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쇠갑오징어

쇠갑오징어Sepiella japonica Sasaki, 1929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1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Mollusca연체동물문 > Cephalopoda두족강 > Sepiida갑오징어목 > Sepiidae갑오징어과 > Sepiella쇠갑오징어속 >
  • 종설명(Description)

    •   갑오징어 중 중형 크기이다. 외투막은 넓은 계란형이며 지느러미 너비는 전체적으로 동일하다. 등 면은 짙은 갈색을 띠고 흰색 점들이 산재하여 있으며 앞부분은 삼각형 모양이다. 머리는 외투막 개구부와 너비가 거의 유사하다. 팔은 짧고 각 팔의 길이는 거의 동일하며 흡반은 4열로 나 있다. 4번 팔은 생식을 위한 교접팔이다. 촉수는 길이가 다양하나 외투막과 길이가 비슷한 편이며 1번 팔과 두께가 비슷하다. 촉수 주먹은 길쭉하고 약 20개의 작고 크기가 거의 같은 흡반이 나 있다. [2].

    •   수심 0-50m의 연안에 서식한다. 일년생이며 수온에 따라 산란기가 다르나 통상적으로 홍콩에서는 2-5월, 국내에서는 4-7월에 산란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   남해, 동해, 서해, 제주도

    •   대만, 일본, 중국

    • 참고문헌

      [1]. Je JK. 1990. Preliminary study on the cephalopod molluscs of the Korean waters. Rep. Korea Ocean. Res. Dev. Inst.
      [2]. Sasaki M. 1929. A monograph of the dibranchiate cephalopods of the Japanese and adjacent waters. Journal of the College of Agriculture, Hokkaido Imperial University. 20(supplement):1-357.
      Roper CFE, Sweeney MJ, Nauen CE. 1984. FAO species catalogue. Vol. 3. Cephalopod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species of interest to fisheries. FAO Fish. Synop., Vol. 3, No. 125: 1-277.
      Je JK. 1990. Preliminary study on the cephalopod molluscs of the Korean waters. Rep. Korea Ocean. Res. Dev. Inst.
      Okutani T. 2017. Marine mollusks in Japan 2nd edition. Tokai University Press, Tokyo.
      [3]. Roper CFE, Sweeney MJ, Nauen CE. 1984. FAO species catalogue. Vol. 3. Cephalopod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species of interest to fisheries. FAO Fish. Synop., Vol. 3, No. 125: 1-277.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33133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2333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1233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COI

    염기서열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2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황해산 두족류의 가용성 단백질에 대한 연구(II) 황해산 두족류 6종(참갑오징어, Sepia esculenta ; 쇠갑오징어, Sepiella japonica : 한치꼴뚜기, Loligo chinensis : 살오징어, Todarodes pacificus : 참꼴뚜기, Loligo beka : 낙지, Octopus minor)의 안구단백질을 추출하여 항원-항체 교차반응을 실시하였다. 쇠갑오징어, 살오징어와 낙지의 안구단백질로 항혈청(antiserum)을 제작하였으며 갑오징어목, 살오징어목 및 낙지목에 속하는 두족류 6종의 안구단백질을 항원(antigen)으로 사용하였다. 갑오징어목 속하는 쇠갑오징어 및 참갑오징어에서 항원-항체 반응 양상이 매우 뚜렷하였으며 종간 비교에 기준이 될 수 있고 또한 유의성있는 침강선을 볼 수 있었다. 또한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방법으로 살오징어의 안구단백질을 분획하여 crystallin을 분리하였으며, 주 분획을 SDS-PAGE 전기영동 방법으로 분자량을 추정해 본 결과 약 20-35 KDa 였다. 허회권,황규린 한국양식학회 상세보기
        황해산 두족류의 가용성 단백질에 대한 연구 (I) 황해서식 두족류 (class Cephalopoda)의 가용성 단백질에 대한 연구를 위해, 인천 및 목포 연근해에서 채집된 두족류 3목 5종의 (오징어목 : 참갑오징어 (Sepia esculenta) 및 쇠갑오징어 (Sepiella japonica), 살오징어목 : 한치꼴뚜기 (Loligo chinensis) 및 참꼴뚜기 (Loligo beka), 문어목 : 낙지 (Octopus minor)의 안구단백질, 근육단백질 및 간조직을 추출하여, 각종 전기영동 (Davis-PAGE 및 SDS-PAGE, Exponential gradient SDS-PAGE, 등전점 전기영동, 2차원 전기영동) 방법에 의한 단백질 분리 양상을 통해 두족류 종사이의 유전적 근연관계를 분석하였다. 시료의 안구 및 근육 단백질에 대한 exponential gradient SDS-PAGE 전기영동 결과 대략 분자량 35-50 KDa 사이에서 단백질 분리 양상의 차이를 볼 수 있었으며, 등전점 전기영동 방법(IEF)에 의해서는 pI값 7.5-8.5 사이에서 종간 특이성을 갖는 단백질 분리 양상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유의성이 있다고 판단된 시료의 안구 단백질을 2차원 전기영동 방법에 의해 분리 해 본 결과 대부분 분자량 30-50 KDa 사이에 분포하고 있어 exponential gradient SDS-PAGE 전기 영동에 의한 결과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허회권 한국양식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2건, 1/1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MO0018497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쇠갑오징어
      Sepiella japonica
      대한민국 2022-06-01
      MABIK MO0018596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쇠갑오징어
      Sepiella japonica
      대한민국 2024-05-29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