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영국갯끈풀

영국갯끈풀Spartina anglica C.E.Hubb., 1978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2
  • 유해해양생물
분류체계 : Plantae식물계 > Angiospermae피자식물문 > Monocotyledoneae단자엽식물강 > Cyperales사초목 > Poaceae화본과 > Spartina갯쥐꼬리풀속 >
  • 종설명(Description)

    •   식물체의 길이는 130~190 cm이며 줄기는 비어 있고 마디가 있다. 잎의 새싹은 붉은색에서 보라색을 띠며 잎은 밝은 녹색이고 잎 폭은 1~1.5 cm이고 길이는 40~50 cm이다. 꽃는 9월 중순에 피고 종자와 뿌리줄기로 번식한다.
      [1]

    •   진도, 서천, 중국, 영국 등
      [1]

    •   강화도
      [1]

    • 출처

      [1]. 우리바다 우리생물 -서천

    • [2]. 우리바다 우리생물 -서천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0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염생식물인 갯끈풀과 갯메꽃 추출물의 HaCaT 세포에서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기능에 미치는 영향 As aging progresse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reduces skin moisturization and collapses skin barrier function.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skin moisturizing and skin barrier function enhancement by extracts from halophytes using HaCaT cells. Spartina anglica (S. anglica; SAE) and Calystegia soldanella (C. soldanella; CSE), a kind of halophytes, were collected from Dongmak beach in Incheon, and extracted with 70% ethanol. At the first, we evaluated the cytotoxicity of extracts in HaCaT cell using WST-8 Kit. As a result, the other experiment was conducted by setting the concentration at which the cell viability was 90% or more. SAE and CSE showed hig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rough ABTS assay. Expression levels of genes related to skin moisturizing and skin barrier functions, were analyzed by real-time qPCR. As a result, it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aquaporin 3, hyaluronan synthase 2, and transglutaminase 1 was increased by SAE treatment but not changed by CSE. Activation of 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e (ERK), c-Jun N-terminal kinase (JNK), and p38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was induced by SA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AE can be used as functional materials for cosmetics for skin moisturizing and barrier function enhancement 하유나,정재우,이원휘,오준혁,김연정 (사)한국해양생명과학회 상세보기
        생태교란종 영국갯끈풀의 기능성화장품 원료로서 효능 연구 The Spartina anglica is recognized as a highly invasive plant and active eradication methods are required. In this study, we aimed to determine the physiologic activities of Spartina anglica extracts as a cosmetic ingredient. Antioxidant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by different chemical methods including radical quenching (DPPH and ABTS), reducing power(FRAP) assay and aerial part of S. anglica(SAA) extract presented the strongest antioxidant activities. The significant cytotoxicity was not observed up to a concentration of 0.5 mg/mL in RAW264.7 cells and NHDF cells.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 anglica belowground(SAB) extract had strong effects on cell-based systems, including LPS-induced NO and cytokines(TNF-a and IL-6) production in RAW264.7 cells. Collagen synthesis and skin hydration gene expression of S. anglica extract showed the highest anti-wrinkle and moisturizing effect in NHDF cells.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tend to show that the ethanol extracts of S. anglica could be exploited as useful-bio-resource for bioactive substances in functional cosmetics. 송솔이,이지안 중소기업융합학회 상세보기
        생태교란종 영국갯끈풀의 기능성화장품 원료로서 효능 연구 본 연구에서는 생태교란종으로 지정되어 대량으로 방제되는 영국갯끈풀의 에탄올 추출물을 활용하여 여러가지 생리활성을 평가하고 화장품 원료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라디컬 소거법인 DPPH와 ABTS assay 및 환원력을 통한 FRAP과 같은 화학적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영국갯끈풀 지상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였다. 각 추출물 농도 0.5 mg/mL 이하 조건에서 RAW264.7 cell과 NHDF cell에 대한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LPS로 활성화 된 RAW264.7 세포에서 증가된 염증매개물질 NO와 사이토카인 생성량은 지하부 에탄올 추출물에 의해 뚜렷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NHDF cell을 지상부와 지하부 두 추출물로 처리하여 collagen 합성과 피부 수분 유전자 발현을 조사한 결과 높은 항주름 및 보습 효능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영국갯끈풀 에탄올추출물은 기능성화장품의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유용한 바이오 자원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송솔이,이지안 중소기업융합학회 상세보기
