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보라색우무털Symphyocolax koreanus M.-S.Kim, 2010
조간대 중부 및 하부의 참보라색우무에 기생한다. 개서실속과 서실속에 혈족기생하는 서실더부살이속과 서실혹속과는 달리, 이 종은 참보라색우무에 이질기생한다. 이러한 특징에 의해 이 종은 한국산 다른 기생성 빨간검둥이과 해조류와 쉽게 구분된다. 이 종은 한국 경남 다대포 몰운대에서 처음으로 기재되었다.
[1]
엽체는 5~10mm까지 크고, 다관성이며, 방석 모양이다. 직립 사상지가 있고, 다소 피층을 형성한다. 직립 축은 6개의 주심세포가 있고, 기부에 피층을 형성한다. 정단세포는 돔형이고, 사면분열을 한다. 정자낭지는 길이 120~150μm, 지름 60~70μm로 모상엽으로부터 발달한다. 기부에 단관성의 자루가 있고, 가지에 나선형으로 배열된다. 체색은 담갈색 내지 회색이다.
[1]
울진군, 경상남도
[2]
출처
[1]. Kim MS, Cho GY. 2010. A new red algal parasite, Symphyocolax koreana gen. et sp. nov. (Rhodomelaceae, Ceramiales), from Korea. Algae, 25: 105-113
[2]. CBD-CHM Korea
[3]. Kim MS, Cho GY. 2010. A new red algal parasite, Symphyocolax koreana gen. et sp. nov. (Rhodomelaceae, Ceramiales), from Korea. Algae, 25: 105-113
[4]. CBD-CHM Korea
| 경제적가치 |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 1 | 3 | 3 | 3 | |
| 생태적가치 |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 1 | 1 | 1 | 3 | |
| 학술적가치 |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 1 | 1 | 1 | ||
NCBI (Symphyocolax koreanus)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