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두갈래민꽃게Thalamita sima H. Milne Edwards, 1834
갑각은 육각형이고 너비가 길이의 1.6배보다 더 길다. 등면은 짧은 강모로 빽빽이 덮여 있다. 이 마는 2엽이다. 이마-눈구역 가장자리는 갑각너비의 1/2보다 더 길다. 이마구역, 앞위구역, 가운데위구역, 뒤위구역, 앞아가미구역, 가운데아가미구역과 심장구역의 융기는 뚜렷하다. 앞옆가장자리에는 눈구역 이 뒤로 4개의 이가 있는데 처음 2개가 크고 세번째 것이 가장 작다. 제2촉각의 채찍은 눈구역에 포함되지 않는다. 집게다리는 비교적 튼튼하고 비대칭이며 오른쪽 것이 왼쪽 것보다 조금 더 크다. 등면은 짧은 강모와 비늘형태 돌기로 덮여 있다. 긴마디의 앞가장자리에는 3개의 가시가 있고 발목마디의 안쪽가장 자리 끝에는 1개의 날카로운 가시가 있으며 바깥면 거의 끝에는 3개의 짧은 가시가 있다. 손바닥의 앞에 는 1개의 가시가 있고 윗면에는 4개(3개는 날카롭고 1개는 무딘)의 가시가 있으며 바깥면에는 3개의 과 립상 세로 융기가 있고 아랫면에는 비늘형태 무늬가 있다. 손가락은 가늘고 자르는 면에는 4개의 큰 이 를 포함에15개의 이가 불규칙하게 있다. 제1~3걷는다리는 짧은 강모로 덮여 있고 긴마디와 발목마디의 앞가장자리와 앞마디와 발가락마디의 뒷가장자리에는 긴 강모가 있다. 제4걷는다리의 긴마디 뒷가장자 리 거의 끝에는1개의 가시가 있고 발목마디에는 가시가 없으며 편평한 앞마디의 뒷가장자리는 잔가시 로 조금 덮여 있고 발가락마디는 넓고 둥며 끝에 1개의 작은 가시가 있다. 모든 이와 가시의 끝이 검 다. 수컷의 복부는 좁지 않고 삼각형이며 등면은 짧은 강모로 덮여 있다. 제3~5복부마디는 융합되어 있 고제 6복부마디는 끝으로 모아지며 꼬리마디는 삼각형이다. 제1생식지는 앞은 넓고 끝은 가늘며 바깥쪽 으로 조금 굽어 있고 끝은 90°로 굽어 있으며 가장자리 강모가 조금 있다. 조하대에서 수심 20 m 사이 바위 아래에 서식한다.
제주도, 남해 및 울릉도 등에 분포하며 주로 조하대 암반 및 바위 사이에 서식한다.
[1]
갑각의 윤곽은 부채 모양이다. 양 눈구멍 사이의 거리는 갑각 나비의 절반보다 넓다. 갑각의 앞옆 가장자리에 눈뒷니를 제외하고 4개의 이가 있다. 이마는 2개의 넓은 잎으로 이루어져 있다. 양 집게다리는 크기가 거의 비슷하고 손바닥의 윗면에 4개의 가시가 있다. 다섯 번째 걷는다리는 완전한 유영형이다. 발가락마디는 타원형이고 끝에 1개의 작은 가시가 있다.(Kim, 1973 편집 인용)
[2]
모잠비크, 남아프리카, 인도, 스리랑카,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마다가스카르, 홍해, 필리핀, 괌, 호주, 하와이, 대만, 중국, 일본
경북, 경남, 전남, 제주
출처
[1]. 우리바다 해양무척추동물 인벤토리(2017년)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Ⅰ(2019년)
[3]. 우리바다 해양무척추동물 인벤토리(2017년)
[4].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Ⅰ(2019년)
참고문헌
대한민국생물지 한국의 무척추동물 제 21권 30호 게류와 조에아 유생 III, 절지동물문: 연갑강: 십각목: 단미하목: 은행게과, 털게과, 조개치레과, 무딘이빨게과, 원숭이게과, 말랑게과, 꽃게과
| 경제적가치 |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 3 | 2 | 2 | 3 | 3 |
| 생태적가치 |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 3 | 3 | 3 | 3 | 3 |
| 학술적가치 |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 3 | 3 | 3 | 3 | 3 |
NCBI (Thalamita sima)
COI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