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0건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봄-여름 고창 연안에서 주목망에 어획된 어류의 출현양상 In 2014, fishes caught using stow nets in coastal waters off Gochang from May to October were assessed for appearance patterns. The fishes were caught at four research stations (St.) and were found to comprise 37 species, 18 families, and 7 orders. The dominant species were Thryssa kammalensis, Setipinna tenuifilis, and Sardinella zunasi. To gain a measure of their biodiversity, all species were assessed for their number, richness, diversity, evenness, and dominance. The highest and lowest numbers of total fishes caught were recorded in September (4,819 individuals) and October (828 individuals), respectively. The diversity was the highest in October (H’ = 2.478) and lowest in June (H’ = 0.880). The evenness index was the highest in October (E = 0.780) and lowest in June (E = 0.343). The richness index was the highest in October (R = 3.424) and lowest in May (R = 1.552). Finally, the dominance index was the highest in June (D = 86.2%) and lowest in October (D = 40.3%). 한경호,노성삼,유태식,차상훈,이성훈 (사)한국해양바이오학회 상세보기 봄-여름 고창 연안에서 주목망에 어획된 어류의 출현양상 In 2014, fishes caught using stow nets in coastal waters off Gochang from May to October were assessed for appearance patterns. The fishes were caught at four research stations (St.) and were found to comprise 37 species, 18 families, and 7 orders. The dominant species were Thryssa kammalensis, Setipinna tenuifilis, and Sardinella zunasi. To gain a measure of their biodiversity, all species were assessed for their number, richness, diversity, evenness, and dominance. The highest and lowest numbers of total fishes caught were recorded in September (4,819 individuals) and October (828 individuals), respectively. The diversity was the highest in October (H@@@@ = 2.478) and lowest in June (H@@@@ = 0.880). The evenness index was the highest in October (E = 0.780) and lowest in June (E = 0.343). The richness index was the highest in October (R = 3.424) and lowest in May (R = 1.552). Finally, the dominance index was the highest in June (D = 86.2%) and lowest in October (D = 40.3%). 한경호,노성삼,유태식,차상훈,이성훈 한국해양바이오학회 상세보기 인천 옹진 굴업도의 식물상과 비교사례 연구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굴업도의 식물상과 기존문헌과의 비교사례를 조사한 것으로, 굴업도의 전체식물상은 81과 201속 252종 3아종 22변종 5품종으로 총 28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의 생활형 중 휴면형은 반지중식물이 66분류군(23.4%), 번식형 중 지하기관형은 단립식물( $R_5$ )이 160분류군(56.7%), 산포기관형은 중력산포형($D_4$ )이 137분류군(48.6%), 생육형은 직립형(e)이 117분류군(41.5%)으로 각각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이중 염생식물은 솔장다리, 방울비짜루 등 23분류군이, 희귀식물은 세뿔석위, 금방망이 등 7분류군이, 특산식물은 새끼노루귀, 해변싸리 등 5분류군이 각각 확인되었다. 또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에 금방망이 1분류군, III등급에 세뿔석위, 병아리꽃나무 등 8분류군, II등급에 돌뽕나무, 흰대극 등 6분류군, I등급에 백선, 순비기나무 등 23분류군으로 도합 3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아까시나무, 털빕새귀리 등 17분류군으로, 이중 돼지풀은 생태계교란식물이다. 