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2건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사육조건과 먹이생물에 따른 왕우럭조개 (Tresus keenae) 유생의 성장과 생존 In order to determine optimal larval rearing conditions, the growth and the survival (%) of larvae on rearing conditions (water temperature, salinity, rearing density) and live food for keen's gaper Tresus keenae were investigated. Live food was used by cultured three microalgal species (Isochrysis galbana, Chaetoceros gracilis, Tetraselmis tetrathele) and microalgae concentrates (Shellfish diet 1800®, Reed Mariculture Inc., San Jose, CA, USA). The fastest growth was observed at 25℃ and the survival rate was over 30% at 15℃ and 20℃. The fastest growth and high survival of larvae were observed at 30 psu. The rearing density of larvae showed the fastest growth and the highest survival at 5 inds./mL. In the optimum rearing conditions of larvae the water temperature was 20℃, salinity was 30-35 psu and the rearing density of larvae was below 5 inds./mL. Larvae fed on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ultured microalgae showed the fastest growth at 3 × 104 cells/mL/day and the highest survival at 1 × 104 cells/mL/day. Larvae fed on cultured microalgal species and microalgae concentrates showed the fastest growth and the highest survival at CM100 (cultured microalgae 100%) but the late growth at IA100 (instant algae 100%). Larvae fed on different feeding concentrations of microalgae concentrates showed the fastest growth at 2 × 104 cells/mL/day and the high survival at 1 × 104 cells/mL/day. Thus, larvae showed the fast growth and the high survival fed on microalgae concentrates or cultured microalgal species mixed instant algae.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microalgae concentrates was 1 × 104 - 2 × 104 cells/mL/day for elevating the growth and the survival for larval rearing of T. keenae. 민병희 한국패류학회 상세보기 미세조류 종류에 따른 키조개, Atrina pectinata의 성장 및 성숙 유도 키조개 양식은 근래에는 오염과 자연산 모패의 남획 등으로 점차 자원량이 감소하고 있어 이들의 양식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키조개의 성성숙 조절기구를 규명하기 위하여 미세조류 종류에 따른 키조개의 비만도와 생식소 및 유생의 발달단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키조개 모패로부터 인공종묘생산을 시도하였다. 키조개의 비만도를 살펴보면 어미의 연체부 지수는 사육초기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5월 중순부터 전 실험구가 먹이생물을 매우 활발히 섭취하는 경향이 있었고, 실험 종료 시에는 연체부 지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각부 용적지수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키조개 생식소의 성숙 발달단계는 비 활성기, 초기 활성기, 후기 활성기, 완숙기, 방출 및 퇴화기의 5 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시험 개시일은 후기활성기로 판단되며, 시험 종료시에는 전 시험구가 완숙기와 방출기에 도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 3 종, Chlorella ellipsoidea, Tetraselmis tetrathele, Pheasant ylum tricornutum과 키조개 성성숙의 상관관계에 대해 조사해본 결과, 키조개 암, 수 모두 Tet. 실험구에서 조직학적으로 빠른 성숙을 나타냈으며, 성성숙 유도율과 생존율 또한 Tet. 실험구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따라서 Tetraselmis tetrathele가 키조개 어미사육에서 매우 유용한 먹이생물로 판단되었다. 자연 상태의 키조개 어미로는 인공종묘생산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성숙실험한 키조개 어미로부터는 5 회의 채란기간 중 반응이 있었고, D형 유생이 정상적으로 발달된 것으로 나타나 키조개는 실내 인공성숙관리에 의해 채란하는 것이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키조개 유생을 사육한 결과, I. galbana, Chaetoceros sp., P. lutheri 및 혼합구 전 실험구에서 실험 시작 3-5일 사이에 생존율이 매우 낮아 미세조류 종류에 따른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키조개 어미 인공사육관리에 의한 인공종묘생산의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앞으로 키조개 인공종묘 생산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유생사육 및 치패 생산에 관한 연구가 더욱 요구된다 할 수 있다. 문태석,조필규,김병학,박기열,구학동,신윤경,임영섭 한국패류학회 상세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