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Tripos muelleri Bory, 1826
와편모 조류에 속하며 넓은 해역에서 분포하는 종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동해, 남해, 서해, 제주해에 모두 분포하며, 국외로는 북해와 대서양, 지중해, 인도의 동서해안, 아리비아해, 알라야, 인도양, 태평양, 호주 주변 수역 등에 분포한다. 세포는 폭과 길이가 같거나 또는 길다. 상각은 작고 종종 길이보다 폭이 두배이며, 모든 뿔은 단단하며 오른쪽 후단뿔은 왼쪽보다 점차 약하게 발달된다.
[1]
매우 변화가 심한 종이다. 세포는 대략 폭과 길이가 같거나 또는 길다. 상각은 작고 종종 길이보다 폭이 두배이다. 왼쪽편 윤곽은 오목하며 오른쪽 편은 매우 볼록하다. 하각은 정단부 정도의 길이이거나 조금 길며, 왼쪽 편 윤곽은 다소 오목하다. 모든 뿐은 단단하며 오른쪽 후단뿔은 왼쪽보다 점차 약하게 발달되어 정단뿔은 향해서 거의 벌어지지 않고 정단뿔과 평행하게 나가며 드물게 모아진다. 왼쪽 후단뿔의 방향이 종종 오른쪽과 일지찬다. 상대적 크기와 세뿔의 방향처럼 세포 형태와 크기가 변화가 많다. 이러한 변이의 원인이 부분적으로만 알려져 있다.
[2]
북해와 대서양, 지중해, 인도의 동서해안, 아리비아해, 알라야, 인도양, 태평양, 호주 주변 수역에 분포
[1]
서해, 한산만, 남해, 낙동강 하구, 울산만, 천수만, 광양만, 여수 근해, 제주 근해
출처
[1]. 해양식물플랑크톤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Shim JH. 1994.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34 marine phytoplankton.
[3]. 해양식물플랑크톤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4]. Shim JH. 1994.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34 marine phytoplankton.
참고문헌
1. Lamouroux, [J.V.F.], Bory de Saint-Vincent, [J.B.] & Eud[es]-Deslongchamps, [J.A.] (1827). Encyclopédie méthodique ou par ordre de matières. Histoire naturelle des zoophytes, ou animaux rayonnés, faisant suite à l'histoire naturelle des vers de Bruguière. Tome Second. pp. 377–819. Paris: Chez Mme veuve Agasse, Imprimeur-Libraire, rue dos Poitevins, no. 6.
경제적가치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3 | 3 | 3 | 3 | 3 |
생태적가치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3 | 3 | 3 | 3 | 3 |
학술적가치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3 | 3 | 2 | 3 | 3 |
NCBI (Tripos muelleri)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