭,김미진,김무한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상세보기 해안 생태계 복원을 위한 울릉도에 자생하는 해안식물의 뿌리로부터 분리된 내생진균류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 본 연구에 사용된 해안식물은 울릉도의 해안지역으로부터 채집하였다. 그리고 식물은 큰비쑥, 해국, 갯질경이, 땅채송화, 갯강아지풀 등 5종류의 식물이 채집되었다. 울릉도에서 채집된 해안식물의 뿌리로부터 36주의 내생진균이 분리되었다. 모든 내생진균류는 ITS영역에 의해 분석 및 동정되었다. 그리고 계통분석 결과, 분리된 내생진균류는 모두 자낭균문에 속하고 4종류의 목(Capnodiales, Eurotiales, Hypocreales and Pleosporales)으로 분류되었으며, 이 중 Eurotiales 목이 가장 분포 비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내생진균류를 속으로 분류하였을 때, 9종류의 속(Alternaria, Aspergillus, Cladosporium, Exserohilum, Fusarium, Neosartorya, Penicillium, Phoma and Pyrenochaeta)으로 분류되었으며, Penicillium 속과 Aspergillus 속이 가장 우점종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Shannon's diversity index (H')는 0.684에서 1.609의 분포로 나타났으며, 땅채송화에서 분리된 내생진균류의 다양성이 다른 식물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김미애,유영현,윤혁준,김현,서영교,할무라토바 이리나,신재호,이인중,추연식,김종국 한국생명과학회 상세보기 해안 생태계의 복원을 위하여 독도에 자생하는 식물로부터 분리된 내생진균류의 식물생장촉진활성과 유전학적 다양성 본 연구에서는 독도에 자생하는 5종의 식물, 비짜루, 갯괴불주머니, 왕김의 털, 땅채송화, 갯강아지풀을 채집하였다. 독도의 자생식물 뿌리로부터 33 주의 내생진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모든 내생진균류들은 ITS1, 5.8s와 ITS2를 포함하는 ITS영역의 서열에 의해 분석되었다. 그리고 내생진균류의 배양여과액을 이용하여 난장이벼 유묘에 처리하여 식물생장촉진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땅채송화로부터 분리된 D-So-1-1 내생진균이 가장 우수한 식물생장촉진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분리된 모든 내생진균는 자낭균문의 Eurotiales (86%), Capnodiales (3%), Hypocreales (4%), 및 Incertae sedis (7%)에 속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내생진균류를 속으로 분류하였을 때, Aspergillus (12%), Cladosporium (3%), Eurotium (3%), Fusarium (18%), Microsphaeropsis (6%), 및 Penicillium (58%)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영현,윤혁준,김현,임성환,신재호,이인중,추연식,김종국 한국생명과학회 상세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