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까치복

까치복Takifugu xanthopterus (Temminck & Schlegel, 1850)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1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hordata척삭동물문 > Actinopterygii조기강 > Tetraodontiformes복어목 > Tetraodontidae참복과 > Takifugu참복속 >
  • 종설명(Description)

    •   몸은 긴 타원형이고, 미병부는 가늘어 곤봉형이다. 눈은 작고 머리 중간의 등쪽에 있다. 등쪽과 배쪽에 작고 단단한 피부극이 덮여 있는데 배쪽의 것이 등쪽의 것보다 강하며,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등쪽은 빝은 청색으로 등쪽과 옆쪽에는 백색 줄무늬로 된 띠가 4~5개 정도 있다. 배쪽은 미색 또는 흰색이며, 가슴지느러미 기저에는 큰 검은색 반점이 있고, 모든 지느러미와 콧구멍은 진한 황색으로 쉽게 구분된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낫 모양으로 크고 서로 대칭이며, 꼬리지느러미 뒤끝 부분은 수직형이거나 약간 오목하다. 봄에는 알을 낳기 위해 연안의 큰 강 하구로 이동하여, 기수역에서 산란한다. 산란기는 일반적으로 3~6월로 알려져 있으나, 주로 초여름에 강하구역으로 이동하여 산란한다. 최대크기 약 50 cm 이다.
      [1]

    •   유영력이 강하고 행동 범위가 넓으며, 주로 바위 지역의 중층에서 유영 생활을 한다. 난소와 간장에 강한 독이 있고 근육과 정소, 피부에는 독이 없다.
      [2]

    •   몸은 단면이 원형으로 둥글고, 미병부는 가늘어 곤봉형이다. 눈은 작고 머리 중간의 등 쪽에 있다. 주둥이는 길지만 뭉툭하고, 양턱에는 강하고 납작한 이가 있다. 꼬리지느러미 뒤 가장자리는 직선형이다. 등과 배의 피부는 작은 가시들이 돋아 있어 거칠다. 몸의 등 쪽으로 비스듬히 이어지는 4∼5개의 흑청색 줄무늬가 있다. 가슴지느러미 기부에 검은 반점이 있고, 모든 지느러미는 진한 노란색을 띤다. 전장 약 50cm.
      [2]

    •   일본 홋카이도 이남, 동중국해
      [1]

    •   우리나라 전 연안
      [1]

    •   난소와 간에는 강한 독이, 장에는 약한 독이 있고, 근육, 껍질, 정소에는 독이 없다. 산란기에는 독이 더욱 강해진다. 살에는 독성이 없어 회와 지리(맑은 국)으로 주로 식용된다.
      [1]

    • 출처

      [1]. 해양어류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 [3]. 해양어류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4].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 참고문헌

      1. 수산생명자원정보센터

      2. 한국어류대도감 (김 등, 2005)

      3. Masuda et al., 1984. The fishes of the Japanese Archipelago. Vol. 1. Tokai University Press, Tokyo, Japan. 437 p.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22122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22122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2223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전통지식 이미지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자연산과 양식산 식용복어의 성분 비교 To identify the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seven edible pufferfishes (five wild pufferfishes including striped puffer Takifugu xanthopterus; eyespot puffer Takifugu chinensis; purple puffer Takifugu porphyreus; rough-backed puffer Lagocephalus wheeleri; and grass puffer Takifugu niphobles; and two cultured pufferfishes including yellow puffer Takifugu obscurus, and tiger puffer Takifugu rubripes) in Korea, the proximate, fatty/amino acid, chemical and taste compositions were investigated. The proximate composi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d pufferfishes, whereas grass puffer had lower moisture and crude lipid levels contents, and higher crude protein and ash contents than the other species. The total amino acid levels in wild and cultured pufferfishes were 14,941.6-16,427.9 mg/100 g, and the major amino acids wer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leucine, lysine and arginine. Regarding the fatty acid and mineral compositions, the major fatty acids included 22:6n-3, 16:0, 18:1n-9, 20:5n-3, 18:0, 20:4n-3, and 22:5n-3 in that order, and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among the sampled pufferfishes. Grass puffer had a higher monoenes ratio, i.e., 16:1n-7 and 18:1n-9, and a lower polyenes ratio than the other pufferfishes. The main minerals detected K, P, Na, S and Ca. Regarding the taste-active compounds, the free amino acid contents of pufferfish extracts were 236.4-428.1 mg/100 g, consisting primarily of taurine, lysine, proline, glycine, alanine and arginine in that order. The amino nitrogen content of the pufferfishes was 84.5-156.4 mg/100 g, and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among the species. As for taste intensity, the total taste value of the purple puffe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pufferfishes. 황석민,오광수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 전통지식

        검색결과 1

        전통지식 목록 - 학명, 국명, 지역, 주용도, 구전 전통지식
        학명국명지역주용도구전 전통지식
        Takifugu xanthopterus 까치복 경상남도 식용,약용 바다에서 잡은 까치복은 피를 제거하고 끓여서 먹으면 숙취 해독에 효과적이다.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21건, 1/25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PI0000086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까치복
      Takifugu xanthopterus
      대한민국 2011-06-28
      MABIK PI0000128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까치복
      Takifugu xanthopterus
      대한민국 2011-05-02
      MABIK PI0000392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까치복
      Takifugu xanthopterus
      대한민국 2011-10-19
      MABIK PI0000636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까치복
      Takifugu xanthopterus
      대한민국 2011-01-19
      MABIK PI0000706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까치복
      Takifugu xanthopterus
      대한민국 2012-02-07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