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미더덕

미더덕Styela clava Herdman, 1881

  • 해양생물평가등급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hordata척삭동물문 > Ascidiacea해초강 > Stolidobranchia강새목 > Styelidae미더덕과 > Styela미더덕속 >
  • 종설명(Description)

    •   몸은 굵은 곤봉 모양으로 보통 몸길이의 1/2을 넘지 않는 자루를 갖는다. 입수공은 출수공 모두 몸의 앞쪽 끝에 있으며 4엽이고, 양 물관은 전혀 만들지 않는다. 외피는 가죽질이며, 표면에는 아주 불규칙한 주름이 있다. 특히 양 수공 가까이에는 불규칙한 돌기가 많이 있다. 근막체는 아주 얇고 연한 황갈색을 띤다. 아가미주머니는 양 옆에 4개의 주름이 있다. 소화 기관은 왼쪽 근막의 등쪽 1/2을 차지하고 식도는 아주 짧다. 위는 가늘고 길며 앞쪽에서 아래쪽으로 향하고, 표면에는 15개 또는 35개의 길이로 된 주름이 있다. 왼쪽 5~6개의 긴 생식샘과 오른쪽에 3~8개의 생식샘이 있다.
      [1]

    •   우리 나라의 삼면 연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종이다.

    •   몸은 굵은 곤봉 모양이며 긴 자루를 가질 때는 아주 길다랗고 자루의 아래쪽이 바위에 부착해 있다. 입수공은 출수공 모두 몸의 앞쪽 끝에 있으며 4엽이고, 자루는 보통 몸길이의 1/2을 넘지 않는다. 외피는 가죽 모양이다. 몸의 색깔은 이들이 사는 바다 밑바닥에 따라 다르며, 보통 황갈색에서 회갈색 또는 등황색을 띠며 내면은 백색을 하고 있다. 몸의 표면에는 가끔 해면, 히드라, 군체 멍게로 덮여 있다. 아가미주머니에 4개의 주름이 있다. 소화 기관은 왼쪽 근막의 등쪽 1/2을 차지하고 식도는 아주 짧다. 위는 가늘고 길며 앞쪽에서 아래쪽으로 향하고, 표면에 주름이 있다. 양쪽에 긴 생식샘이 있다.
      [2]

    •   일본(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큐슈), 오호츠크해, 시베리아 연안
      [1]

    •   동해, 남해, 대한해협, 황해, 제주해

    • 출처

      [1]. 해양미삭동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Rho BJ, 1977. Ascidiacea. In: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Porifera, Hydrozoa and Ascidiacea). Vol. 20 (Ed., Ministry of Education). Samhwa Publishing Co., Seoul, pp: 318.

    • [3]. 해양미삭동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4]. Rho BJ, 1977. Ascidiacea. In: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Porifera, Hydrozoa and Ascidiacea). Vol. 20 (Ed., Ministry of Education). Samhwa Publishing Co., Seoul, pp: 318.

    • 참고문헌

      Rho BJ, 1977. Ascidiacea. In: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Porifera, Hydrozoa and Ascidiacea). Vol. 20 (Ed., Ministry of Education). Samhwa Publishing Co.,
      Seoul, pp. 346-348,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31112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3332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1122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COI