조사된 전체 282분류군의 관속식물 중 귀화율(NR)은 6.0%에 해당되며, 도시화지수(UI)는 우리나라 귀화식물 321분류군의 5.3%에 해당된다. 굴업도와 인접해 있는 백아도는 현지 조사하였으며, 인천광역시 옹진군, 강화군 무인도서와 백령도, 대청도 등 총 41개 섬의 기존문헌을 정리한 결과, 평균 출현종수는 약 89분류군, 희귀식물은 약 2종, 특산식물은 약 1종, 귀화식물은 약 4종으로 각각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굴업도에 분포하는 식물상과 인근도서의 기존문헌과 비교를 통해 굴업도의 자연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오현경,한윤희,김은옥,김영하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상세보기 남해군 삼동면 연안 어류의 월별 종조성 변화 남해 삼동면 연안의 사질과 잘피밭의 어류군집을 비교하기 위해서 2011년 3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소형 beam trawl과 지인망을 이용하여 어류를 매월 채집하였다. 두 곳의 조사지점에서 공통으로 출현한 종은 총 19종이었다. 실고기, 풀해마, 가시망둑, 돌팍망둑, 감성돔, 베도라치, 문절망둑, 줄망둑, 날개망둑, 살망둑, 두줄망둑, 문치가자미, 복섬 등이 공통으로 출현하였고, 이 중 실고기, 풀해마, 가시망둑, 베도라치, 복섬은 잘피밭에서, 돌팍망둑, 감성돔, 문절망둑, 줄망둑, 날개망둑, 살망둑, 두줄망둑, 문치가자미는 사질연안에서 주로 출현하였다. 실비늘치와 해마, 볼락, 농어, 독가시치는 잘피밭에서만 출현하였고, 풀반지, 숭어, 쑤기미, 양태, 쥐노래미, 알롱횟대, 꼼치, 동갈양태, 댕기망둑은 사질에서만 출현하였다. 채집된 어류 대부분은 소형어나 유어로 남해 연안의 잘피밭과 사질연안이 이들 어류의 성육장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출현 종수는 2011년 8~9월에, 개체수는 2011년 8월이 가장 높았다. 생체량은 2011년 4월과 9월에 가장 높았다. 대체적으로 겨울철에는 출현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이 모두 낮았다. 개체수 및 생체량은 사질연안에 비하여 모두 잘피밭에서 높았으며, 사질연안에서는 잘피밭을 선호하는 어류들이 다수 출현하였지만, 잘피밭에서는 사질연안을 선호하는 어종이 거의 출현하지 않았다. 김준섭,이용득,이승환,박준수,곽우석 한국어류학회 상세보기 제주도 도순천·악근천 하구해안의 식생과 멸종위기종 II급 솔잎란(Psilotum nudum) 서식지 특성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제주도 서귀포시에 위치한 도순천·악근천 하구해안의 식물상 및 식생의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관속식물은 94과 249속 313종 37변종 3품종 2아종의 총 355종류가 조사되었으며, 귀화식물은 15과 27속 30종 1변종으로 31종류가 조사되었다. Numata식의 생활형에서는 반지중식물(H)이 77종 21.75%, 지하기관형(Radicoid form)은 단립식물(R5)이 200종 56.34%, 산포기관형은 중력산포형(D4)이 161종 45.35%로 구성비율이 가장 높았다. Raunkiaer의 생활형을 분석한 결과 지표식물(ch), 1년생식물( Th)은 한반도 보다 높은 비율로 분포하고 있으나 반지중식물(H)은 낮았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 3종(식재종 1종포함), IV등급 2종, III등급 17종, II등급 2종, I등급 32종의 총 57종류가 자란다. 법적보호식물은 멸종위기종 II급인 솔잎란이 도순천 하구 암벽에 25개체가 조사되었으며, 콩짜개덩굴, 마삭줄, 석위 등과 혼생하고 있다. 식생의 특징은 하구의 암벽식생, 해안암벽식생, 사구식생, 하천의 하도식생, 전이지역 식생의 5개 식생유형과 곰솔군락, 보리밥나무군락, 순비기나무군락, 돌가시나무군락, 돌가시나무-상동나무군락, 상동나무군락, 우묵사스레피나무군락, 송악군락, 갯완두군락, 우산잔디군락, 천일사초군락, 번행초군락, 팽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 콩짜개덩굴군락, 겨이삭군락, 석창포군락, 버들참빗군락의 총 17개 군락이 조사되었다.
최영은,,김정문,,김창환,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4건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기능성 미생물을 활용한 김치 양념 분말 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1020200150782 유한회사 씨엠에프엔비 원문정보 발효축산폐수를 이용한 배양액에서 배양된 미세조류를첨가한 패어류의 사료 개발 기술 1020040007380 김미경 원문정보 흰다리새우 중간종묘 대량생산을 위한 실린더형 사육수조 1020220071840 주식회사 미래바다|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원문정보 아귀를 이용한 반지김치의 제조방법 102021014321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제이엠푸드 원문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