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분지성게

분지성게Temnopleurus toreumaticus (Leske, 1778)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Echinodermata극피동물문 > Echinoidea성게강 > Camarodonta공치성게목 > Temnopleuridae분지성게과 > Temnopleurus분지성게속 >
  • 종설명(Description)

    •   몸은 일반적으로 담홍색을 띠나 큰 가시의 위에는 여러 개의 자갈색의 가로띠가 있다. 이 가로 띠는 반구부 쪽의 극에서는 명확하지 않으나 구부 쪽에서는 뚜렷하다. 가시가 벗겨진 각은 진한 황갈색을 띠고 있다. 각은 중형으로 각의 가장자리가 둥근 원 모양을 이루며, 구부 쪽은 편평하나 위구부의 가장자리가 약간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각은 두껍고 단단하며, 반구부 쪽이 약간 높아 거의 원추 모양을 이룬다.
        열대 해역에 서식하는 종으로 주로 쿠로시오난류의 영향을 받아 우리나라 연안의 조간대 하부에서 수심 45m에 살고 있다.
      [1]

    •   일본(동경만~빙고, 가고시마만, 류규열도), 대만, 인도-서태평양, 페르시아만, 오스트레일리아 동부
      [1]

    •   경북, 경남, 전남, 전북, 충남, 경기
      [1]

    •   약재로 사용됨.
      [1]

    • 출처

      [1]. 해양극피동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 [2]. 해양극피동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 참고문헌

      - 한국의 무척추동물 제32권2호 성게류. 신숙, 2010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12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223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222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장봉도 갯벌을 이용하는 대형 및 초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주야 및 조석주기에 따른 변화 갯벌을 이용하는 대형 및 초대형저서동물의 단기 변화양상(조석 및 주야변화)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0년 6월 8일과 9일 양일 간에 걸쳐 변형된 오터트롤을 이용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형 및 초대형저서동물은 총 60종, 6,309개체, 67,835.46 gWWt이 채집되었다. 조사 결과, 대형 및 초대형저서동물의 분포 패턴은 주야와 조석 주기에 따라 변화하였다. 조석에 따라서는 크게 2개로 양분되어 간조 시기와 만조 시기로 구분되었다. 2개의 조석형태에 따른 생물량의 차이를 보면, 간조 시기$(13^h30@@@@,\;16^h30@@@@,\;01^h30@@@@,\;04^h30@@@@)$의 생물량은 만조 시기$(19^h30@@@@,\;21^h30@@@@,\;10^h30@@@@,\;13^h00@@@@)$의 그것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았다. 한편, 주야에 따라서는 크게 3개의 범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즉, 1)야간에 주로 출현하는 종군(자주새우와 보리새우과의 새우류, 꽃게과의 게류, 볼락과의 어류), 2)주간에 주로 출현하는 종군(참꼴뚜기과의 두족류와 멸치과의 어류), 마지막으로 3)주야에 따른 일정한 분포패턴을 보이지 않는 종군(민태과, 쥐노래미과, 참서대과의 어류, 분지성게과의 성게류) 등이었다. 장봉도 갯벌을 이용하는 대형 및 초대형저서동물의 주야 및 조석 주기에 따른 변화를 조사한 결과, 갯벌을 이용하는 대형 및 초대형저서동물은 주야보다는 조석 주기에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인수,홍재상 한국해양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31건, 1/27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IV0000027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분지성게
      Temnopleurus toreumaticus
      대한민국 2011-04-04
      MABIK IV0000028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분지성게
      Temnopleurus toreumaticus
      대한민국 2011-08-21
      MABIK IV0000029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분지성게
      Temnopleurus toreumaticus
      대한민국 2011-03-29
      MABIK IV0000037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분지성게
      Temnopleurus toreumaticus
      대한민국 2011-09-23
      MABIK IV0000038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분지성게
      Temnopleurus toreumaticus
      대한민국 2011-11-04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