    염기서열

    • 사진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이미지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3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알코올로 인한 흰쥐의 백혈구 및 간 DNA 손상에 미치는 미더덕과 오만둥이 분말의 보충섭취 효과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독특한 향과 맛이 있는 식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하나 경상남도 마산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고 있는 해양생물이다. 한편, 과량의 에탄올 섭취는 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MEOS)에 의한 에탄을 산화를 증가시켜 superoxide ion, hydrogen peroxide, hydroxyl radical, 1-hydroxyethyl radical과 같은 활성산소종을 생성하여 산화적 스트레스 상태를 유발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더덕과 오만둥이의 보충투여가 과량의 에탄을 투여로 인해 유도되는 간기능 관련 지표와 간세포 및 백혈구 DNA손상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SD계 수컷 쥐를 세 군으로 나누어 6주간 25% 에탄을 용액을 자유로이 섭취하게 하면서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한 미더덕과 오만둥이를 식이의 3%(w/w) 수준으로 보충투여하였다. 6주간의 미더덕과 오만둥이 투여는 체중증가 량, 식이 및 에탄을 섭취량, 간을 비롯한 각종 장기무게에는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미더덕과 오만둥이 보충투여는 총 콜레스테롤을 비롯한 혈장 지질 수준에는 유의적인 영향이 없었지만, 혈장 ALT, ALP, LDH 활성 등 간기능 관련 지표들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과량의 에탄을 섭취로 유도된 흰쥐의 백혈구, 간세포의 DNA손상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세포 DNA 손상도는 혈장 ALP와 LDH 활성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미더덕과 오만둥이 분말의 보충투여는 알코올 섭취로 인해 유도된 간조직 손상에 대한 보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수준은 GTP 20%를 첨가한 식이를 제공받은 군에서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다 간의 TG와 TBARS 수준은 GTP 20%를 첨가한 식이를 제공받은 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GTP의 첨가가 간에서의 GSH함량 및 항산화 효소계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GTP를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실험군의 1일 변중의 총 지방 및 TG 배설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OVX-C군에 비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총 콜레스테롤 배설량은 OVX-C군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다. 난소 절제 흰쥐에서 5% GTP를 제공받은 군에 비해 20% GTP를 첨가한 식이를 제공받은 군에서 혈액과 간에서의 지질농도 감소와 항산화 효소의 활성이 높은 수준을 보여 GTP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난소절제 흰쥐에서 GTP 첨가가 변의 총지질과 TG및 콜레스테롤 배설을 증가시켜 혈청과 간의 총 지질 농도와 TG및 총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GTP의 섭취가 체내 총 지질 농도를 감소시켜 항 동맥경화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녹차가공품의 폐경기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기능성식품으로의 가능성을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용적중 등 품질 평가 기준에서 차이가 없었다.50 에서는 43% 발효주에는 0.95 cm, 45% 고은 발효주에는 0.95 cm의 항균성을 나타냈으며 관능평가에서도 가장 높게 났다. 관능평가에서는 45% 고온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항산화성 실험에 나타난 저온 45%의 갈색도의 측정과는 항산화성에서는 좀 다른 결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항균성이 가장 김정미,박해룡,이승철,박은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상세보기
        암세포주에 대한 미더덕 추출물의 세포독성 효과 신선한 미더덕을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만들어 water, MeOH, EtOH 및 acetone의 용매로 추출하여 항암활성을 조사하였다. 대장암 세포주 HT-29에 대한 미더덕 추출물의 암세포증식 억제효과는 ethanol 추출물이 $500\;{\mu}g/mL$ 농도에서 45.0%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대조구와 다른 추출물에 비교하여 크게 세포의 응축과 세포수의 감소를 형태학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용매별 추출물 중 가장 강력한 항암활성을 가지는 ethanol 추출물을 이용하여 정제수율을 높여 암세포 성장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n-hexane, diethyl ether, ethyl acetate 및 water 순으로 극성을 높여 분획한 결과 diethyl ether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항암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diethyl ether 분획물을 인간대장암 유래의 세포주 SW620, 자궁경부암 세포 HeLa 및 유방암 세포 MCF-7에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항암활성이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농도 $500\;{\mu}g/mL$ 처리 시 모두 10%이하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지금까지는 한약재를 비롯한 농산물 유래의 추출물이 항암효과를 보이는 연구가 보고된바 있으나 해양생물 유래의 추출물에서 항암효과를 보이는 결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보고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결과는 생리활성 물질을 탐색함에 있어서 해양생물이 중요한 천연자원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은실,김주영,박은주,박해룡,이승철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상세보기
        주름 미더덕(Styela plicata) 추출물의 항산화력 및 항암활성 주름 미더덕(Styela plicata)에 methanol, ethanol, acetone, 물을 가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여 항산화활성과 항암활성을 조사하였다. 신선 주름 미더덕을 분쇄하여 용매를 가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경우 methanol을 이용하였을 때 가장 많이 추출되었으며, 물을 이용한 경우에 가장 추출율이 낮았다. 그러나, 동결건조한 주름 미더덕 분말로부터 추출물을 제조한 경우에는 물을 이용한 경우에서 추출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각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 한 결과, 신선 주름 미더덕 추출물의 경우에는 acetone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 $(37.39\%)$을 보였으며, 동결건조 주름 미더덕 분말로부터 추출한 경우에는 ethanol추출물이 $78.40\%$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환원력은 신선 주름 미더덕 의 경우 methanol 추출물이 가장 좋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동결건조한 주름 미더덕 추출물은 ethanol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대장암 세포주 HT-29에 대한 주름 미더덕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는 동결건조 주름 미더덕의 acetone 추출물이 500${\mu}g/mL$의 농도에서 약$20\%$이하의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주름 미더덕에 항산화력과 항암력을 가지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김진주,김선정,김선희,박해룡,이승철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상세보기
        가공방법 및 용매에 따른 미더덕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효과 신선한 미더덕 분쇄물로부터 열처리하지 않은 시료(FR), $110^{\circ}C$에서 15분간 열처리한 시료(H1), $120^{\circ}C$에서 5분간 열처리한 시료(H2), 동결건조한 시료(FD)를 제조하고, 이들로부터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물 추출물을 제조하여 추출수율, 항산화활성, 항암활성을 조사하였다. 수분이 함유된 시료인 FR, H1, H2의 경우 열처리 온도가 높을수록 전체적인 추출수율이 감소하였으나, 용매에 따라 회수되는 비율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에탄올을 이용하였을 때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다. 건조시료인 FD의 경우 FR, H1, H2의 경우보다 전체적인 수율이 낮고 경향이 달랐는데, 아세톤에 의해 추출되는 양이 매우 줄었으며 물을 이용한 경우 매우 증가하였다. 미더덕 추출물의 항산화력은 DPPH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으로 측정하였다. FR, H1, H2은 아세톤>에탄올>메탄올 순으로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고, 모든 추출용매에서 FR>H1>H2의 순서로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다. 한편 FD는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고, 아세톤과 물 추출물에서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환원력의 경우, FR의 메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열처리 온도가 높을수록 모든 용매에서 환원력은 감소하였다. FD의 경우에는 메탄올>에탄올>물>아세톤의 순서로 환원력이 측정되었다. 미더덕에 열처리를 한 경우, 열처리 온도가 상승할수록,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이 모두 감소하였다. 대장암 세포주 HT-29에 대한 미더덕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억제효과는 동결건조 미더덕의 아세톤 추출물이 $500{\mu}g/mL$의 농도에서 약 42%의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미더덕에 항산화력과 항암력을 가지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김진주,김선정,김선희,박해룡,이승철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상세보기
        미더덕 함유 어묵의 품질 특성 고품질의 어묵의 개발을 위하여 항암성, 항균성 및 항산화작용이 있는 미더덕 (Styela clava)을 각각 0, 5, 10, 15 및 20% 첨가한 튀김어묵을 제조한 다음 색조변화, 물성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미더덕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어묵의 색도는 L값은 감소하는 경향, a값은 증가하는 경향, b값도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어묵의 유연성을 나타내는 절곡검사의 결과로는 대조군을 포함한 모든 첨가군에서 AA가 나와 유연성과 탄력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성검사 결과에서 미더덕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어묵의 강도, 경도, 점착성이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관능검사의 결과로는 20%를 제외한 전 군에서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맛과 조직감, 색깔 면에 있어서 다른 것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더덕은 어묵에 첨가하는 것은 관능적으로 5% 정도의 적당한 양만 첨가한다면 물성적, 영양적으로 소비자들에게 호감을 얻을 수 있는 고품질의 어묵이 제조될 수 있을 것이다. 박선민,이보배,황영만,이승철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28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주름 미더덕 어묵 및 그 제조 방법 2013-0153606 배형규 원문정보
        효소분해에 의한 해산물의 농축액 및 그의 제조방법 2009-0135753 주식회사 가야에프앤디 원문정보
        해양생물을 이용한 구형 젤리타입 식재료의 제조방법 1020150003413 박차돌 원문정보
        아귀찜 어묵 제조방법 1020150049991 김연근|구경렬 원문정보
        미더덕 또는 주름미더덕의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1020170032399 미더덕영어조합법인 원문정보
      • 전통지식

