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별쥐치

별쥐치Thamnaconus hypargyreus (Cope, 1871)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hordata척삭동물문 > Actinopterygii조기강 > Tetraodontiformes복어목 > Monacanthidae쥐치과 > Thamnaconus말쥐치속 >
  • 종설명(Description)

    •   몸은 긴 타원형이다. 눈은 작고 가시로 변형된 등지느러미의 바로 아래쪽에 있다. 배지느러미가 변형된 가시는 몸의 중앙보다 약간 앞쪽에 있다. 비늘은 매우 작은 가시로 변형되어 피는 거칠다. 몸에는 황갈색 반점들이 흩어져 있다. (Kim et al., 2005 편집 인용)
      [1]

    • 출처

      [1].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한국산 쥐치과 미기록종, Thamnaconus tessellatus의 최초 보고 복어목 쥐치과에 속하는 Thamnaconus tessellatus 1개체(표준 체장 273.1 mm)가 제주도 서쪽 해역에서 외끌이중형저인망으로 어획되어 부산공동어시장에서 2015년 5월 30일에 채집되었다. 이 개체는 두부와 몸 모두 암갈색 점이 밀집하여 분포하고 꼬리지느러미 말단이 검지 않으며, 등지느러미 첫 번째 극조가 눈 중앙의 뒤쪽에서 시작하고 등지느러미 연조가 34~37개인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에서 처음 보고되는 이 쥐치류의 국명으로 Yamada et al.(1995)에 따라 '남별쥐치'를 제안한다. Park, Jeong-Ho,Jang, Seo Ha,Kim, Do Gyun,Jeong, Jae-Mook,Kang, Sukyung,Kim, Jin-Koo The Ichthyological Society of Korea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6건, 1/4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PI0000126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별쥐치
      Thamnaconus hypargyreus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2011-05-03
      MABIK PI0000183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별쥐치
      Thamnaconus hypargyreus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2011-03-29
      MABIK PI0000203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별쥐치
      Thamnaconus hypargyreus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2011-03-27
      MABIK PI0000428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별쥐치
      Thamnaconus hypargyreus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2011-12-20
      MABIK PI0000618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별쥐치
      Thamnaconus hypargyreus
      대한민국 제주근해 2011-11-21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