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2건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자연산과 양식산 식용복어의 성분 비교 To identify the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seven edible pufferfishes (five wild pufferfishes including striped puffer Takifugu xanthopterus; eyespot puffer Takifugu chinensis; purple puffer Takifugu porphyreus; rough-backed puffer Lagocephalus wheeleri; and grass puffer Takifugu niphobles; and two cultured pufferfishes including yellow puffer Takifugu obscurus, and tiger puffer Takifugu rubripes) in Korea, the proximate, fatty/amino acid, chemical and taste compositions were investigated. The proximate composi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d pufferfishes, whereas grass puffer had lower moisture and crude lipid levels contents, and higher crude protein and ash contents than the other species. The total amino acid levels in wild and cultured pufferfishes were 14,941.6-16,427.9 mg/100 g, and the major amino acids wer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leucine, lysine and arginine. Regarding the fatty acid and mineral compositions, the major fatty acids included 22:6n-3, 16:0, 18:1n-9, 20:5n-3, 18:0, 20:4n-3, and 22:5n-3 in that order, and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among the sampled pufferfishes. Grass puffer had a higher monoenes ratio, i.e., 16:1n-7 and 18:1n-9, and a lower polyenes ratio than the other pufferfishes. The main minerals detected K, P, Na, S and Ca. Regarding the taste-active compounds, the free amino acid contents of pufferfish extracts were 236.4-428.1 mg/100 g, consisting primarily of taurine, lysine, proline, glycine, alanine and arginine in that order. The amino nitrogen content of the pufferfishes was 84.5-156.4 mg/100 g, and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among the species. As for taste intensity, the total taste value of the purple puffe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pufferfishes. 황석민,오광수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일일어획자료를 이용한 여수 해역의 정치망 어획물 종조성 2001년 4월부터 10월 사이에 돌산도 율림 앞바다, 2002년 4월부터 10월 사이에 연도 앞바다, 그리고 2003년 4월부터 12월 사이에 돌산도 임포 먼바다에서 정치망에 어획된 수산생물의 일일 어획자료를 이용하여 종조성과 양적 변동을 파악하고, 연도별, 장소간 종조성을 분석하였다. 2001~2003년에 여수 해역에서 정치망에 의해 삼치(Scomberomorus niphonius), 방어류 (Seriola spp.), 갈치(Trichiurus lepturus), 멸치 (Engraulis japonicus), 줄삼치(Sarda orientalis),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덕대(Pampus echinogaster), 밴댕이(Sardinella zunasi), 고등어(Scomber japonicus), 황아귀(Lophius litulon), 꼴뚜기(Loligo beka) 등이 양적으로 우세하게 어획되어 여수해역에서 정치망으로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은 주로 표영성 어류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연안역에서는 밴댕이, 덕대, 양태 (Platycephalus indicus), 꼴뚜기, 외해역에서는 삼치, 방어류, 갈치, 덕대, 살오징어, 검복(Takifugu porphyreus), 참돔(Pagrus major)의 표영성 주거종 (pelagic resident species)이 우세하였으며, 멸치는 남해 전체에서 계절적으로 연안과 외해를 이동하는 대표적인 우점종이었다. 봄에 연안에 밴댕이와 멸치가, 수심이 보다 깊은 외해에는 내유하는 멸치와 황아귀, 방어류 등 대상으로 어기가 시작되어 여름에 갈치, 삼치, 고등어, 방어류, 줄삼치, 덕대, 살오징어 등의 외양종이 연안과 외해에 회유하여 어획량이 높았다. 가을에는 연안에서 삼치, 멸치, 꼬치고기 (Sphyraena pinguis), 독가시치 (Siganus fuscescens), 주둥치 (Leiognathus nuchalis) 등이 우점하였고, 외해에서는 삼치, 덕대, 학공치(Hyporhamphus sajori), 고등어, 갈치 등이 여름에 이어 계속 출현하였으나 어획량은 감소하는 온대 해역의 전형적인 계절성을 보였다. 남해안에서 정치망에 어획된 출현종은 대부분 부어류이었으며 그 변화 정도가 심하였으나, 대형정치망 일일 어획자료은 부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을 분석하는데 유의한 의미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황선도,김진영,김주일,김성태,서영일,김종빈,김영혜,허선정 한국어류학회 상세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