        검색결과 1

        전통지식 목록 - 학명, 국명, 지역, 주용도, 구전 전통지식
        학명국명지역주용도구전 전통지식
        Styela clava 미더덕 경상남도 식용,약용 5~8월에 채취하는 미더덕은 여러 가지 음식을 만들 때 국물맛을 내기위해 사용하며, 길쭉한 형태로 껍질을 까고 먹어야 한다.
        겨울에 잡은 미더덕은 생으로 껍질을 까고 씹어서 먹으면 숙취 해소와 간에 좋고, 찜이나 찌개 등으로 만들어 먹는다.
      •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검색결과 1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목록 - 학명, 국명, 생리활성, 원료등록, 특징/이용
        학명국명생리활성원료등록특징/이용
        Styela clava 미더덕 항산화 식품원료 등록 화장품원료 등록 식품원료 등록, 화장품원료 등록
    • 자원정보

      검색바

      총 435건, 1/87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CN0007780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미더덕
      Styela clava
      대한민국 2013-11-05
      MABIK CN0007812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미더덕
      Styela clava
      대한민국 2015-07-22
      MABIK CN0007813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미더덕
      Styela clava
      대한민국 2015-07-22
      MABIK CN0007835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미더덕
      Styela clava
      대한민국 2013-11-05
      MABIK CN0007836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미더덕
      Styela clava
      대한민국 2013-11-05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