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마루대롱수염새우Solenocera alticarinata Kubo, 1949
껍질은 이마뿔 기부와 갑각의 앞쪽 등부분에 다소 밀집된 잔털이 있는 것 외에는 매끈하다. 이마뿔은 끝쪽으로 부러졌고 작은더듬이 제1마디의 끝가장자리에 약간 이르지 못하며, 아랫가장자리는 다소 볼록하며, 윗가장자리는 위윗가시를 포함해서 7개의 가시가 있고 그 중에서 뒤의 4개는 갑각 위에 있다. 갑각에 있는 이마뿔뒷마루는 높고 잎모양이며 갑각의 뒷가장자리까지 뻗어 있지만 목홈에 의해서 끊겨져 있고 갑각의 후방 1/4지점이 가장 높고, 눈윗가시, 눈구멍뒷가시, 더듬이윗가시와 간가시가 있으며, 앞옆모서리는 둥글고, 목홈과 염통아가미홈는 분명하고, 간홈은 앞쪽 아래로 휘어져 그 앞끝은 깊은 앞옆모홈과 함께 휘어져 있다. 배에는 제2마디 등면에 중앙 혹이 있고, 등중앙마루는 제3마디의 뒤쪽 절반부터 제6마디의 뒷가장자리에 걸쳐서 있으며 제6마디의 것은 뾰족한 가시로 끝난다. 작은더듬이 채찍은 떨어져 없다. 제1가슴다리 밑마디와 자리마디에는 가시가 있으나, 제2가슴다리에는 밑마디에만 가시가 있다. 암컷의 제7가슴배판에는 중앙융기가 있고, 제8가슴배판(암컷교접기)는 크게 파여져 있으며 앞쪽과 옆쪽 융기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고 중앙융기는 다소 분명하고 앞쪽 융기의 앞쪽에 2쌍의 둥근 돌기가 있다[1].
제주[1]
서태평양[1]
참고문헌
[1] 김정년. 2012. 한국의 무척추동물 제 21권 14호 새우류 I(절지동물문: 갑각강: 십각목: 보리새우과, 바위새우과, 대롱수염새우과, 꼬마새우과, 자주새우과). 국립생물자원관. 1-173.
[2] Kim JN, Choi JH, Kim JB and Kim YS. 2006. Five shrimp species of the genus Solenocera (Crustacea: Decapoda: Solenocerida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39 : 241-251.
[3] Kubo I. 1949. Studies on penaeids of Japanese and its adjacent waters. Journal of the Tokyo College of Fisheries. 36: 1-467.
NCBI (Solenocera alticarinata)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