        In vitro screening of elastase, collagenase, hyaluronidase, and tyrosinase inhibi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22 halophyte plant extracts for novel cosmeceuticals Background: Halophyte plant (HPs), a salt-resistant flora, has been reported to provide several health benefits, but the knowledge of its cosmeceutical potential is still ambiguous. Here, 70% ethanol extracts of 22 HPs collected from along the coast of South Korea were investigated for their potentials of antioxidant, anti-aging, and whitening properties for use as materials in novel cosmeceuticals.Methods: Antioxidant activities were determined by DPPH (1,1-diphenyl-2-pricrylhydrazyl) free radical and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ssays, and skin aging-related enzyme activities (anti-elastase, anti-collagenase, antihyaluronidase, and anti-tyrosinase) were evaluated by using the spectrophotometric method.Results: Among the 22 HPs, we found that Ischaemum antephoroides f. coreana and Atriplex gmelinii extracts presented the strongest scavenging effects against DPPH free radical and hydrogen peroxide, respectively. Our finding additionally suggested that Salicornia europaea extract might provide a major source of anti-elastase and anti-hyaluronidase; meanwhile, Rosa rugosa extract showed the highest anti-collagenase effect. Furthermore, the highest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as possessed by Spartina anglica extract.Conclusion: These findings may suggest that halophyte plants showing biological activities may be potent inhibitors of tyrosinase, elastase, collagenase, and hyaluronidase and could be useful for application in cosmeceuticals. Chanipa Jiratchayamaethasakul,Yuling Ding,Ouibo Hwang,Seung-Tae Im,Yebin Jang,명승원,Jeong Min Lee,김현수,Seok-Chun Ko,이승홍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생태계 교란식물 cordgrass (Spartina spp.)의 효과적인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고찰 우리나라에서는 2016년 Spartina속의 외래식물인 갯줄풀(Spartina alterniflora, Smooth cordgrass)과 영국갯끈풀(Spartina anglica, Common cordgrass)을 생태계 교란식물로 지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선행 연구사례를 잘 검토하여 보다 효율적인 관리대책(적극적인 제거방안 및 확산 방지)을 수립하고 이를 실행하는데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Spartina속 식물은 종자와 근경을 통한 강한 번식력과 전파력을 가지고 있고, 다양한 환경조건에서 적응, 생장하는 식물이지만 저염도의 습지(low-salinity marshes) 및 갯벌(mudflats)에서의 생장이 상대적으로 양호하다. Spartina속 식물의 관리를 위해서 그동안 여러가지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처리방법이 시도되어 왔는데 현재 예초, 파쇄, 잠수처리(flooding), 제초제(glyphosate, imazapyr, fluazifop, haloxyfop) 처리 등이 실용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보다 확실한 효과를 거두려면 두가지 이상의 처리를(예, 예초/제초제 처리) 개화기 이전의 이른 생장시기에 실시하도록 하고 이를 3-4년간 중단없이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초제 경엽처리시에는 물기가 없는 상태의 시간(dry time)이 4-6시간 이상되게 하여야 하고, 바람이 불지 않을 때 살포한다. 잎에 흙이 많이 묻어 있으면 glyphosate 처리를 피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무엇보다 주의할 것은 제초제저항성 계통의 출현을 예방하기 위해서 동일 제초제의 연용을 피해야 할 것이다. 한편 Spartina속 식물은 해양 연안의 생태공학적 가치가 충분히 있고, 산업용 바이오 매스로서의 장점을 많이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관리만 잘되면 향후 석유자원 고갈에 대비하여 중요한 바이오 자원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Spartina속 식물의 순기능과 역기능 모두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앞으로 계속 진행되어야 하겠다. 김진석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2건, 1/3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NP6016000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추출물 영국갯끈풀
      Spartina anglica
      대한민국 2016-07-01 1 Tube
      MABIK TP0000197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영국갯끈풀
      Spartina anglica
      대한민국 2016-07-01
      MABIK TP0000217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영국갯끈풀
      Spartina anglica
      대한민국 2019-09-17
      MABIK TI0000254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조직 영국갯끈풀
      Spartina anglica
      대한민국 2016-07-01 1 Tube
      MABIK TP0000253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영국갯끈풀
      Spartina anglica
      대한민국 2020-09-28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